본문내용
이를 다시 t0 시점에서의 현재가치로 환산한다. 이 때, 배당금이 매년 10%씩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기간 동안에는 Gordon 모형이 요구하는 가정을 모두 충족하게 되므로, 미래 배당금의 현재가치를 구할 때 Gordon 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P3
= D4/(ks-gn)
= D3 (1+gn)/(ks-gn)
= 3.999(1+0.1) / (0.16-0.10) = 73.32
PV of P3
= 73.32 / (1+0.16)3 = 46.97
3단계: 초성장기간(t1∼t3) 동안 지급되는 배당금의 현재가치와 정상 성장기간(t4∼∞) 동안 지급되는 배당금의 현재가치인 P3의 현재가치(PV of P3)를 합산하여 현재의 주식가치 P0를 구한다.
P0
= 6.89 + 46.97 = $53.86
주식에는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으나 여기서는 보통주를 의미한다. 보통주는 기업이 장기자본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증권으로 자기자본의 기반이 된다. 주식의 투자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소득의 유형에는 배당금과 자본이득을 들 수 있다.
주식의 가치는 사채나 우선주와 같은 다른 금융자산의 가치와 마찬가지로 주식 투자로부터 기대되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식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식가치는, 아래 식 (5-3)과 같이, 주식 투자로부터 영구히 받게 될 미래 기대배당금의 현재가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모형을 배당할인모형(dividend discount model) 혹은 일반평가모형(generalized stock valuation model)이라고 부른다.
P0
= D1/(1+ks) + D2/(1+ks)2 + D3/(1+ks)3 +…+ D∞/(1+ks)∞
----- (5-3)
매년의 기대배당금이 일정한 성장률 g로 영구히 증가하고, 주식의 기대수익률 ks이 배당성장률 g보다 크다고 가정할 경우, 주식의 일반평가모형인 식 (5-3)는 다음과 같이 매우 단순한 주식가치 평가모형으로 유도할 수 있다.
P0
= D1/(ks-g)
= D0(1+g)/(ks-g)
---------- (5-7)
위의 공식 (5-7)은 일정성장모형(constant growth model) 또는 이 공식을 처음으로 사용한 미국의 경제학자 고든(Gordon) 의 이름을 따라 고든모형(Gordon model)이라고 불린다
P3
= D4/(ks-gn)
= D3 (1+gn)/(ks-gn)
= 3.999(1+0.1) / (0.16-0.10) = 73.32
PV of P3
= 73.32 / (1+0.16)3 = 46.97
3단계: 초성장기간(t1∼t3) 동안 지급되는 배당금의 현재가치와 정상 성장기간(t4∼∞) 동안 지급되는 배당금의 현재가치인 P3의 현재가치(PV of P3)를 합산하여 현재의 주식가치 P0를 구한다.
P0
= 6.89 + 46.97 = $53.86
주식에는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으나 여기서는 보통주를 의미한다. 보통주는 기업이 장기자본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증권으로 자기자본의 기반이 된다. 주식의 투자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소득의 유형에는 배당금과 자본이득을 들 수 있다.
주식의 가치는 사채나 우선주와 같은 다른 금융자산의 가치와 마찬가지로 주식 투자로부터 기대되는 미래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주식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의 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식가치는, 아래 식 (5-3)과 같이, 주식 투자로부터 영구히 받게 될 미래 기대배당금의 현재가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모형을 배당할인모형(dividend discount model) 혹은 일반평가모형(generalized stock valuation model)이라고 부른다.
P0
= D1/(1+ks) + D2/(1+ks)2 + D3/(1+ks)3 +…+ D∞/(1+ks)∞
----- (5-3)
매년의 기대배당금이 일정한 성장률 g로 영구히 증가하고, 주식의 기대수익률 ks이 배당성장률 g보다 크다고 가정할 경우, 주식의 일반평가모형인 식 (5-3)는 다음과 같이 매우 단순한 주식가치 평가모형으로 유도할 수 있다.
P0
= D1/(ks-g)
= D0(1+g)/(ks-g)
---------- (5-7)
위의 공식 (5-7)은 일정성장모형(constant growth model) 또는 이 공식을 처음으로 사용한 미국의 경제학자 고든(Gordon) 의 이름을 따라 고든모형(Gordon model)이라고 불린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