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행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체육행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나 조력의 역할로 횡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조직의 형태
라인앤 스탭조직은 참모조직이라고도 하며, 이 조직은 라인조직에 있어서 지휘명령의 통일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 결점을 보충하기 위하여 참모제도를 절충시킨 관리
3. 체육조직의 기본계층 및 기능
1) 최고 관리층
① 정책결정 : 필요사항 파악하여 일정목표를 세운 후 전반적인 방침
② 의사결정 : 목포 설정하여 하부 계층지시 후 올라온 상신으로 최종결 정
③ 조정 : 조직체 전반에 걸친 총체적 조정
④ 계획조직 : 목표수립 후 집행위한 기본계획과 적합한 조직
⑤ 권한과 책임 위양 : 사업 목적수행에 직접필요한 권한과 책임을 하부 관리층에 위임
2) 중간 관리층
최고 관리층과 하급 관리층의 중간에 위치라고 있으나, 사실상 관리에 있어서는 중심적 역할
3) 하급 관리층
노무자나 말단 직원을 직접 지휘, 감독하는 일선 감독층 또는 현장 관리층
체육행정조직에 대하여
체육행정조직은 일반 행정조직이나 다른 형태의 공식조직과 동등한 구조적 측면을 가지고 있지만 독특한 구조적 특성도 함께 가지고 있다.
체육조직의 특성으로는 첫째, 공익성을 들 수 있다. 체육조직은 블라우와 스코트의 조직분류에 의하면 공익조직이며 조직의 주된 수혜자가 일반시민이다. 둘째, 조직 목표의특이성을 들 수 있다. 체육조직은 체육의 발전을 도모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조직이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성격을 들 수 있다. 체육조직의 구성원은 다른 행정조직이나 일반 타 조직의 구성원과는 크게 다른 점이 존재하는데, 체육조직의 구성원 중에는 운동선수경험이 있는 사람이 타 조직에 비하여 월등히 많다.
대한체육회
- 학교체육 및 생활체육을 진흥하여 국민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협회에 가입한 경기단체를 지도하며 스포츠를 통한 국제친선과 세계평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일제강점기인 1920년 7월 23일 ‘건민’과 ‘저항’을 이념으로 창립한 조선체육회를 모체로 하여 출발하였다. 1920년 11월 4일 전국체육대회의 기점인 제1회 전조선야구대회를 연 이후 종목별 전국대회를 주최하다가 1934년 종목별 경기대회를 통합하여 전조선종합경기대회를 열었다. 1938년 7월 4일 일제에 의해 강제해산 되었으나, 1945년 12월 자유해방경축 전국종합경기대회를 열면서 재출발하였다. 1954년 3월 16일 사단법인 대한체육회가 되었으며, 1968년 체육단체 일원화시책에 따라 대한올림픽위원회를 산하기구로 받아들였다. 1983년 1월 1일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특수법인이 되었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FISU(국제대학스포츠연맹)·ANOC(세계올림픽연합회)·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GAISF(국제경기연맹총연합회)·IFS(종목별국제경기연맹)·ASF(종목별아시아경기연맹) 에 가입하였다.
- 주요 활동
① 전반적 체육활동에 관한 기본방침 심의 결정
② 아마추어정신 확립
③ 각 가맹경기단체와 지부의 육성·지도·감독
④ 체육운동에 관한 자문 및 건의
⑤ 올림픽경기·아시아경기·국제대학생경기 및 이에 준하는 국제종합경기에 관 한 사업
⑥ 국제 스포츠교류, 전국체육대회 등 각종 종합체육대회 개최
⑦ 학생의 건강 및 체력향상에 관한 조사연구
⑧ 국민체력향상에 관한 조사연구 및 국민체육 육성보급
⑨ 경기기술 연구 및 향상
⑩ 경기자 및 경기지도자 양성 등
- 조직은 한국을 대표하는 종목별 아마추어 경기단체로 구성되며, 각 시·도, 해 외에 지부가 있다. 가맹경기단체 47개, 시·도경기단체 601개, 해외지부경기단체 136개를 비롯하여 16개 시·도지부, 13개 해외지부, 226개 시·군·구 체육회, 읍·면·동 체육회가 있다.
- 기구로는 대의원총회·이사회·대한올림픽 위원회를 비록한 각종 위원회가 있다.
- 선임임원에는 회장 1명, 부회장 약간명, 이사 20∼47명, 감사 3명, 명예회장 1명, 고문 약간명이 있고, 위원회는 위원 11명, 간사 1명으로 구성된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륜동 88번지에 있다.

국민체육 진흥공단
- 서울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은 국민체육진흥, 체육과학연구, 청소년 육성과 관련된 사업을 지원하고, 서울올림픽대회를 기념하는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국민체육진흥기금을 조성, 운용 및 관리목적으로 1989년 4월 20일 공익법인으로 설립되었다.
- 90년 7월 한국체육산업개발(주)설립, 9월 서울올림픽파크, 서울올림픽기념관 개관, 93년 2월 경륜사업본부 발족, 12월(주)한국스포츠TV설립, 94년 7월 분당올림픽스포츠센터 개관, 10월 경륜사업시행, 95년 5월 올림픽공원, 미사리조정경기장 일반인 무료개방, 6월 한국스포츠TV개국, 8월 평촌올림픽스포츠센터 개관, 10월 서울올림픽기념관 건립계획 확정, 97년 3월 경륜수원사업소 개장, 98년 4월 경륜상봉사업소 개장, 7월 경륜일산사업소 개장, 9월 일산올림픽스포츠센터 개관, 99년 1월 체육과학연구원 통합
- 설립목적은 서울올림픽대회 기념, 기금의 조성.운용 및 관리, 체육시설의 설치.관리 및 운영이다.
- 주요사업으로는 기금지원(학교, 사회체육진흥, 전문체육 육성, 체육산업육자, 청소년육성기금), 올림픽시설 관리.활용(올림픽 시설 관리.운영, 올림픽 공원 관광자원화, 올림픽 기념사업), 기금조성(기금증식사업, 체육복권.부가금, 경륜.경정.파크텔.CATV), 체육과학진흥(체육과학연구원 운영)이다.
- 이사회는 이사장, 상임이사2며이, 비상임이사 12명이 정수이며, 이사장, 상임이가2명, 당연직 비상임이사 3명, 비상임이사 7명으로 구성된다.
- 이사회의 기능은 공단의 경영목표. 사업계획 및 기금운용관리계획, 예산의 이월, 매회계년도의 예산.결산, 기본재산의 취득, 처분, 양여, 교환 및 지상권설정 또는 담보의 제공과 관리에 관한 사항, 자금의 차입.상환 및 출자에 관한 사항, 정관의 변경, 구성, 정원의 조정 및 제규정의 제정과 개정에 ;관한 사항, 공단의 지부설치에 관한 사항, 기타 이사장이 공단운영상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과 재적이사 3분의 1이상이 부의하는 사항등이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