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파이법과 그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델파이법
델파이의 수행방법
델파이법의 장점
델파이법의 한계
델파이법의 조건
델파이의 변형
델파이법의 사례 : 델파이법을 이용한 암연구수준의 평가

본문내용

부 장점을 살릴 수 있다.
델파이법의 사례 : 델파이법을 이용한 암연구수준의 평가
암연구수준평가를 위해 델파이법을 활용하였다. 델파이 라는 말은 미국의 RAND연구소에서 일하던 철학자 Kaplan에 의해 고안되었는데, 1950년대에 미국 RAND연구소의 Helmer, Dalkey와 Douglas사의 Gordon 등에 의해 국방성의 요청에 따라 미국에 대규모 원자탄 공격이 가해졌을 경우 예상되는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델파이법은 통상적인 대면 (face-to-face) 방식이 갖는 단점인 그룹내의 상호작용을 없애기 위해 익명성을 매우 중요시 하며, 응답에 대한 수정기회를 보장하고, 라운드를 반복수행하며, 그룹 전체 의견을 통계적으로 집계하고 의견의 분포적 특성을 제시하는 방법론적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델파이법의 특징을 적용하였다. 조사에 참여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지 못하도록 전문가 패널을 공개하지 않았으며 “우연히 패널로 참여하는 다른 사람을 알았더라도 의견교환은 하지 말도록” 함으로써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가능한 줄이고자 하였다. 수정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2회의 라운드를 실시하였으며, 2차 라운드 설문에서는 설문지, 1차 라운드 결과지, 1차 라운드 당시 본인이 작성한 설문지의 3가지를 같이 발송하였다. 1차 라운드의 결과지에는 각 문항별로 평균값, 중위수, 최빈수를 제시하여 의견의 통계적 분포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수준 평가의 사전 단계인 연구분야 선정 과정은 전통적인 델파이법의 제 1라운드인 브레인스토밍 과정에 해당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조사에 참여하는 패널들에게 개방형의 설문지를 주고 관련 주제를 선정하는 전통적 방식은 사용하지 않았다.
암연구 분야는 암정복10개년계획수립위원회에서 작성한 암연구 분야를 활용함으로써 브레인 스토밍 과정을 대체하고 다음의 표와 같이 분류하였다.
시급성, 중요성, 연구수준의 기준은 기술예측조사의 전례를 참고하였는데, 암연구의 시급성은 5점 척도로 하여 단기간(1~2년 이내)에 연구개발을 가장 시급히 착수해야하는 연구기술을 ‘5’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연구수준은 선진국의 최고 연구수준을 ‘5’로 하여 우리나라의 연구수준을 비교-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라운드마다 모든 전문가에게 2차례 이상의 전화를 통해 설문지를 받았는지 확인하고 주의사항을 전달하였으며 설문 진행상황을 점검하였다. 특히 “꼭 본인이 설문을 작성하도록” 주지하였다. 대리응답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2회의 라운드에 걸린 총 조사기간(1차 발송-2차 회송)은 5주였다.
델파이법이 합의를 도출하는 데에 그 목표가 있다면, 과연 몇 번의 라운드를 거쳐야 합의가 도출되는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안정도는 연속된 라운드간의 응답에 있어서의 일치성으로 정의되며 라운드 횟수 결정의 근거가 된다. 즉 연속된 라운드간의 응답이 일치한다면 추가적인 라운드는 불필요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합의가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변의계수와 예측연관성지표를 사용하였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66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