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표제가 붙은 마가복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155-215년경)는 현재 신약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문서에 정통하였으며, 유다서, 히브리서, 공동서신과 요한계시록을 포함한 모든 문서를 인정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185-253년경)는 많은 논쟁이 되었던 책들(히브리서, 베드로후서, 요한 2.3서, 야고보서, 유다서)을 인정할 만한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 인정된 책들(「호모로구메나」) 가운데 요한계시록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정경의 후기 형성
프레드릭 케년 경에 의해 1933-37년에 출판된 3세기 체스터 비티(The Chester Beatty) 파피루스 사본은 사복음서, 사도행전, 바울서신, 히브리서(로마서 다음에 있음), 요한계시록(9:10∼17:2 부분만이 보존되고 있다)을 인증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200-265년경)는 야고보서, 요한 2.3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영감된 성경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히브리서가 바울서신임을 증언했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298-373년)는 현재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27권의 신약성경에 대하여 "정경적"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정경의 후기 형성
프레드릭 케년 경에 의해 1933-37년에 출판된 3세기 체스터 비티(The Chester Beatty) 파피루스 사본은 사복음서, 사도행전, 바울서신, 히브리서(로마서 다음에 있음), 요한계시록(9:10∼17:2 부분만이 보존되고 있다)을 인증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200-265년경)는 야고보서, 요한 2.3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영감된 성경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히브리서가 바울서신임을 증언했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298-373년)는 현재 우리가 소유하고 있는 27권의 신약성경에 대하여 "정경적"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추천자료
고대교회의 기독교의 발전
구약석의 방법론 강의 정리
피터 와그너의 신학대학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일곱가지 영적원리를
구약성서개론 요약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여성관 및 여성상
성경적 리더십의 유형에 관한 고찰
성경적 리더십의 유형에 대한 분석
[성서][성경][초청][경제법][토지법][문학적 분석]성서(성경)의 예언, 성서(성경)의 초청, 성...
[성경][성서][종말사상][시편][황금률][팀목회][문법적 해석][신앙]성경(성서)의 종말사상, ...
[성서][성경][세계관][언약][토지법][종말][하나님의 나라]성서(성경) 형성, 성서(성경) 세계...
[성경][성서][사명][창세기][토지정의][노동정의][죄와 형벌][교회][설교]성경(성서) 사명, ...
[성서][성경][교리신조][선교][토지사상][종의 기원]성서(성경) 교리신조, 성서(성경)의 선교...
후기 이스라엘의 교육.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