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음악 교육
2. 중세(中世)의 음악 교육
3. 14~16세기, 문예 부흥기(文藝 復興期)의 음악 교육
4. 17세기의 음악 교육
5. 18세기의 음악 교육
6. 19세기의 음악 교육
7. 20세기의 음악 교육
8. 우리 나라의 음악 교육
1). 국가 기관에 의한 궁중 음악의 전수 ,교육
2). 민간 전문 예능인 들에 의한 민속 음악의 개별적 전수 형태.
2. 중세(中世)의 음악 교육
3. 14~16세기, 문예 부흥기(文藝 復興期)의 음악 교육
4. 17세기의 음악 교육
5. 18세기의 음악 교육
6. 19세기의 음악 교육
7. 20세기의 음악 교육
8. 우리 나라의 음악 교육
1). 국가 기관에 의한 궁중 음악의 전수 ,교육
2). 민간 전문 예능인 들에 의한 민속 음악의 개별적 전수 형태.
본문내용
을 담당하는 장악기관(掌樂機關)이 있었음.
신라 7세기 중엽부터 음성서(音聲署)를 설립 하고 여러 악관직(樂官職)을 두어 음악 행정과 교육을 담당함.
고려시대-통일 신라의 음악 문화를 계승.
중국 음악을 수입 및 접목함.(향악-민족고유의 음악, 아악-송나라, 당악-중국의 속악)
국가적인 장악기관(전악서,대악서, 악학,관현방)이 있어 음악의 전수 및 교육이 이루어 짐.
조선시대 전기-유교의 영향으로 예악(禮樂)이 강조. 궁중의식 중심의 음악이 중시.
악학궤범 제 9 대 성종 때에 간행됨(한민족의 전통 음악이 집대성됨)
조선시대 후기-궁중 음악은 위축됨. 학식과 교양을 갖춘 중인 출신의 등장
정악과 민속악의 출현(음악의 다양화,서민의 음악 생활이 일반화 되는 계기)
성악곡의 기악화, 번음 촉절현상, 악곡의 고음화 현상,
조현법 및 안현법 의 조정.
조선시대 음악의 전수 및 교육의 두 가지 형태
1). 국가 기관에 의한 궁중 음악의 전수 ,교육
(정간보,합자보가 민간에도 전해짐으로 인해 향악이 대중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함.)
2). 민간 전문 예능인 들에 의한 민속 음악의 개별적 전수 형태.
개화기(1884-1910) 가장 급격한 사회,문화,교육의 변화 시기
전통 음악을 관장해 온 장악원은 이왕직아악부로 개편됨.(1915)
민속음악의 급속한 발전
(가야금 산조, 판소리는 창가를 낳음, 민요의 번창)
일본 문화 정책 우리의 민속음악 발전을 중단 시킴.
·서양식 군악대-서양 악기로 편성된 악대.황실 및 정부의 행사에서 연주, 일반인들에게 서양 음악을 들려줌
·조선정악원 한국 전통음악의 정통을 보존할 목적으로 만든 사설기관.
·조양구락부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을 교육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최초의 사설 음악교육 기관
·개화기부터 해방 전까지 1880년 이래의 기독교를 비롯한 서양 문화의 유입으로 근대화된 교육 체제를 확립함.
찬송가를 지도하면서 시작되는 음악교육은 이른바 ‘신악’이었음(구가와 구악은 외면)
실용주의 사조의 영향으로 음악교육이 피폐해짐.
일정(日政)말기의 음악 교육은 군가 지도에 국한됨.
광복 후(1945)-새 정부 수립 후 연주와 창작 부문을 비롯한 모든 부분에서 활동이 확대됨.
음악 인구의 팽창(서양 음악 일변도의 발전과 확대)
국립 국악원 전통 음악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설립(1951년)
제1차 음악과의 교육 과정(1955) 음악이 가르쳐 지기 시작하고 교과서 가 마련됨
신라 7세기 중엽부터 음성서(音聲署)를 설립 하고 여러 악관직(樂官職)을 두어 음악 행정과 교육을 담당함.
고려시대-통일 신라의 음악 문화를 계승.
중국 음악을 수입 및 접목함.(향악-민족고유의 음악, 아악-송나라, 당악-중국의 속악)
국가적인 장악기관(전악서,대악서, 악학,관현방)이 있어 음악의 전수 및 교육이 이루어 짐.
조선시대 전기-유교의 영향으로 예악(禮樂)이 강조. 궁중의식 중심의 음악이 중시.
악학궤범 제 9 대 성종 때에 간행됨(한민족의 전통 음악이 집대성됨)
조선시대 후기-궁중 음악은 위축됨. 학식과 교양을 갖춘 중인 출신의 등장
정악과 민속악의 출현(음악의 다양화,서민의 음악 생활이 일반화 되는 계기)
성악곡의 기악화, 번음 촉절현상, 악곡의 고음화 현상,
조현법 및 안현법 의 조정.
조선시대 음악의 전수 및 교육의 두 가지 형태
1). 국가 기관에 의한 궁중 음악의 전수 ,교육
(정간보,합자보가 민간에도 전해짐으로 인해 향악이 대중 속에 뿌리내리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함.)
2). 민간 전문 예능인 들에 의한 민속 음악의 개별적 전수 형태.
개화기(1884-1910) 가장 급격한 사회,문화,교육의 변화 시기
전통 음악을 관장해 온 장악원은 이왕직아악부로 개편됨.(1915)
민속음악의 급속한 발전
(가야금 산조, 판소리는 창가를 낳음, 민요의 번창)
일본 문화 정책 우리의 민속음악 발전을 중단 시킴.
·서양식 군악대-서양 악기로 편성된 악대.황실 및 정부의 행사에서 연주, 일반인들에게 서양 음악을 들려줌
·조선정악원 한국 전통음악의 정통을 보존할 목적으로 만든 사설기관.
·조양구락부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을 교육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최초의 사설 음악교육 기관
·개화기부터 해방 전까지 1880년 이래의 기독교를 비롯한 서양 문화의 유입으로 근대화된 교육 체제를 확립함.
찬송가를 지도하면서 시작되는 음악교육은 이른바 ‘신악’이었음(구가와 구악은 외면)
실용주의 사조의 영향으로 음악교육이 피폐해짐.
일정(日政)말기의 음악 교육은 군가 지도에 국한됨.
광복 후(1945)-새 정부 수립 후 연주와 창작 부문을 비롯한 모든 부분에서 활동이 확대됨.
음악 인구의 팽창(서양 음악 일변도의 발전과 확대)
국립 국악원 전통 음악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 설립(1951년)
제1차 음악과의 교육 과정(1955) 음악이 가르쳐 지기 시작하고 교과서 가 마련됨
추천자료
음악교육의 성격, 목적, 지향점
1900년대 이후의 음악교육 - 과거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역사와 교육관
[유아교육과]2006우수논문 유아기의 음악교육
자신의 음악교육철학을 밝히는 레포트
학교 음악교육의 현대적 시각 및 본질탐구
(음악교육)예체능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비참여적 행동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유아음악교육: 오디에이션 보고서
[유아음악교육] 세계여러나라, 새노래배우기, 벽란도와 아라비아 상인 모의수업 활동 계획안
국가적 수준에서 영유아와 아동이 교육기관에서 경험해야 할 바람직한 태도 가치 지식 및 기...
영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달크로즈 음악지도법 유리드믹스를 활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최근 동향에 대하여 논하시오.
조기 음악교육에 대한 개인의 의견을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