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의 모든것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조선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조선 (古朝鮮) 1
2. 위치 1
3. 고조선의 국가형성과 사회성격 2
4. 종족 4
5. 고조선 국가형태 4
6. 고조선사람들의경제 활동 5
7.고조선 사람들의 생활 모습 8
8.고조선사람들의 종교 9
9.고조선의 과학기술 9
10. 고조선의 문학과 예술 10
11. 멸망 11

본문내용

현하기 이전에 이미 정치권력이 출현하고 사회신분의 분화가 일어났다. 고조선은 절도죄에 대한 처벌이 상해죄에 비하여 지나치게 가혹하다는 느낌이 있는데 이것은 사유재산 보호를 매우 중요시 했음을 알 수 있다. 사유재산 보호는 결국 이들 지배 귀족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사회신분에 따른 차별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심하지 않았던 것 같다. 이것은 <弘益人間>과 <在世理化>이념이 정치사상과 사회사상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8.고조선사람들의 종교
<1>고조선 종교의 명칭은 무엇이었을까. 단군 왕검을 선인 왕검이라고 부르고 단군을 선인이라고도 불렀던 것이다. 고조선의 종교가 선교(仙敎)였으며 그 지도자를 선인이라 불렀고, 그 길을 선도(仙道)라 하였다. 선인은 고조선의 종교 지도자들에 대한 칭호였으며 고조선의 종교가 선(仙)을 추구하는 선교였음을 알 수 있다.
곰·호랑이는 수호신을 의미하고 그 가운데 하느님을 숭배한 환웅족은 가장 높은 신분을 차지하였고 환웅족과 통혼을 한 곰족은 그 다음의 신분을 차지하였으며 호랑이족은 그보다 낮은 신분이 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2>고조선의 종교 풍속에는 어떤 것이 있었을까. 거수국에는 하느님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한 사람씩 있었는데 이 사람을 천군(天君)이라 불렀다. 그리고 소도라는 종교 성지가 있다. 고조선에서는 청동검·청동거울·청동방울 등을 손에 들고 몸을 치레거리로 장식하고 노래와 춤으로 신을 기쁘게 하려고 노력했으며 오늘날 우리 사회에 전해오는 제사의식은 일종의 종교의식인데 음식과 술로서 조상신을 접대하고 있다.
<3>고조선 종교가 추구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고대 사회에서는 종교사상은 그 사회의 종교문화라고 볼 수 있다. 고조선의 종교사상은 인본주의적, <홍익인간>이념이다. 사람들은 물론 신까지도 사람들과 더불어 행복을 누리는 공영의 사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9.고조선의 과학기술
<1>고조선의 청동 주조기술은 어떤 수준이었을까. 고조선의 주된 금속 제조 기술은 청동과 철에 대한 것이다. 인류 사회의 성격을 바꾸어 놓은 획기적인 청동기의 출현에 있어서, 고조선 지역이 중국의 황하 유역보다 수백년 앞선 서기전 2500년 경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고조선 지역이 그만큼 문화의 발전이 빠르다는 것을 알게 해줄뿐만 아니라 사회의 진화도 빨랐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고조선 지역에서 국가의 출현도 앞섰던 것이다. 청동에 아연을 적당히 배합하면 합금의 색깔과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는데 아연을 의도적으로 배합하여 청동기를 주조한 것은 한국 청동기만의 특징이다. 고조선에서는 청동기를 주조하는 데 있어서 돌이나 모래를 이용한 거푸집과 더불어 밀랍틀도 이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 밀랍틀은 하나의 제품을 만들 때 생산 능률은 낮지만 아주 섬세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청동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구리를 얻기 위하여 동광(銅鑛)을 개발하였다.
<거푸집>
10. 고조선의 문학과 예술
<1>고조선 사람들은 어떤 글들을 남겼나. 고조선이 독자적인 문자를 사용 했었는지의 여부는 아직까지 확인 되지 않고 있지만 한자가 일찍부터 사용되었음은 확실시 되며 수준 높은 문학 작품들이 있었다. <공후인>의 작가가 평범한 서민의 아낙이었음으로 미루어 즉석에서 가사를 만들어 노래를 부를 수 있었으므로 가사 문학이 일반 평민 사이에 널리 보급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당히 체계적인 풍수지리 이론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고조선 사람들의 예술 수준은 어떠했을까.
상당히 수준 높은 예술을 즐겼던 것으로 생각된다. 음악에선 공후,슬의 현악기와 석경의 타악기,새
다리 뼈를 이용하여 만든 피리의 관악기 등 여러종류의 악기가 보급되어 있었다. 이러한 악기는종
교의식은 물론 일상행활에서도 사용되었을이다.
영고, 동맹, 무천,5월제,10월제에서 온 나라 사람이 밤낮없이 연일 먹고 노래하고 출음 추었다는 자료로서 무용도 발달했던 것으로 짐작되며, 경상남도 반구대 암각화와 천전리 암각화, 양전동 암각화, 내몽고자치구 동부의 백차하유역의 암각화 등으로 미술 또한 높은 수준이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비파형동검, 세형동검, 청동거울 등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청동기의 형태와 제품의 정교함, 매우 섬세한 문양 등은 고조선의 높은 공예 수준을 알게해 준다.
<청동팔주령(청동방울)> <거친무늬 거울> <잔무늬 거울>
11. 멸망
고조선의 마지막 단계는 위만조선이다.
위만조선은 BC 2세기초 무렵 중국 연나라에서 망명해온 유망민들을 규합해 당시 고조선의 왕이었던 준왕을 내몰고 왕위에 오른 위만에 의해 세워진 국가이다.
위만은 보다 발달된 철기문화를 가지고 이주하여 토착 고조선인들과 연합하여 국가를 건설했다. 사서에 나타난 바로는 상비적인 군사조직과 공적 권력기구로서의 통치기구도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는데, 왕(王)·비왕(裨王)·상(相)·장군(將軍)·대신(大臣) 등을 들 수 있다. 위만조선은 발달된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진번·임둔 등의 주변 세력들을 누르고 한반도 중부 이남의 여러 세력집단들과 중국 한(漢)과의 사이에서 중계무역으로 부를 취했다. 한편 한(漢)은 오래전부터 자신들의 안위를 위협하던 흉노에 대한 정벌이 일단락되자 위만조선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BC 109년 한의 무제는 수륙양면으로 대군을 파견하여 위만조선을 공격했다. 왕검성을 배경으로 벌어진 수개월간의 치열한 접전 끝에 위만조선은 멸망되었다.
그 주된 이유는 위만조선의 지도층이 분열되어 결국 당시 왕이었던 우거가 주화파에 의해 살해당했기 때문이다. 한은 위만조선의 땅에 4군(四郡)을 설치하여 토착세력들을 통솔하려 하였으나 곧 치열한 항쟁에 부딪쳐서 진번(眞番)·임둔(臨屯), 뒤이어 현도군(玄郡)까지 축출되었다. 다만 낙랑군만이 위만조선의 도성이었던 왕검성을 기반으로 장기간 존속하면서 토착세력들이 성장을 방해했으나 이 역시 313년 한반도로부터 축출당했다.
<참고문헌>
윤내현, 「고조선 우리의 미래가 보인다」,민음사,1995
김기흥, 「새롭게쓴 한국 고대사」,역사비평사, 1993
사회과학출판사,「고조선 역사 개관」,중심, 1999
한국역사 연구회, 「한국의 역사」,역사비평사,1992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