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모두 글자 혹은 부호로 표현이 되어 있다.
9. 품새선 방향 기호
대략 행하는 자의 시작점은 글씨의 아랫부분 가운데가 된다. 그리고 기호는 시작점을 행하는 본인이 서있는 곳이므로 “나”로 표시하고 “나”의 위치에 대해 전방을 “가”로 표시한다. 또 왼쪽 방향을 “다” 오른쪽을 “라”로 표시했다. 중심부에서 시작하는 경우는 “‘十” “水” “卍” “一” 등이다. 이때 나의 위치에서 뒷방향은 “마”로 표시했다. 다음은 이 교본에서 사용되는 품새선과 방향표시이다.
10. 교본에 사진배치의 방향은 정반대로
교본에 사진배치의 방향은 정반대로 본 교본에서는 품새를 행하는 사람을 위하여 품새선의 방향이 되어 있으므로 교본을 보는 입장에서는 아래와 위 오른쪽과 왼쪽이 서로 바뀌어 표현되었다. 예를 들면(금강품새)
이는 내가 “나”의 위치에 서서 실제로 품새를 할 때의 방향 표시이다.
이는 수련자가 행하는 것을 위주로 방향 표시가 된 것이며 지도자는 그것을 바라보고 있을 때이다. 이와 같이 교본의 사진은 지도자가 행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자, 즉 수련자(시범자)가 행하는 것을 바라보며 배우기 때문에 방향이 반대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모두 글자 혹은 부호로 표현이 되어 있다.
9. 품새선 방향 기호
대략 행하는 자의 시작점은 글씨의 아랫부분 가운데가 된다. 그리고 기호는 시작점을 행하는 본인이 서있는 곳이므로 “나”로 표시하고 “나”의 위치에 대해 전방을 “가”로 표시한다. 또 왼쪽 방향을 “다” 오른쪽을 “라”로 표시했다. 중심부에서 시작하는 경우는 “‘十” “水” “卍” “一” 등이다. 이때 나의 위치에서 뒷방향은 “마”로 표시했다. 다음은 이 교본에서 사용되는 품새선과 방향표시이다.
10. 교본에 사진배치의 방향은 정반대로
교본에 사진배치의 방향은 정반대로 본 교본에서는 품새를 행하는 사람을 위하여 품새선의 방향이 되어 있으므로 교본을 보는 입장에서는 아래와 위 오른쪽과 왼쪽이 서로 바뀌어 표현되었다. 예를 들면(금강품새)
이는 내가 “나”의 위치에 서서 실제로 품새를 할 때의 방향 표시이다.
이는 수련자가 행하는 것을 위주로 방향 표시가 된 것이며 지도자는 그것을 바라보고 있을 때이다. 이와 같이 교본의 사진은 지도자가 행하는 것이 아니고 상대자, 즉 수련자(시범자)가 행하는 것을 바라보며 배우기 때문에 방향이 반대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추천자료
[독서감상문] 사람 VS 사람
태권도의 도덕적 교육 효과
체육교재연구-태권도 수업 지도안
철학적 의미의 태권도 정의,의리
무예, 무슬등 에서 말하는 형이란 무엇인가?
태권도 수련이 청소년기에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형태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시범과 도장경영
태권도와 택견의 상호영향
무예, 무슬등 에서 말하는 형이란 무엇인가?
[무주 태권도공원] 무주 태권도원의 개원에 따른 태권도의 발전 방안
무주 태권도원의 발전 방향
(논문 요약) “초등학생들의 태권도수련이 신체조성 및 체력형성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수련자 감소예방 태권도장경영전략] 태권도 수련자 감소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태권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