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태권도의 개념
Ⅱ 태권도의 역사
Ⅲ 태권도의 정신
(예의, 염치, 인내, 극기, 백절불굴)
Ⅳ 태권도의 품새
Ⅴ 태권도 경기
Ⅵ 택견의 개념
Ⅶ 택견의 어원
Ⅸ 택견의 가치
Ⅹ 택견의 품계
Ⅺ 택견의 경기
Ⅻ 태권도와 택견의 상호영향
1) 발 기술로서의 태권도와 택견
2) 스포츠로서의 태권도와 택견
3) 교육적 수단으로서의 태권도와 택견
4) 태권도와 택견의 차이점
5) 체급 구분
- 느낀점
※ 참고문헌
Ⅰ 태권도의 개념
Ⅱ 태권도의 역사
Ⅲ 태권도의 정신
(예의, 염치, 인내, 극기, 백절불굴)
Ⅳ 태권도의 품새
Ⅴ 태권도 경기
Ⅵ 택견의 개념
Ⅶ 택견의 어원
Ⅸ 택견의 가치
Ⅹ 택견의 품계
Ⅺ 택견의 경기
Ⅻ 태권도와 택견의 상호영향
1) 발 기술로서의 태권도와 택견
2) 스포츠로서의 태권도와 택견
3) 교육적 수단으로서의 태권도와 택견
4) 태권도와 택견의 차이점
5) 체급 구분
- 느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울러 경기 시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택견 경기의 승부는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것으로 결정되지만 또 얼굴을 발로 차면 이기게 되어 있어서 고난도 발 기술의 묘미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대의 높이 찬 발을 손으로 잡아 넘길 수 있게 하여 함부로 얼굴을 공격할 수 없도록 견제하고 있어서 다양하고 종합적인 기술구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를 두고 '백기신통비각술'이니 '유한한 몸에서 내는 무한한 발 기술의 예술'이라는 찬사가 따르고 있다. 사전에는 택견이 '씨름과 비슷한 유술의 한가지'라고 풀이되어 있으나 씨름과 태권도의 혼합된 형태라고 하는 것이 적절한 표현이다.
3) 교육적 수단으로서 태권도와 택견
태권도가 표방하는 수련의 목적은 수련자를 사람다운 사람, 즉 인간의 신체적 조건과 아울러 정신적 기틀을 보다 개선하겠다는 지향점을 갖는 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태권도의 교육적 역할은, 자아완성에의 의지를 실천하도록 안내한다는 점으로 귀결된다. 이를 위해서 태권도 수련자는 평화지향적인 기술체득원리를 이해하며 빈번하고 반복적인 예절 교육을 통해 자칫 빠지기 쉬운 자기중심적 삶을 뛰어넘어 인간생활에의 광범위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런 인간생활에서의 덕목들이 교육으로서 태권도가 추구하는 바이며 바로 이점이 태권도의 무도적 가치관이다. 택견 또한 귀중한 문화유산으로서 문화재적, 체육적, 무술적 가치가 탁월하다. 택견은 다른 종목의 체육, 무술, 레포츠등의 활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제반 효과를 가장 한국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특히 택견은 엘리트의식에 뿌리를 둔 다른 동양무술과는 달리 오랜 세월동안 민중 속에서 자라나면서 보편성과 일반성을 지니고 발전했다. 또한 현대 동양 무술 종목들이 경쟁적으로 국제 스포츠화를 지향 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경기로서의 오랜 역사는 택견이 곧바로 현대적, 국제적 스포츠가 될 수 있는 큰 장점이다. 그리고 다른 투기 종목과 차별되는 독특한 경기방식이 있고 그것이 또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이어서 보급하기가 쉽다. 특히 택견은 스포츠 경기로 발전한 한 대부분의 동양 무술들이 기존의 수행적 가치를 잃어버려 정체성이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데 비하여 이미 오래 전부터 경기와 무술의 중층구조로 발달해 온 택견은 경기와 무술의 배치된 개념을 상호조화하고 통합하는 대안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무술시장에서 우월한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택견은 앞으로 인류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4) 태권도와 택견의 차이점
태권도
택견
경기장
경기지역은10×10 합계선으로부터 사방 1~2m 안전지역 확보
8×8매트(mat) 중앙에 지름 2.5미터의 원을 5센티미터 선으로 표시
경기시간
부별 경기는 2분×3회전, 회전간 휴식시간을 1분, 동점으로 3회전 종료시 1분간 휴식 후, 써든데스 오버 타임회전으로서 2분 1회전의 제 4회전을 실시
3분 3회전, 중간휴식 1분 단체전일 경우 3분 1회전, 천하명인전과 같은 경기에서는 시간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복장
협회가 공인한 도복 및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몸통보호구, 머리보호구, 손. 발등 보호대) 샅보대, 팔다리보호대는 도복 안으로 착용.
선수는 백색 고의적삼에 솜을 넣은 버선을 착용하고 각각 청색과 백색의 행전과 상의 (上衣)를 입는다.
(필요에 따라 정장이 보호대를 착용)
심판원구성
부심1명, 부심3명,
주심1명, 부심2명, 배심1명
5) 체급 구분
태권도 - 세계주니어 선수권대회 성별 체급성별체급
구분
남자부
여자부
초등부
고등, 대학,
일반부
중등부
일반부
중등부
남녀공용
핀급
54㎏까지
39㎏까지
47㎏까지
39㎏까지
33㎏까지
플라이급
54초과 58
까지
39초과 43
까지
47초과 51
까지
39초과 42
까지
33초과 35
까지
밴텀급
58초과 62
까지
43초과 47
까지
51초과 55
까지
42초과 45
까지
35초과 37
까지
페더급
62초과 67
까지
47초과 51
까지
55초과 59
까지
45초과 48
까지
37초과 39
까지
라이트급
67초과 72
까지
51초과 55
까지
59초과 63
까지
48초과 51
까지
39초과 41
까지
L-웰터급
55초과 59
까지
51초과 54
까지
41초과 44
까지
웰터급
72초과 78
까지
59초과 63
까지
63초과 67
까지
54초과 57
까지
44초과 47
까지
L-미들급
63초과 67
까지
57초과 60
까지
47초과 50
까지
미들급
78초과 84
까지
67초과 71
까지
67초과 72까지
60초과 64
까지
50초과 53
까지
L-헤비급
71초과 75
까지
64초과 68
까지
53초과 56
까지
헤비급
84㎏ 초과
75㎏ 초과
72㎏ 초과
68㎏ 초과
56㎏초과
- 택견
구분
핀급
플라이급
반탐급
페드급
라이트급
월터급
미들급
헤비급
무제한급
애기
택견
30미만
30~33
까지
33~36
까지
36~39
까지
39~42
까지
42~45
까지
45~48
까지
48이상
제한없음
어른
택견
50미만
50~55
까지
55~50
까지
60~65
까지
65~70
까지
75~80
까지
75~80
까지
80이상
제한없음
단위 : kg
- 느낀점
이번 '태권도와 택견의 상호영향'이란 과제를 준비하면서 태권도와 택견에 대해서 몰랐던 역사와 정신, 그리고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었다. 택견은 우리 민족의 기층문화의 하나이다. 따라서 택견은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 속에서 체득한 인식 체계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택견에서 발전한 우리 민족의 전통 무예로서,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우리나라 국민들 모두가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 참고문헌
국기원, 태권도 교본, 오성출판사, 2000
이용복, 택견연구(민족무예), 학민사, 2001
이용복, 택견, 대원사, 1995
(한국.문화체육부.문화재관리국), 택견.태권도, 문화재 관리국
※ 사이트
대한태권도협회
http://www.koreataekwondo.org/
국기원
http://www.kukkiwon.or.kr/
택견코리아
http://www.taekkyonkorea.com/
3) 교육적 수단으로서 태권도와 택견
태권도가 표방하는 수련의 목적은 수련자를 사람다운 사람, 즉 인간의 신체적 조건과 아울러 정신적 기틀을 보다 개선하겠다는 지향점을 갖는 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태권도의 교육적 역할은, 자아완성에의 의지를 실천하도록 안내한다는 점으로 귀결된다. 이를 위해서 태권도 수련자는 평화지향적인 기술체득원리를 이해하며 빈번하고 반복적인 예절 교육을 통해 자칫 빠지기 쉬운 자기중심적 삶을 뛰어넘어 인간생활에의 광범위한 적응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런 인간생활에서의 덕목들이 교육으로서 태권도가 추구하는 바이며 바로 이점이 태권도의 무도적 가치관이다. 택견 또한 귀중한 문화유산으로서 문화재적, 체육적, 무술적 가치가 탁월하다. 택견은 다른 종목의 체육, 무술, 레포츠등의 활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제반 효과를 가장 한국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특히 택견은 엘리트의식에 뿌리를 둔 다른 동양무술과는 달리 오랜 세월동안 민중 속에서 자라나면서 보편성과 일반성을 지니고 발전했다. 또한 현대 동양 무술 종목들이 경쟁적으로 국제 스포츠화를 지향 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경기로서의 오랜 역사는 택견이 곧바로 현대적, 국제적 스포츠가 될 수 있는 큰 장점이다. 그리고 다른 투기 종목과 차별되는 독특한 경기방식이 있고 그것이 또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이어서 보급하기가 쉽다. 특히 택견은 스포츠 경기로 발전한 한 대부분의 동양 무술들이 기존의 수행적 가치를 잃어버려 정체성이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데 비하여 이미 오래 전부터 경기와 무술의 중층구조로 발달해 온 택견은 경기와 무술의 배치된 개념을 상호조화하고 통합하는 대안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것은 무술시장에서 우월한 경쟁력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택견은 앞으로 인류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4) 태권도와 택견의 차이점
태권도
택견
경기장
경기지역은10×10 합계선으로부터 사방 1~2m 안전지역 확보
8×8매트(mat) 중앙에 지름 2.5미터의 원을 5센티미터 선으로 표시
경기시간
부별 경기는 2분×3회전, 회전간 휴식시간을 1분, 동점으로 3회전 종료시 1분간 휴식 후, 써든데스 오버 타임회전으로서 2분 1회전의 제 4회전을 실시
3분 3회전, 중간휴식 1분 단체전일 경우 3분 1회전, 천하명인전과 같은 경기에서는 시간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복장
협회가 공인한 도복 및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몸통보호구, 머리보호구, 손. 발등 보호대) 샅보대, 팔다리보호대는 도복 안으로 착용.
선수는 백색 고의적삼에 솜을 넣은 버선을 착용하고 각각 청색과 백색의 행전과 상의 (上衣)를 입는다.
(필요에 따라 정장이 보호대를 착용)
심판원구성
부심1명, 부심3명,
주심1명, 부심2명, 배심1명
5) 체급 구분
태권도 - 세계주니어 선수권대회 성별 체급성별체급
구분
남자부
여자부
초등부
고등, 대학,
일반부
중등부
일반부
중등부
남녀공용
핀급
54㎏까지
39㎏까지
47㎏까지
39㎏까지
33㎏까지
플라이급
54초과 58
까지
39초과 43
까지
47초과 51
까지
39초과 42
까지
33초과 35
까지
밴텀급
58초과 62
까지
43초과 47
까지
51초과 55
까지
42초과 45
까지
35초과 37
까지
페더급
62초과 67
까지
47초과 51
까지
55초과 59
까지
45초과 48
까지
37초과 39
까지
라이트급
67초과 72
까지
51초과 55
까지
59초과 63
까지
48초과 51
까지
39초과 41
까지
L-웰터급
55초과 59
까지
51초과 54
까지
41초과 44
까지
웰터급
72초과 78
까지
59초과 63
까지
63초과 67
까지
54초과 57
까지
44초과 47
까지
L-미들급
63초과 67
까지
57초과 60
까지
47초과 50
까지
미들급
78초과 84
까지
67초과 71
까지
67초과 72까지
60초과 64
까지
50초과 53
까지
L-헤비급
71초과 75
까지
64초과 68
까지
53초과 56
까지
헤비급
84㎏ 초과
75㎏ 초과
72㎏ 초과
68㎏ 초과
56㎏초과
- 택견
구분
핀급
플라이급
반탐급
페드급
라이트급
월터급
미들급
헤비급
무제한급
애기
택견
30미만
30~33
까지
33~36
까지
36~39
까지
39~42
까지
42~45
까지
45~48
까지
48이상
제한없음
어른
택견
50미만
50~55
까지
55~50
까지
60~65
까지
65~70
까지
75~80
까지
75~80
까지
80이상
제한없음
단위 : kg
- 느낀점
이번 '태권도와 택견의 상호영향'이란 과제를 준비하면서 태권도와 택견에 대해서 몰랐던 역사와 정신, 그리고 많은 것들을 알 수 있었다. 택견은 우리 민족의 기층문화의 하나이다. 따라서 택견은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 속에서 체득한 인식 체계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택견에서 발전한 우리 민족의 전통 무예로서,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 우리나라 국민들 모두가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 참고문헌
국기원, 태권도 교본, 오성출판사, 2000
이용복, 택견연구(민족무예), 학민사, 2001
이용복, 택견, 대원사, 1995
(한국.문화체육부.문화재관리국), 택견.태권도, 문화재 관리국
※ 사이트
대한태권도협회
http://www.koreataekwondo.org/
국기원
http://www.kukkiwon.or.kr/
택견코리아
http://www.taekkyonkorea.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