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석의 진단법과 임상구조
정신병(Psychosis), 신경증(Neurosis), 성도착(Perversion)
정신병(Psychosis), 신경증(Neurosis), 성도착(Perversion)
본문내용
iton)’의 누락 : 언어와 의미(사회적으로 구성된 현실)의 결합상실
④ 해체된 언어와 신조어
J양이 지속적으로 표출한 기계적 페티시(fetish)와 몸에 대한 권력경험
- 그녀는 기계를 성적으로 활동하는 생명체로 생각하였다. 그녀가 표현하기를 “모든 기계가 나와 성교하기를 원한다”라고 하였다. 상담자와 함께 음료수 자판기 앞을 걸어갈 때, 그녀는 우리가 우회를 하여 그 자판기를 피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기계가 나를 원해요. 그것이 나와 함께 성교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함께 병원의 마당을 걸어갈 때, 그녀는 잔디를 깍은 기계로부터 우리는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잔기깍는 기계의 소음소리를 듣고 그녀는 놀라서 절박한 위험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녀는 세상의 모든 기계들이 자신을 성적으로 욕망한다고 절대적으로 확신했다. 성교의 문제는 그녀에게 지속되는 주제였다. 성(sex)은 기계적인 기능화(모양, 레버, 모터, 엔진, 그리고 프로펠라)와 깊숙히 연결되어 있었고, 기계에 대한 그녀의 권력 이미지는 망상적 지시대상의 틀 내에서 유동하였다. J양에게 기계는 중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공학에 의해서 엄격하게 보여지는 부분들로 구성되지도 않았다. 기계는 성교에 관한 메시지를 전하는 성적 존재였다. 기계장치들은 성적 침투(삽입)의 잠재적인 도구로서 유추된다.
<그림 1> 망상적 정체성 기능(유추)
담화과정=의미작용
합의적 현실
(기표/기의)
→
←
망상적 현실
(기표/기의)
기계=도구
소리=청각적 장애
레버-기계의 부속장치
기계=성적으로 살아있는 대상
소리=성교에 대한 메시지
레버=성적 침투를 할 수 있는 몸의 부분
J양의 망상 속에 표현된 것은 기계적 기능화와 성적 욕망(sexuality)을 연결; 기계에 의한 침투(성적 삽입)로서 성에 대한 J양의 권력경험을 정교화한다. J양에게 성은 지배를 내면화된 권력관계이다.
<그림 2> 망상적 정체성 기능(정교화)
담화과정=의미작용
합의적 현실
(기표/기의)
→
←
망상적 현실
(기표/기의)
방= 성애적 환경
몸=애인, 성욕
성교= 관능적 흥분
육체성
몸에 대한 감성
교환의 쾌락
성교 후 상황=
지연된 감성
타자 속의 쾌락
육체적 이완과 만족
방=비행기 활주로
몸=엄청난 소리를 내는 프로펠라 로서 애인의 팔
성교=엔진에 의한 삽입경험
소리에 대한 감성
엔진에너지에 대한 감성
성교 후 상황=
(비행기와 같이) 몸의 상승
엔진의 전복
방에서의 이탈
⑤ jouissance의 침입 또는 통제되지 않는 충동들
신경증자의 몸은 기쵸로 덧쓰여져 있다. 그것은 상징계에 의해 코드화되어 있는 것이다. 생물학적 기제로서 몸은 라깡이 ‘실재계(the Real)'이라고 부른 것이다. 그런 몸은 사회화를 통해 점차로 길들여져 극소수의 영역에 스며들 뿐인데, 그것이 이른바 성감대이다. 몸은 바로 이 성감대 속에서만 살아 있으며, 실재적일 수 있다. 여기서 주이상스는 경로화되어 있고 억제되어 있다. 하지만 정신병자에겐 그렇치 않다. 충동의 위계는 상상적으로 획득된 것이다. 따라서 그 위계를 지탱하는 상상계가 무너진다면 그 위계 또한 무너질 것이며, 그 위계가 붕괴되면 격렬하게 주이상스가 되돌아와 신체를 범람할 것이다.
⑥ 여성화 - Schreber 사례
⑦ 질문부재 : 욕망 부재
욕망은 질문, ‘욕망의 변증법’을 위한 자리가 정신병자에게는 없다. 요컨대 욕망이란게 없다. 언어구조가 없는 곳에서는 욕망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억압이 없기에 의심과 질문도 없다. 정신병자는 자신의 과거, 동기, 심지어는 사고와 꿈에 대해서도 전혀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④ 해체된 언어와 신조어
J양이 지속적으로 표출한 기계적 페티시(fetish)와 몸에 대한 권력경험
- 그녀는 기계를 성적으로 활동하는 생명체로 생각하였다. 그녀가 표현하기를 “모든 기계가 나와 성교하기를 원한다”라고 하였다. 상담자와 함께 음료수 자판기 앞을 걸어갈 때, 그녀는 우리가 우회를 하여 그 자판기를 피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기계가 나를 원해요. 그것이 나와 함께 성교하기를 원합니다.” 그리고 함께 병원의 마당을 걸어갈 때, 그녀는 잔디를 깍은 기계로부터 우리는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잔기깍는 기계의 소음소리를 듣고 그녀는 놀라서 절박한 위험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녀는 세상의 모든 기계들이 자신을 성적으로 욕망한다고 절대적으로 확신했다. 성교의 문제는 그녀에게 지속되는 주제였다. 성(sex)은 기계적인 기능화(모양, 레버, 모터, 엔진, 그리고 프로펠라)와 깊숙히 연결되어 있었고, 기계에 대한 그녀의 권력 이미지는 망상적 지시대상의 틀 내에서 유동하였다. J양에게 기계는 중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공학에 의해서 엄격하게 보여지는 부분들로 구성되지도 않았다. 기계는 성교에 관한 메시지를 전하는 성적 존재였다. 기계장치들은 성적 침투(삽입)의 잠재적인 도구로서 유추된다.
<그림 1> 망상적 정체성 기능(유추)
담화과정=의미작용
합의적 현실
(기표/기의)
→
←
망상적 현실
(기표/기의)
기계=도구
소리=청각적 장애
레버-기계의 부속장치
기계=성적으로 살아있는 대상
소리=성교에 대한 메시지
레버=성적 침투를 할 수 있는 몸의 부분
J양의 망상 속에 표현된 것은 기계적 기능화와 성적 욕망(sexuality)을 연결; 기계에 의한 침투(성적 삽입)로서 성에 대한 J양의 권력경험을 정교화한다. J양에게 성은 지배를 내면화된 권력관계이다.
<그림 2> 망상적 정체성 기능(정교화)
담화과정=의미작용
합의적 현실
(기표/기의)
→
←
망상적 현실
(기표/기의)
방= 성애적 환경
몸=애인, 성욕
성교= 관능적 흥분
육체성
몸에 대한 감성
교환의 쾌락
성교 후 상황=
지연된 감성
타자 속의 쾌락
육체적 이완과 만족
방=비행기 활주로
몸=엄청난 소리를 내는 프로펠라 로서 애인의 팔
성교=엔진에 의한 삽입경험
소리에 대한 감성
엔진에너지에 대한 감성
성교 후 상황=
(비행기와 같이) 몸의 상승
엔진의 전복
방에서의 이탈
⑤ jouissance의 침입 또는 통제되지 않는 충동들
신경증자의 몸은 기쵸로 덧쓰여져 있다. 그것은 상징계에 의해 코드화되어 있는 것이다. 생물학적 기제로서 몸은 라깡이 ‘실재계(the Real)'이라고 부른 것이다. 그런 몸은 사회화를 통해 점차로 길들여져 극소수의 영역에 스며들 뿐인데, 그것이 이른바 성감대이다. 몸은 바로 이 성감대 속에서만 살아 있으며, 실재적일 수 있다. 여기서 주이상스는 경로화되어 있고 억제되어 있다. 하지만 정신병자에겐 그렇치 않다. 충동의 위계는 상상적으로 획득된 것이다. 따라서 그 위계를 지탱하는 상상계가 무너진다면 그 위계 또한 무너질 것이며, 그 위계가 붕괴되면 격렬하게 주이상스가 되돌아와 신체를 범람할 것이다.
⑥ 여성화 - Schreber 사례
⑦ 질문부재 : 욕망 부재
욕망은 질문, ‘욕망의 변증법’을 위한 자리가 정신병자에게는 없다. 요컨대 욕망이란게 없다. 언어구조가 없는 곳에서는 욕망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억압이 없기에 의심과 질문도 없다. 정신병자는 자신의 과거, 동기, 심지어는 사고와 꿈에 대해서도 전혀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