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가 같으므로 역할 분담에 대해 주의할 점은 별로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찬양인도자는 선포될 말씀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고 있는 것이 좋다. 그래서 말씀과 어울릴 수 있는 찬양인도를 해야한다.
세 번째 형태는 예배인도자와 말씀선포자가 같고 찬양인도자만 다른 경우이다. 이 형태는 사실상 모든 순서의 인도자가 말씀 선포자이지만 설교자의 음악성 부족으로 인해 찬양인도자를 세운 경우이다. 이 경우 선곡은 설교자가 주도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경우도 있는 데 예배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한사람이 다 하기는 힘들기에 찬양인도자를 세울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단순히 예배시간의 피로만 생각한 경우와 예배준비의 문제까지 생각한 경우가 있는 데 후자의 경우는 예배인도자의 인도방침에 따라 찬양인도자가 선곡을 하고 예배 인도자와 역할 분담을 한다.
네 번째 형태는 세 가지 모두를 한사람이 인도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예배의 전체 흐름은 매우 자연스러우나 예배가 한시간을 넘어설 경우 인도자의 육체적인 피로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경우 보조 찬양인도자를 세우기도 한다. 보조 찬양인도자는 찬양의 도입부, 또는 전개부까지만 인도하고 임무를 전체 인도자에게 넘기게 된다.
세 번째 형태는 예배인도자와 말씀선포자가 같고 찬양인도자만 다른 경우이다. 이 형태는 사실상 모든 순서의 인도자가 말씀 선포자이지만 설교자의 음악성 부족으로 인해 찬양인도자를 세운 경우이다. 이 경우 선곡은 설교자가 주도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경우도 있는 데 예배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한사람이 다 하기는 힘들기에 찬양인도자를 세울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단순히 예배시간의 피로만 생각한 경우와 예배준비의 문제까지 생각한 경우가 있는 데 후자의 경우는 예배인도자의 인도방침에 따라 찬양인도자가 선곡을 하고 예배 인도자와 역할 분담을 한다.
네 번째 형태는 세 가지 모두를 한사람이 인도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예배의 전체 흐름은 매우 자연스러우나 예배가 한시간을 넘어설 경우 인도자의 육체적인 피로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경우 보조 찬양인도자를 세우기도 한다. 보조 찬양인도자는 찬양의 도입부, 또는 전개부까지만 인도하고 임무를 전체 인도자에게 넘기게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