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사본과 신약성경의 종교적 배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해사본과 신약성경의 종교적 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유대교에 입교한 이방인들 :
유대인들이 부당하게 완고한 배타주의자들이라고 비난을 받는 경우가 자주 있다. 사실 특히 흩어진 유대인들 중에는 이방인들에 대한 사명을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았고 이방인들을 유대교에 입교시키기 위해서 진지한 노력을 기울인 일이 있었다. 유대인의 종교를 받아들인다는 것이 이방인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입교지원자는 먼저 할례와 세례를 받아야 했고 안식일과 부정한 음식에 대한 규례와 같은 의식적인 법규들을 포함하여 모세의 모든 율법을 지키기로 서약해야만 했다. 그는 사실상 자기 본래의 민족성을 버려야만 했다. 이같이 엄격한 단계들을 거쳐서 유대교에 입교한 이방인들은 상당수에 달하였다. 더 많은 사람들이 로마의 퇴폐적인 다신교와는 아주 대조적인 유대교의 유일신 신앙과 엄한 도덕에 매료되어 있었다. 그들은 유대인들의 믿음과 사상에 자신을 일치시킬 각오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완전한 개종의 절차를 밟는 과정 앞에서 멈추고 있었다. 상당수가 부자요 영향력 있는 관리들이었던 이 유대교 동조자들은 신약성경에서 "하나님을 경외하는 사람들"혹은 "경건한 사람들"로 알려지고 있다(행 13:26,43,50,17:4).
사마리아인 대제사장 아므람(Amram) : 그는 오늘날 생존하고 있는 사마리아인 소수 공동체의 지도자이다.
사마리아인들 :
사마리아인들은 B.C. 722년 사마리아가 함락된 이후 그곳에 새로 이주시킨 이방 민족들과 피가 섞인 북방 이스라엘 왕국의 살아 남은 백성들의 후손이었다. 그들은 실제로 유다와 협력한 적이 결코 없었고 느헤미야 시대에 이르러서는 그 불화가 분명히 해결될 수 없는 것이 되고 말았다. 세겜을 내려다 보는 그리심산 위에 사마리아인의 성전을 건축한 것(요4:20)은 유대인들이 이 이단종교를 배척한 증거였다. B.C. 128년에 사마리아인의 성전을 파괴한 것은 유대인의 왕 힐카누스였다. 하지만 유대인이 그리하였듯이 사마리아인들도 하나님을 예배하였다. 그들의 권위는 모세오경(창세기에서 신명기까지이었다. 그러나 나머지 구약성경은 인정치 않았다. 그들의 모세오경은 유대인의 그것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많은 유대인들처럼 그들도 모세와 같은 선지자의 강림을 고대하였다. 사마리아인들에 대한 유대인들의 증오아 멸시는 어떤 근본적인 신앙의 차이에서 온 것보다는 역사적인 측명과 인종적인 측면에서 온 것이 더 많았다.
헬라인과 로마인의 종교
헬라인의 전통적인 옛 종교는 인간들처럼 사랑하고 다투고 싸우는 남신과 여신들의 신전과 함께 실제로 로마의 유사한 다신교와 융합되어 있었다. 그것은 헬라와 로마 문화의 일부로 보존되었고 또 공적으로 장려되었다. 대부분의 헬라인과 로마인들은 여전히 그 옛신앙에 공식적으로 동의하고 그 의식들에 참예하였으나 마음은 이미 그것들에서 떠나 있었다.
로마제국의 동부 지역에서는 이 신들이 지방 신들과 결합하여 때로는 땅을 지배하는 에베소의 다산의 여신과 헬라인의 아주 순결한 아데미(Artemis)여신이 동일시되는 것과 같은 우스꽝스러운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로마의 다이아나 여신. 행 19:24이하참조) 루가오니아 지방의 쓰스와 허메(Zeus Hermes. 로마의 Jupiter와 Mercury,행 14:11이하 참조) 숭배는 필시 그곳 지방신들에 전통적인 헬라 신들의 이름을 붙인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새로운 종교사상들이 일어난 것은 동방에서였다. 그중 하나가 황제숭배였다. 이것이 도미티안(A.D. 81-96년)이 자신을 "주와 신"으로 칭할 것을 주장할 때까지는 로마 황제들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장려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신약시대 전체를 통해서 아첨하는 신하들에 의하여 동방에서 자유롭게 행하여졌다. 그리스도의 탄생 이전에도 헤롯 대제는 아구스도(Augustus,헬라어는 "세바스토스","경배를 받을자")황제의 명예를 위하여 사마리아의 이름을 "세바스데"로 개칭하였고 또 그곳에 아구스도의 신전을 지었다.
보다 갱니적이고 감동적인 믿음을 원하는 자들은 신비종교들에 빠져들었다. 헬라의 신비적인 요소들-엘류시스의 신비나 오르퓨스의 신비-이 서방에 알려진지는 오래였으나 로마제국의 영토확장과 함께 애굽(이시스와 오시리스/세라피스)과 페르샤(미드라스)와 그 밖의 동방 여러 곳에 퍼져 있던 유사한 신비종교들이 차이가 있었다. 할지라도 개인적으로 일정한 가입절차를 밟아서 입교하지 않는 자에 대해서는 일제의식에 참예시키지 않는 공통점을 갖고 있었다. 의식들은 자주 신(페르세폰, 오르퓨스,오시리스,그리고 그 밖의 신들)의 죽음과 부활에 관한 신화에 중심을 두었고 모든 입교자들이 다 참예하는 연극을 통해서 그 신화가 재연되곤 하였다. 그들은 공식적인 국가의 종교가 지닌 냉냉한 지성주의와는 아주 다른 따뜻하고 감동적이며 개인적인 헌신의 정신을 불러 일으켰다.
점성술과 복술, 마술,마귀숭배,그리고 그 밖의 신비적인 관습들 역시 동방종교의 매혹적인 요소들로서 종교에 어떤 실재성과 실제적인 효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들이었다.
신약의 서신서들이 저작될 때 쯤에는 뒤에 가서 "영지주의"로 총칭된(A.D. 2세기) 수많은 종파들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세부사항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나 "물질"은 악하고 영은 선하다는 기본 사상을 함께나누고 있었다. 이 사상에 의하면 하나님이 물질로 만물을 창조하실 수 없었고 또 그의 아들이 그 물질세계 안에서 육신의 몸을 입으실 수도 없었다. 그러므로 그들은 하나님과 세상사이의 전반에 걸쳐서 종속적인 존재들을 대면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물질세계의 악을 함께 나누고 있었으나 가능한 신의 불꽃을 포함하고 있다. 사람이 구속받기 위해서는 하늘에 근원을 둔 지식(헬라어는 그노시스)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같은 견해들은 환상적인 신화들에 표현되어 있었고 또 신비종교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영지주의의 여러 종파들의 초보자들에게 알려져 있었다.
바울이 지적한 바와 같이 그 당시의 세상은 "범사에 종교성이 많았다"(행 17:22). 사람들은 헛된 신화가 아닌 따를 만한 가치가 있는 신앙을 원하였다. 그것은 하나님을 구하고 참되고 실제적이며 만족을 주는 종교로 인도하는 길을 간절히 찾는 세상이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