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노인의 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과학] 노인의 성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성생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노인과 성생활] 65세이상 노인 20%이상 성생활 지속
65세 이상 노인 5명중 1명이 현재 성생활을 지속하고 있으며 빈도는 월평균 1.37회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양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이창은씨가 최근 서울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백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펴낸 석사논문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따르면 19.5%(22명)가 현재 성생활을 지속하고 있다.
빈도는 한달에 한번이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두달에 한번이 4명 △한달에 두번 4명 △한달에 세번 2명 △일주일에 한번 1명 △일년에 두번 1명 순이었다.현재 성생활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마지막으로 성관계를 가진 평균연령이 남자의 경우 63.1세,여자의 경우 57.4세로 전체 평균 61.3세였다.
멋있는 이성을 보면 여전히 좋고 흥분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남자노인의 84%,여자노인의 14.3%가 그렇다고 응답해 남녀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현재 성생활을 하고 있는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아 성생활과 삶의 만족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생활에 대한 전체적 인지도를 나타내는 성생활 인식도의 경우 남자노인은 자아 존중감과 자아 성취감에,여자노인은 자아성취감과 현실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논문을 발표한 이씨는 한국사회에서 노인은 효의 대상으로만 간주돼 노인의 성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다며 노인은 무성적(無性的)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노인의 성생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60세 이상 노인 절반 성생활한다
60세 이상 노인의 절반이 성생활을 하는 것으로조사됐다.
23일 계명대와 달서구 신당종합사회복지관에 따르면 최근 대구지역 60세 이상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배우자가 있는 노인의 51%가 성생활을하고 있다고 답했다.
배우자가 없는 노인도 9%가 성생활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노년기 성생활과 관련해서는 배우자가 있는 노인의 58%, 배우자가 없는 노인의30%가 찬성한다는 입장을 각각 보였다.
찬성 이유로는 \'노화방지 등 건강에 도움이 돼서\'(38%)가 가장 많았으며 \'자신감 회복\'(12%), \'생활만족도 향상\'(4%) 등의 순이었다.
이와 반대로 노년기 성생활 반대의견(31%)도 적지 않았으며 \'건강에 해로와서\'(22%), \'망신스러워서\'(4%) 등이 주된 이유로 조사됐다.
계명대 이신영 교수(사회복지학과)는 \"노인들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이들이 성적 욕구를 건강하게 표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복지서비스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인의 성] 노년의 성욕
인간을 호모 에로티쿠스\' 라고 정의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인간의 섹스는 동물의 교미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발정기의 유무, 그리고 종족보전의 본능이냐 혹은 쾌락지향이냐가 그 차이일 것이다.
더욱 확연한 차이는 성욕의 형성과정이다. 물론 인간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성호르몬의 분비에 따라 성적인 반응과 기능이 달라지지만, 인간의 섹스에는 또 하나의 보조장치가 마련돼 있다. 바로 대뇌의 신피질이라는 구조이다.
신피질은 자신의 감정과 충동을 언어를 통해 정리하고 통제하는 곳. 성욕, 식욕, 수면욕 등 동물적 본능을 담당하는 곳은 뇌의 사상하부지만, 인간은 시상하부에서 느끼는 성욕을 대뇌의 신피질을 통해 증폭하기도 억제하기도 한다. 인간만이 성욕을 느끼는 대상과 정도가 다르고 변태 성욕이 생기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나이가 들면 당연히 성호르몬이 감소하고 성욕도 감퇴하지만, 이는 인간이 갖고 있는 동물적 조건에 지나지 않는다. 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성호르몬의 감소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인다. 한 통계에 따르면 정신노동자들이 육체노동자보다 성욕이 강하다고 한다.
뇌의 활동이 많은 사람들이 성적으로도 민감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문적 지식이 많거나 계산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성적으로 유리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뇌의 활동이란 풍부한 감성으로 일상에서 끊임없는 관심과 상상력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70대에 어린 아가씨와 열애를 했다는 피카소의 정력은 아마도 늙어서까지 예술가다운 풍부한 감성을 유지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이같은 뇌의 활동은 기본적 욕구를 담당하는 시상하부와 상호자극을 통해 성욕이나 성감을 강화시켜 준다.
화사하게 핀 봄꽃이나 아름다운 여인을 보면 점잖을 빼기보단 차라리 감탄사를 연발하자. 나이가 들었다는 핑계로 모든 것으로부터 무감각해지는 것은 노화를 재촉할 뿐이다. 일상의 모든 것에 호기심을 갖고 기쁨을 찾아내는 것. 자연의 순리인 노화에 대해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아름다운 반란이다.
65세이상 노인 20% \"아직 성생활\"…서울노인 113명 설문
65세 이상 노인 5명 중 1명이 현재 성생활을 지속하고 있으며 빈도는 월평균 1.4회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양대 대학원 간호학과 이창은(李暢恩)씨가 최근 서울 거주 65세 이상의 노인 1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라는 석사논문에 따르면 19.5%(22명)가 현재 성생활을 지속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빈도는 한달에 한번이 1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두달에 한번 4명 △한달에 두번 4명 △한달에 세번 2명 △일주일에 한번 1명 △일년에 두번 1명 등의 순이었다.
또 현재 성생활을 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마지막으로 성관계를 가진 평균연령이 남자의 경우 63.1세, 여자의 경우 57.4세로 전체 평균 61.3세였다.
멋있는(예쁜) 이성을 보면 여전히 좋고 흥분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남자노인의 84%, 여자노인의 14.3%가 그렇다고 응답, 남녀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현재 성생활을 하는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아 노인의 성생활 인식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을 발표한 이씨는 노인의 성생활이 삶의 만족도에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로 볼 때 노인이 더 이상 무성적(無性的) 존재가 아니라는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키워드

노인,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