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수집방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료수집방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에 제시된 A-B-A 설계이다.
〔예 2〕A-B-A 설계
○○○○
×○×○×○×○
○○○○
기초선 기간
A
처치기간
B
기초선 기간
A
다음 A-B-A 설계의 또다른 변형은 A-B-A-B 설계이다. 이 설계는 A-B-A 설계에 두 번째의 처치기간을 주는 것으로 다음 〔예 3〕의 경우와 같다.
〔예 3〕
○○○○
×○×○×○×○
○○○○
×○×○×○×○
기초선 기간
A
처치기간
B
기초선 기간
A
처치 기간
B
위의 A-B-A-B 설계는 실험처치의 효율성을 확실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중다기초선 설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는 아동의 행동 처치를 철회(withdraw)하거나, 기초선 측정으로 되돌아 갈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어진다. 예를 들면 연구자가 아동의 머리박기 자해행동에 대한 기초선 측정(A)에 따른 예정된 일정기간의 처치(B)를 수행한 후에 머리박기 행동이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처치를 철회한다면 아동보호 측면에서 윤리적 문제가 야기된다. 아울러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시 기초선 측정으로 돌아갈 경우에도 자해행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전(reverse)설계로는 불충분한 경우가 된다. 이렇듯 아동이 자신이나 혹은 타인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경우의 행동처치에 대한 임상실험은 대부분 중다 기초선 설계에 의존하게 된다.
중다기초선 설계가 사용되는 또다른 경우는 실험처치가 철회된 후, 문제의 표적행동이 이전의 기초선 측정 단계의 수준으로 되돌아가지 않아서 두 번째 기초선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실제로 대부분 연구자들은 강화기법을 실험처치 요인으로 사용할 때, 강화인자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도 문제의 표적행동 감소가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유의할 점은 표적행동의 지속적 감소현상이 실험처치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일이다. 때로, 환경변인에 따른 강화자가 실험처치의 강화자 역할을 대신할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실험처치 결과의 해석은 주의를 요하게 된다.
중다기초선 설계는 특정 실험상황에서 한 명의 연구대상자가 지닌 한 가지 표적행동을 연구 측정하는 것과는 달리, 다양한 대상, 혹은 다양한 상황, 또는 다양한 표적행동에 대한 기초선 측정이 비교적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여러 상황에서 여러 대상이 지닌 한 가지 표적행동에 대한 자료수집과 연구대상 집단의 수행도는 각 상황에 따라 더해지거나 평균으로 측정되고, 개인별 혹은 집단별 결과로 산출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 단일 실험설계 내에서의 실험조건은 동일해야하고,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목표(예, 표적행동의 감소)가 확실한 기준점에 도달할 때까지 실험처치는 계속되어야 한다. 중다 기초선 설계가 포함하고 있는 세 가지 기본 설계 구도는 다음과 같다.
① 다양한 표적행동의 설계(across behaviors)
한 명의 연구 대상이나 한 집단이 지닌 다양한 행동을 동시에 관찰 측정하는 설계이다. 말하자면 한 가지 실험처치기법을 여러 행동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다양한 표적행동 설계에서 유의할 점은 하나하나의 표적행동에 대해 실험처치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손가락빨기라는 표적행동 1에 대한 처치를 시작했을 때는 머리박기라는 표적행동 2는 기초선 측정수준에 머물러 있게 된다. 만약 표적행동 1에 대한 처치가 수행되는 동안 표적행동 2의 행동 변화가 야기된다면 이때 실험처치된 결과의 측정은 그 타당성을 상실하게 된다.
② 다양한 연구대상의 설계(across subjects)
이 설계는 한 가지 실험처치 기법을 여러 명의 피험자들을 상대로 적용할 경우이다. 다양한 연구대상 설계의 경우 연구대상들은 예를 들어 성별, 연령 등이 가능한 한 동일 수준에서 선별되어야 한다.
③ 다양한 연구상황의 설계(across settings)
여러 연구상황이 단일 설계 구도아래 조합된 경우로서, 한가지 실험처치 기법이 몇가지 정해진 연구상황에 동일한 조건으로 적용된다.
이 경우의 연구 상황은 가능한 한 자연적(natural)인 요인들이 파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동들에 대한 음식물강화가 학교상황에서 혹은 가정에서 또는 임상장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정신지체아들로 하여금 불이난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길러주고자 한다면 모의상황(simulation setting)에서의 설계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 언급된 3가지 중다기초선 설계구조의 적용 가능성을 부호화하여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행동설계
연구대상설계
상황설계
머리 박기
손빨기
괴성지르기
A-B-B-B-B
A-A-B-B-B
A-A-A-B-B
명수 A-B-B-B-B
철수 A-A-B-B-B
동수 A-A-A-B-B
학교 A-B-B-B-B
가정 A-A-B-B-B
교회 A-A-A-B-B
위의 행동설계의 부호화 예시를 실험처치의 상징적 상황으로 바꾸어 보면 다음과 같다.
머리박기(행동1) ○ ○ ○ × ○ × ○ × ○ × ○ × ○ × ○ × ○ × ○
손 빨 기(행동2) ○ ○ ○ ○ ○ ○ × ○ × ○ × ○ × ○ × ○ × ○ × ○
괴성지르기(행동3) ○ ○ ○ ○ ○ ○ ○ ○ ○ × ○ × ○ × ○ × ○ × ○
위에 제시된 예시에서 알아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행동1이 기초선에 뒤이어 실험처치에 들어간 후에야 행동 2가 실험처치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 다음에 뒤이어 행동3의 실험처치가 시작될 수 있다. 결국 차례에 따라 3 가지 다른 행동의 실험처치가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실험처치 효과가 입증될 때까지는 실험처치가 철회되지 않는다. 위의 설계 구조에 따른 결과는 대부분 그래프로 나타내게 된다.
수집된 자료를 그래프로 나타낼 때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① 수직선을 이용하여 분명하게 나타낸다.
② 각 단계내에 나타난 점선은 다른 단계에 나타난 점선과 연결시키지 않는다. (예, 기초선 단계와 실험처치 단계)
③ 실험조건에 따른 명칭은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예, 아동의 엄지손가락 빨기 행동)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10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1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