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 감염질환의 항생제 사용지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균성 감염질환의 항생제 사용지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서론

2. β-lactam계 항균제의 종류 및 발전 역사

3. Aminoglycoside계 항균제

4. Macrolide계 항균제

5. Glycopeptide계 항균제

6. Quinolone계 항균제

7. Streptogramin계 항균제

8. Oxazolidinone계 항균제

9. 결론

본문내용

효과를 보여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vancomycin 내성 그람양성균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Quinupristin/dalfopristin이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치료에서 E. faecalis에는 감수성이 없는데 비해, linezolid는 E. faecium 이외에 E. faecalis에도 항균력을 보인다. 또한 경구 생체이용률이 우수하여 조기에 경구용 약제로의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9. 결론
세균성 감염질환의 치료에서 최신 항균제의 사용이 반드시 최신 치료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최신 약제의 남용에 의한 내성균 전파 및 의료 비용의 상승 등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세균성 감염질환의 치료에서는 최신 항균제의 사용보다는 가장 저렴하고 항균 영역이 좁은 항균제를 최소한의 기간 동안 투여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주의 깊은 문진과 병력 청취 및 진찰 등이 기본적으로 요구되며 이와 함께 항균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새로이 개발되는 항균제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전 과정에 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Penicillin 및 cephalosporin은 초기에 그람양성균에 주로 효과적이었으며 이후에 주로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 영역을 넓히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왔고, quinolone의 경우는 초기에 주로 그람음성균에 대해 효과적이었으나 이후 그람양성균과 혐기성 균에 대한 항균력을 늘리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Penicillin과 cephalosporin에 내성인 그람양성균에 대해 vancomycin과 teicoplanin 등의 glycopeptide가 사용되었으며 glycopeptide에 내성을 보이는 장구균 등이 등장하면서 이에 효과적인 streptogramin이나 oxazolidinone계 항균제가 새로이 개발되었다.
모든 환자들의 세균 감염증이 동일한 균주나 같은 단계의 내성 양상을 보이지는 않아 일률적으로 최신의 항균제를 투여하기 보다는 환자의 임상 양상 및 검출 균주에 따라 적절한 항균제를 골라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실제 임상에서는 어려운 문제일 수도 있지만 내성균 전파의 차단 및 의료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 자세한 문진과 진찰 후에 전문적인 항균제 지식을 바탕으로 가장 적절한 항균제가 선택되어야 한다는 점은 세균 감염증을 치료하는 의료인이 숙지해야 하는 매우 기본적인 원칙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3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