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재의 인도공화국과 1947년에 각각 분리·독립한 파키스탄 및 방글라데시 공화국도 포함하는 인도아대륙(인도반도)의 역사.
개요
남쪽으로는 드넓은 대양이 감싸고 있고, 북쪽으로는 거대한 히말라야 산맥이 가로막고 있어 북극의 찬바람과 중앙 아시아의 건조한 기류를 차단시켜준다. 이와 같은 지형적 영향으로 인도아대륙은 최북단에 해당하는 잠무와 카슈미르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아열대성 기후대를 이룬다. 육로로 접근이 용이한 곳은 북서쪽과 북동쪽뿐인데, 외부세계와의 접촉은 대부분 이 지역을 통해 이루어졌다. 서쪽으로는 구릉들과 산들로 이루어진 인도-이란 국경이 있고, 동쪽으로는 인도-미얀마 국경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이 가로놓여 있다. 인도아대륙은 대체로 북부지역의 인더스·갠지스 강 유역과 남부지역의 인도반도로 구분된다. 인더스와 갠지스 강 유역은 광막한 충적평야가 펼쳐진 곳으로 위대한 두 도시문화, 즉 BC 3000년경의 인더스 강 유역 문명과 BC 1000년경의 갠지스 강 유역 문명을 낳은 중심지였다. 남쪽으로 이 지역을 반도와 분리시키는 구릉들과 산림지대에는 오늘날까지도 원주민이 살고 있다. 이 지대를 가로질러 서쪽으로 나르마다 강이 흐른다. 이 강은 오랫동안 북인도와 남인도의 상징적인 경계선이 되었다.
개요
남쪽으로는 드넓은 대양이 감싸고 있고, 북쪽으로는 거대한 히말라야 산맥이 가로막고 있어 북극의 찬바람과 중앙 아시아의 건조한 기류를 차단시켜준다. 이와 같은 지형적 영향으로 인도아대륙은 최북단에 해당하는 잠무와 카슈미르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아열대성 기후대를 이룬다. 육로로 접근이 용이한 곳은 북서쪽과 북동쪽뿐인데, 외부세계와의 접촉은 대부분 이 지역을 통해 이루어졌다. 서쪽으로는 구릉들과 산들로 이루어진 인도-이란 국경이 있고, 동쪽으로는 인도-미얀마 국경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히말라야 산맥이 가로놓여 있다. 인도아대륙은 대체로 북부지역의 인더스·갠지스 강 유역과 남부지역의 인도반도로 구분된다. 인더스와 갠지스 강 유역은 광막한 충적평야가 펼쳐진 곳으로 위대한 두 도시문화, 즉 BC 3000년경의 인더스 강 유역 문명과 BC 1000년경의 갠지스 강 유역 문명을 낳은 중심지였다. 남쪽으로 이 지역을 반도와 분리시키는 구릉들과 산림지대에는 오늘날까지도 원주민이 살고 있다. 이 지대를 가로질러 서쪽으로 나르마다 강이 흐른다. 이 강은 오랫동안 북인도와 남인도의 상징적인 경계선이 되었다.
본문내용
다산 강 및 켄 강 상류가 흐른다. 이밖에도 파르바티·시프라·참발·감비르·초티칼리신드 강이 있는데 이 강들은 계단식 비탈이 늘어선 하곡(河谷)을 끼고 흐른다. 식생은 티크와 살나무 삼림이 산재한 사바나 형태이다. 경제는 농업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주요농작물은 곡류·콩류·유료종자·목화이다. 면화를 비롯해서 면직물·설탕·식물성기름·목재·종이 등을 생산한다. 참발 강 유역 개발사업으로 관개와 수력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라틀람에는 요업공장, 보팔과 우자인에는 기계 공장이 있으며 인도르에는 주물공장이 하나 있다. 간선도로가 상당수 연결되며 인도르와 보팔에는 공항이 있다.
카티아와르 반도
── 半島
Kthiwr Peninsula
인도 중서부 구자라트 주 남서부에 있는 반도.
면적은 6만㎢이며, 북쪽은 소(小)쿠치 습지, 북서쪽은 쿠치 만, 남서쪽은 아라비아 해, 동쪽은 캄베이 만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대에 형성된 사암층이 대부분 용암으로 덮인 채 북동쪽에서 반도까지 뻗어 있다. 서쪽과 동쪽 해안 지역에는 점토와 석회암 지대가, 남쪽 해안지역으로는 충적토와 굳은 모래땅이 펼쳐진다. 바람에 의해 쌓여 단단하게 굳어진 이 모래층은 흔히 포르반다르 돌이라고 하며 건축자재로 널리 쓰인다. 캄베이 만 근처 지역은 대부분 충적토로 덮여 있다.
대부분 지역이 해발 180m 이하이나 기르나르 구릉과 고립된 기르 구릉은 각각 해발 1,117m와 647m이다. 건조하고 무더워 주로 가시덤불이 자생하지만, 바다와 가까운 저지대에서는 홍수림을 흔히 볼 수 있다. 기르 구릉의 숲에는 마지막 남은 야생 인도사자들을 비롯한 많은 야생동물들이 서식한다. 주요경제활동은 농업이며, 밀·수수·목화를 주로 재배한다. 바브나가르는 주요 도시이자 항구이다. 카티아와르에 사람이 정착한 것은 BC 3000년경으로 추정되며, 로탈과 프라바사파탄(파탄솜나트)에서 하라파 문명의 유적이 발굴되었다. BC 3세기에는 마우리아 왕조의 영향권에 있었으나 뒤에 샤카족에게 넘어갔다. 그후 수백 년 동안 크샤트라파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5세기에 굽타 제국이 쇠퇴하면서 발라비족에게 점령되었다. 이 지역은 이슬람교도들이 인도를 침공하기 시작하면서부터 가즈나의 마흐무드의 원정과 1024년의 솜나트 약탈이 절정에 다다른 시기까지 그들의 공격에 시달렸다. 그후 무굴 제국에게 넘어갔으며 1820년부터는 많은 군소 공국들이 영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인도 갠지스 평원
── 平原
Indo-Gangetic Plain
인도 대륙 중부의 드넓은 평원지대.
동쪽으로 벵골 만에서 서쪽으로 아프가니스탄 국경 및 아라비아 해까지 펼쳐져 있다. 인도 반도에서 가장 비옥하고 인구가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대부분 동쪽의 갠지스 강 및 브라마푸트라 강과 서쪽의 인더스 강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충적토로 덮여 있다. 동부지방은 겨울에 비가 약간 오거나 가뭄이 드는 반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와 상당히 넓은 지역이 물에 잠겨 습지나 얕은 호수가 된다. 북서쪽으로 갈수록 점점 건조해져서 파키스탄 서부에 이르면 완전히 사막으로 변한다
카티아와르 반도
── 半島
Kthiwr Peninsula
인도 중서부 구자라트 주 남서부에 있는 반도.
면적은 6만㎢이며, 북쪽은 소(小)쿠치 습지, 북서쪽은 쿠치 만, 남서쪽은 아라비아 해, 동쪽은 캄베이 만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대에 형성된 사암층이 대부분 용암으로 덮인 채 북동쪽에서 반도까지 뻗어 있다. 서쪽과 동쪽 해안 지역에는 점토와 석회암 지대가, 남쪽 해안지역으로는 충적토와 굳은 모래땅이 펼쳐진다. 바람에 의해 쌓여 단단하게 굳어진 이 모래층은 흔히 포르반다르 돌이라고 하며 건축자재로 널리 쓰인다. 캄베이 만 근처 지역은 대부분 충적토로 덮여 있다.
대부분 지역이 해발 180m 이하이나 기르나르 구릉과 고립된 기르 구릉은 각각 해발 1,117m와 647m이다. 건조하고 무더워 주로 가시덤불이 자생하지만, 바다와 가까운 저지대에서는 홍수림을 흔히 볼 수 있다. 기르 구릉의 숲에는 마지막 남은 야생 인도사자들을 비롯한 많은 야생동물들이 서식한다. 주요경제활동은 농업이며, 밀·수수·목화를 주로 재배한다. 바브나가르는 주요 도시이자 항구이다. 카티아와르에 사람이 정착한 것은 BC 3000년경으로 추정되며, 로탈과 프라바사파탄(파탄솜나트)에서 하라파 문명의 유적이 발굴되었다. BC 3세기에는 마우리아 왕조의 영향권에 있었으나 뒤에 샤카족에게 넘어갔다. 그후 수백 년 동안 크샤트라파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5세기에 굽타 제국이 쇠퇴하면서 발라비족에게 점령되었다. 이 지역은 이슬람교도들이 인도를 침공하기 시작하면서부터 가즈나의 마흐무드의 원정과 1024년의 솜나트 약탈이 절정에 다다른 시기까지 그들의 공격에 시달렸다. 그후 무굴 제국에게 넘어갔으며 1820년부터는 많은 군소 공국들이 영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인도 갠지스 평원
── 平原
Indo-Gangetic Plain
인도 대륙 중부의 드넓은 평원지대.
동쪽으로 벵골 만에서 서쪽으로 아프가니스탄 국경 및 아라비아 해까지 펼쳐져 있다. 인도 반도에서 가장 비옥하고 인구가 밀집해 있는 지역으로 대부분 동쪽의 갠지스 강 및 브라마푸트라 강과 서쪽의 인더스 강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충적토로 덮여 있다. 동부지방은 겨울에 비가 약간 오거나 가뭄이 드는 반면 여름에는 비가 많이 와 상당히 넓은 지역이 물에 잠겨 습지나 얕은 호수가 된다. 북서쪽으로 갈수록 점점 건조해져서 파키스탄 서부에 이르면 완전히 사막으로 변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