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성주의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무방하게 된다. 이리하여 심리학은 신경계통과의 의존관계에 있어서 경험을 취급하는 과학이라고 정의된다. 또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은 의미를 취급할 것이 아니므로 의존적 경험은 순수한 경험내용, 즉 의식과정을 가리키는 것이다.
심리학의 방법은 관찰이며, 그것은 물리학에 있어서의 관찰과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없다. 심리학적 관찰이란 앞에서 말한 심리학적 입장에서 경험을 명료하게 파악하고 정확한 술어를 사용하며 그것을 자세하게 보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일반적으로 內觀(introspection)이라고 하며 티치너도 처음에는 그렇게 불렀으나 내관의 뜻이 애매해서 후에 특별히 관찰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구성심리학의 주장에 의하면 심리학은 의식에 관하여 세 개의 질문에 해답을 주려고 한다. 즉 ① 의식은 어떤 내용으로 성립되어 있는가 ② 어떻게 일어나는가 ③ 어떤 원인으로 일어나는가 라는 것이다. 제 1의 질문에 대한 답은 분석이다. 심리학자는 먼저 관찰을 기초로 해서 의식과정을 분석하고 간단한 구성분자를 발견한다. 이것을 심리요소(mental elements)라 하고 감각, 심상 및 감정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감각은 지각의, 심상은 관념의, 감정은 情動의 특유한 요소로 간주된다. 요소는 각각 몇 개의 속성(attributes) 또는 차원(dimensions)으로 분석된다. 티치너는 감각과 심상의 차원으로서 성질의 강도·지속·연장 및 명료도를 들고 감정은 명료도를 갖지 않는다고 한다. 이리하여 의식과정은 요소와 속성이라는 말로 기술되는 것이다. 제 2의 질문에 대하여는 총합으로서 대답한다. 즉 각 의식과정이 어떤 요소에 의하여 어떤 조건 밑에서 조직되는가를 관찰하고 심적 결합 및 추이의 법칙을 밝힌다. 이 관계에서 연합설이 적용되는 것이다. 제 3의 질문에 대하여 티치너는 정신물리적 평행설(psychophysical parallelism)의 입장에서 의식이 일어나는 원인을 설명한다. 구성심리학은 내관심리학에 포함되나, 독일의 구조심리학(Struktur-Psychologie)과는 다르다. 티치너는 만년에 자기의 심리학을 실존심리학(existential psychology)이라고 칭하고 그 개념도 상당히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의식내용을 감각에만 한정하고 그것이 속성의 묶음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속성(차원)을 통하여 現象하는 것이라고 본 것 같다. 그러나 이 점에 관하여 공표된 것이 없으므로 확언할 수는 없다.

키워드

구성,   이론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3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