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의 기독론 요약 - 오스카 쿨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의 기독론 요약 - 오스카 쿨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약의 기독론 요약 - 오스카 쿨만

본문내용

하나님에 의해 새로운 제사장 반열의 영원한 제사장으로 칭하심을 받았다. 따라서 그는 멜기세덱과 같은 대제사장으로서 신자들을 위해 하나님이 계신 지성소로 들어가셨다. 옛 제사장과는 대조적으로 이 새로운 반차는 영원성을 가지며, 예수님은 무궁한 생명의 능력에 근거한 제사장이 되셨다. 그는 무궁한 제사장으로서 영원히 계시기 때문에 백성들을 온전히 구원하실 수 있으며 그는 항상 자기 백성들을 위하여 간구하신다(히 6:25).
베드로와 유다의 서신에서 예수님의 지상 생애는 베드로의 기독론의 핵심을 이룬다. 베드로는 예수님의 삶에서 나타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하나님의 영원한 계획을 바라보았다. 하늘의 하나님은 이러한 지상의 사건들을 통해 역사하셨다.
하나님의 뜻은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을 통해 성취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신자들도 하나님의 뜻에 따라 고난을 받으며 미쁘신 조물주께 자신을 맡길 수 있다.
성육신 교리는 베드로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제시에 함축되어있다.
다. 신약성경신학에서 기독론(그리스도)은 신약성경신학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사복음서는 대부분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사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사도들의
서신들은 부활, 승천하신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로서 십자가의 구속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안에서 그를 믿는 믿음의 백성들에게 장차 도래(渡來)할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약속하고 있다.
*** 요한복음 서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표현한 “로고스”(λγο)는 태초에 계셨던 말씀으로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로고스=말씀’이라고 하지만 이는 정확한 번역이 아니다. 로고스는 그리스 철학 용어로서 로고스를 정확히 이해하려면 고대 그리스인의 우주관과 철학을 이해해야 될지도 모른다. 로고스의 헬라적 배경을 통해 조금이나마 사도 요한의 기록 의도를 짐작할 수가 있다고 본다. 로고스는 우주적 존재(우주의 영혼)이며 힘이었다.
요한복음 1장에서 세례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라고 말했다.
요한복음에는 예수님의 죽음과 관련하여 유월절의 상징이 분명히 제시 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세례 요한의 선언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세상 죄를 지고 가는 ..... 어린 양”은 레위기서에 나타난 속죄 제물로서의 어린 양의 이미지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세례 요한은 제사장 사가랴의 아들이었다. 그 당시 관습에 따라 요한도 제사장이 될 수도 있었다.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요단강에 와서 요한에게 자기 죄를 자백하고 세례(침례)를 받았다. 예수님도 요한에게 오셔서 세례를 받으셨다. 그 때(세례 집례 때) 요한은 앞서 많은 사람들이 자백한 죄를 예수께(어린양 되신) 전가(轉嫁)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예수님은 광야에서 돌아와 요한에게 “세상 죄를 지고 가는 ...... 어린 양”으로 불리었다.(아사셀 양) 세례 요한은 산 제물인 어린 양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하나님께 희생 제물로 바쳐지기 전에 그 머리에 안수하여 백성들의 죄를 전가시킨 제사장의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키워드

신약,   기독론,   요약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4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