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 스포츠의 상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계 스포츠의 상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는 내용이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한 사람의 스키 손상을 예방하려면 얼마만큼 많은 조직적인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는지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스키의 대중화는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이며 앞으로 스키어의 증가와 이로 인한 스키 손상의 증가는 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에 스키에 대한 조언을 하게 되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 시급하며, 조직적인 교육 여건이 안되어 있다면 이런 사람들은 책임감을 느끼고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여, 무책임한 조언으로 인해 자칫하면 주변 인물들에게 벌어질 수 있는 스키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SNOWPLOW TURNS(프르그 보겐)
독일 용어로 (프르그)에 해당되는 Snowplow는 스키를 V자 형태로 만들어야 하며, Steering을 만들기 위해 스키를 충분히 넓혀야 하며, 스키의 V자 형태로 만드는 크기는 각각 개인마다 다른다.
프르그에 해당되는 Snowplow는 자연스럽게 서 있는 자세에서 스키를 V자 형태로 놓고 양발에 동일하게 체중분배를 하여 폴라인(Fall line)을 향해 직선으로 제동이 걸리면서 활주하는 것을 말한다.
Snowplow turns은 최소한의 제동으로 설 면을 가로질러 활주하여야 하며, 턴과 턴 사이에서는 Flexion상태에서 Extension, 즉 일어서기 시작하면서 스키의 Tip부분을 양발로 조정하여 폴 라인(Fall line)으로 향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턴의 정점에서 다시 Flexion, 즉 하체발목, 무릎, 골반으로 구부리기 시작 하여야 한다.
스키의 조정 능력은 스키에 엣지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Pivoting을 지속적으로 하려고 노력,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여기에 Pivoting하는 움직임은 실질적으로 적으며, 하체의 근육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Pivoting하는 것에 국한된다. 여기서 Down하는 자세, 즉 신체를 낮추는 움직임은 스키의 조정 능력을 도와준다.
스키가 점진적으로 폴라인(Fall line)으로 떨어지면서 체중을 실어 주는 바깥쪽 스키에 약간의 엣지(edge)를 증가시키고 체중을 적게 실어 주는 원호의 안쪽 스키는 엣지(edge)를 약간 감소시키므로 서 스키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체중이 실려 있는 원호의 바깥쪽 스키에 증가하는 압력(Pressure)에 대항하여 균형을 유지할 수 잇는 가장 기본적인 자세가 바로 앵귤레이션(Angulation)이다.
서서히 Down자세로 움직이는 Flexion은 턴의 마지막 부분까지 지속적인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Flexiondms은 신체의 모든 관절을 구부려 주므로 서 신체의 중심이 앞, 뒤가 아닌 가운데에서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여, 이는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업과 다운 동작, 즉 Flexion과 Extension은 초급자에게 있어서 타이밍 패턴(Timing pattern)을 만들어 준다.
NOVICE TURNS(슈템 턴)
너비스(Novice)는 슈템 텀에 해당되며, Snowplow보다 좀더 진보된 기술이며, 너비스(Novice)를 소화해 내는 스키 어는 좀 더 빠르게 스키를 탈 것이고 다양한 슬로프를 활주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너비스 턴(Novice turn)은 턴 마지막에 가서 패럴렐(Parallel)형태로 끝나며, 턴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스키의 Position은 Snowplow와 비슷한 턴이다.
너비스 턴(Novice turn)의 목표는 강습생들에게 좀더 나은 스키 조작을 부여하고 패럴렐 형태에서 턴을 할 때는 어떻게 스키를 조정하는지를 배움으로서 패럴렐 기술을 구사하기 위해서 한발 더 다가서는 것이다.
너비스 턴(Novice turn)의 기술구사는 스키를 11자 형태로한 페럴렐 포지션(Parallel position)에서 턴을 시작할 때 스키의 모양을 V자 형태로 모양을 바꾸기 시작함과 동시에 일어서는 동작을 자연스럽게 같이 하면서 폴라인(Fall line)으로 떨어진다. 이때 체중 이동도 압력을 가하고자 하는 스키로 천천히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스키의 방향이 폴라인(Fall line) 이후부터 신체를 다운 동작을 시작함과 동시에 스키의 모양이 11자 형태(Parallel position)로 천천히 바뀌어 가면서 턴이 마무리가 된다.
너비스 턴(Novice turn)에 있어서 턴의 5가지 요소 중 Pivoting을 얼마나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잘 하느냐에 따라서 너비스 턴(Novice turn)이 부담스럽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스키,   사고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4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