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에 따른 호르몬의 반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에 따른 호르몬의 반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른 호르몬을 통해서...) 간 내의 글리코겐을 분해해서 포도당을 공급하거나, 지방 세포의 지방을 분해해서 지방산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3.지방산(Fatty Acid)
에너지 원으로서 지방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호르몬이 포도당을 유지하고 지방산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작용을 하게 됩니다 . 지방산을 에너지로 많이 사용할수록 포도당을 많이 유지할 수 있으니까 좋습니다. 하지만, 그게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방산을 에너지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문제를 알아보겠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젖산이 증가하면 글리세롤을 글리세롤-ⓟ(alpha glycerol phosphate)로 전환시키고 이것은 다시 Triglyceirde로 변하기 때문에 지방 세포에서 혈액으로 지방산이 방출되지 못합니다.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체내에서 발생하는 젖산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지방세포에서 혈액으로의 지방산의 방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에너지 원으로 지방산의 비중이 높아진다고 보고 있습니다.
ㄴ.혈액 공급의 문제 - 운동 강도가 높아지면 근육에 보내는 혈액도 모자라는 와중에 무슨 지방 세포에 혈액을 공급하겠습니까... 그래서 혈액의 공급이 모자라니까 지방 세포에서 지방을 방출하더라고 혈액으로 유입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지요... 결국 혈액 내로 지방산의 공급이 줄어드는 것이지요...
ㄷ. 알부민의 부족 - 지방산은 역시 지방이니까 그냥 혈액으로 흘러 들어갈 수 없겠지요.(기름과 물이 쉽게 섞이지는 않지요...) 알부민과 결합해서 이동해야 하는데 알부민이 모자라면 역시 혈액으로 공급되는 지방산도 모자라는 것이 당연...
*** 결국 운동 중에 지방산을 에너지로 사용하려면 지방 세포에도 충분히 혈액이 공급되는 상황이면서, 젖산의 발생이 적어야 되겠지요... 그런 상황이라면 역시 운동 강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운동 강도가 60% VO2 max전후라면 젖산의 발생도 적고, 혈액 공급도 그다지 문제가 없기 때문에 지방을 에너지 원으로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겠지요... 하지만, 운동 강도가 높아지면 지방을 에너지 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지방 소비가 가장 높은 운동 강도가 60% 전후가 되는 것도 여태까지 열심히 공부한 내용과 많은 연관이 있겠지요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4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