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생명공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와 생명공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보학의 초기단계에서 필수적인 생물정보 DB 구축을 비롯해 FTP사이트 구축 및 서비스, 검색시스템 개발이나 단백질 구조의 가시화 프로그램 개발 등 바이오인포매틱스와 관련된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우선 DB구축의 경우 센터는 미국 NIH산하 국립생물정보센터(NCBI)의 주요 공개 DB들을 가져와 서비스함으로써 굳이 NCBI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도 주요 DB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KISTI가 지속적으로 기술을 진전시켜온 검색시스템인 크리스탈 2.0버전을 토대로 파일시스템을 이용해 DB검색이 가능한 엔진 개발을 추진중이다.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DB는 워낙 양이 방대해 NCBI를 통해 실험결과를 검증할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전문가의 자문을 받기가 쉽지 않다. 생물정보시스템개발실은 또 3차원 단백질 구조를 PC상에서 확대해 볼 수 있는 가시화 프로그램 개발도 진행중이다. 이미 BioMole이란 이름의 가시화 프로그램 프로토타입을 개발한 바 있어, 이를 토대로 여러개의 단백질 구조를 보여주거나 유전자 수준의 코드를 불러 비교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생물정보시스템지원실은 5~6월께 바이오인포매틱스 전용 슈퍼컴퓨터를 도입해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이분야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적극적이다. 여기에 BLAST나 FASTA와 같은 바이오인포매틱스 소프트웨어를 운용할 클러스터 PC를 확보할 계획이다. 생물정보자원실은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정보의 체계적인 수집과 분석, 가공을 위한 사실 DB 구축을 추진중이고 한국인의 인체영상 DB 구축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바이오인포매틱스센터는 이밖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내 위치한 국가유전체정보센터의 협력기관으로 공동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4. BIOINFORMATICS에 대한 생각
20세기 이후 과학기술 분야는 눈이 부실 정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유전공학 및 분자생물학 연구방법이 하루가 다르게 급성장했다. 생물정학은 유전병의 진단이나 치료, 신약개발에 핵심적인 인프라 기술이지만 생물정보학연구 분야에 대한 우리의 현 실정은 그리 좋지 않은 것 같다. 생물정보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그다지 크지 못할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 연구지원의 미비, 그리고 충분한 기술적 노하우를 보유한 연구인력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생물정보학 전문 연구인력의 양성을 위한 지원은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5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