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대사회의 병리 현상중 우울증
본문내용
성가심, 즐거움과 행복감, 슬픔과 기쁨, 신뢰 그리고 흥미와 관심 등을 표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우울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법에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다른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공통 업무를 나누어 규정하고 있지만 정신보건법이 나오기 이전 사회복지사가 정신보건분야에서 수행하던 사회복지사 고유의 업무가 있고, 법에서 규정된 공통 및 고유 업무가 있으므로 현실적으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이들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우울증에 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개입방안을 살펴보면
① 사회심리적 조사 및 평가 : 사회심리적 조사를 통해 우울증 발병의 요인을 찾아낼 가 능성이 있기도 하지만 앞으로의 치료에 밑바탕이 된다.
② 가족치료 : 우울증 환자로 인한 가족 모두의 스트레스 등과 같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 지만 무엇보다 발병 요인이 가족에게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엔 가족치료를 통 해 적극적인 재활과 재발 방지를 위해 사회복지사가 개입할 수 있다.
③ 집단치료, 집단활동 지도 및 평가 : 자조집단이나 집단상담 등을 이끌며 우울증 환자 에 대한 치료와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④ 오락 및 작업 치료활동지도 : 오락 레크리에이션이나 미술, 음악 치료 같은 기법을 적 절히 활용할 수 있다.
⑤ 케이스과정 기록 및 평가
참고문헌
김규수. 2006.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론. 형설
김성희. 2000.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다른 정신보건전문가의 업무 및 역할중첩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김혜련, 신혜섭 2005. 겅신건강론. 학지사
민성길. 『최신정신의학』제4개정판. 서울: 삼신문화사, 1999.
이난이. 2005. 인지치료를 통한 우울증 연구. 상명대 정치경제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안민숙. 2006. 도시주부 우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행정대학원
인터넷 사이트 - 세브란스병원 우울증 클리닉(임상적 사례)
최훈동. 2001. 마음의 문을 열어주는 정신의학 이야기. 한울.
허은정. 2003. 우울증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호서대 석사학위청구 논문
Gerald C. DavisonJohn M. Nea.『이상심리학』개정증보판. 이봉건 역. 서울: 성원사, 1989.
Robert G. Meyer Yvonne Hardaway Osborne. 『이상심리학』 김영애역. 서울: 하나의학사, 1997.
2)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신보건법에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과 다른 정신보건전문요원들의 공통 업무를 나누어 규정하고 있지만 정신보건법이 나오기 이전 사회복지사가 정신보건분야에서 수행하던 사회복지사 고유의 업무가 있고, 법에서 규정된 공통 및 고유 업무가 있으므로 현실적으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이들을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우울증에 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개입방안을 살펴보면
① 사회심리적 조사 및 평가 : 사회심리적 조사를 통해 우울증 발병의 요인을 찾아낼 가 능성이 있기도 하지만 앞으로의 치료에 밑바탕이 된다.
② 가족치료 : 우울증 환자로 인한 가족 모두의 스트레스 등과 같은 문제도 해결할 수 있 지만 무엇보다 발병 요인이 가족에게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엔 가족치료를 통 해 적극적인 재활과 재발 방지를 위해 사회복지사가 개입할 수 있다.
③ 집단치료, 집단활동 지도 및 평가 : 자조집단이나 집단상담 등을 이끌며 우울증 환자 에 대한 치료와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④ 오락 및 작업 치료활동지도 : 오락 레크리에이션이나 미술, 음악 치료 같은 기법을 적 절히 활용할 수 있다.
⑤ 케이스과정 기록 및 평가
참고문헌
김규수. 2006.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론. 형설
김성희. 2000.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다른 정신보건전문가의 업무 및 역할중첩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김혜련, 신혜섭 2005. 겅신건강론. 학지사
민성길. 『최신정신의학』제4개정판. 서울: 삼신문화사, 1999.
이난이. 2005. 인지치료를 통한 우울증 연구. 상명대 정치경제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안민숙. 2006. 도시주부 우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행정대학원
인터넷 사이트 - 세브란스병원 우울증 클리닉(임상적 사례)
최훈동. 2001. 마음의 문을 열어주는 정신의학 이야기. 한울.
허은정. 2003. 우울증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호서대 석사학위청구 논문
Gerald C. DavisonJohn M. Nea.『이상심리학』개정증보판. 이봉건 역. 서울: 성원사, 1989.
Robert G. Meyer Yvonne Hardaway Osborne. 『이상심리학』 김영애역. 서울: 하나의학사,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