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꽃피울 수 있게 해주었던 교훈들을 다시 배우는 것을 의미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교육자들은 청렴, 독신, 은둔 등을 주장했던 중세사상으로부터 등을 돌렸으며 그 대신 가정 생활을 찬양하고 재산을 현명하게 사용하도록 장려했다. 그 당시의 이탈리아는 사회적으로 가끔씩 혼란스럽기도 했으나, 개인 생활에 있어서는 절제가 주요한 미덕이었다. 이 시대는 그리스도교 신의 존재를 경건하게 인정하는 인본주의의 시대였지만, 그 한편으로는 고대 이교도 세계의 여러 지적인 입장들도 공유하고 있었다. 인본주의자들은 사후세계의 천국을 준비하기 보다는 이 세상에서 그것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본주의는 사람들이 자기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며, 결과론적 논리에 따라 살아가려는 노력이다. 고대 로마의 특질 중 특히 강조되었던 것은, 모든 방면에 걸쳐 능력을 갖추는 것이었다. 중세인들이 자기들의 영혼을 탐구하는데 늘 얽매어 있었던 데 반해 르네상스인들은 각자의 개성을 발휘해 냈다. 르네상스의 이상은 인간이 지닌 힘에 대한 인식을 한층 고양하고 그 힘의 영역을 넓히는 것이었다. 르네상스 학자들이 진리를 추구하고, 오랫동안 가져온 믿음도 잘못되었다고 생각될 때는 언제라도 비판을 하게 됨에따라 결국 그리스도교의 몇몇 교리는 의혹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 결과 하나로 통일되어 있었던 그리스도교 세계는 분열되기 시작한다. 이런 경향은 또한 근대 과학과 기술의 기초를 성립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니 갈릴레오와 코페르니쿠스가 그 선구자였다. 그 다음의 바로크 시대는 르네상스 시대에 확립된 주요 경향들이 계속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볼때 고전주의 전통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바로크 시대의 사람들은 르네상스 시대의 다소 무미건조하고 지적인 경향을 거부하고 이교도적인 생의 풍요와 감성의 힘을 믿었다. 그들은 서양세계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통합된 문화를 창조하였다. 디자인 이론적 관점에서 볼때 르네상스-바로크시대는 대체로 하나의 통일체로 보여진다. 두 시대 사이에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연쇄성, 통합성, 점이성이 르네상스-바로크를 하나의 시대로 만든 기본적인 요인이었다. 이와같은 견해는 바로크 형태를 '전혀 다른 효과를 자아내는 것'으로 보는 뵐플린 같은 이들의 견해와는 다소 상충되는 것이다. 뵐플린은 오히려 바로크를 르네상스에 대한 반대 명제로 생각하는데, 이것은 폰 짐손이 고딕을 로마네스크에 대한 반대 명제로 여긴 것과 마찬가지다.고대 그리스와 로마 건축에도 분명히 연쇄성, 통합성이 있었다. 르네상스-바로크 건축과 고대건축과의 차이점은 상위요소와 하위요소간의 구별이라는 점이성의 존재인데, 이것은 고대건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그밖에 르네상스시대에는 역사상 처음으로, 이 형태는 아름다운가 혹은 적합한가? 라는 질문이 더이상 나타나지 않고, 그 대신 이 형태는 정확한 것인가? 라는 질문이 행해졌다. 형태의 정확성을 추구하려는 욕구는 인본주의와 결탁하여 일종의 현학주의로 이끌어졌다. 결국, 르네상스는 신고전주의의 아카데믹한 경향을 예고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그리스 로마 건축
근대 건축의 형성 및 전개
중국골프장조경건설의 동향과 발전방향
근대 건축의 형성 및 전개
스페인 속 아랍 건축 - 알람브라 궁전을 중심으로
근대건축의 문제점및 현대건축의 개요 및 특징
[해체주의건축][해체주의건축 특징][해체주의건축 의의][해체주의건축 대표적 인물][해체주의...
서양실내디자인- 아르데코
건축십서 장별 요약 및 엣세이
프랑스 건축[1]
[건축][건축의 기능][건축의 요소][건축에 대한 견해][에게해 건축의 발전][에게해 건축의 수...
루이스 헬만의 재미있는 건축이야기를 읽고
과학혁명의 구조(패러다임)와 건축
명동성당 건축분석 - 사람/공간/디자인 언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