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외식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영향 >
<우리나라 외식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관련한 자료>
한국 음식은 왜 매운가?
(음식은 사회경제구조와 밀접하다?)
[신문스크랩]
"향토음식은 경제살리는 웰빙푸드"
눈과 입이 즐거워지는 시간 ‘건강 및 음식박람회’
음식쓰레기 경제가치 한해 15兆
<우리나라 외식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관련한 자료>
한국 음식은 왜 매운가?
(음식은 사회경제구조와 밀접하다?)
[신문스크랩]
"향토음식은 경제살리는 웰빙푸드"
눈과 입이 즐거워지는 시간 ‘건강 및 음식박람회’
음식쓰레기 경제가치 한해 15兆
본문내용
의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열리며, 올해로 6회째를 맞이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건강체험관 ▲건강산업관 ▲식품산업관 ▲친환경식품관 ▲음식전시관 ▲부대행사장 ▲야외음식관 등 총 120개 업체 330부스로 운영된다.
건강체험관에서는 건강상담과 건강기구체험, 무료건강검진 등을 제공하고 건강산업관은 건강기능식품 및 제품, 의료관련기기, 기능성 맞춤신발 등 다양한 건강관련 기기 및 용품이 전시된다.
식품산업관은 농·축산 및 유가공식품, 냉동식품, 음료 및 외식업, 지역특산물, 발효전통식품 등으로 구성되며 친환경식품관에서는 평소 접하기 힘든 친환경·유기농 식품을 전시·판매한다.
또 폐백·이바지·약선·사찰·전통주·떡·한과·복어요리 등 다양한 요리작품을 선보이는 음식전시관은 관람객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할 것이다. 특히 올해는 부산지역 특급호텔의 전문요리사들의 작품이 전시돼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할 것이다.
야외에 마련된 전시장에서는 동래파전, 바다장어구이 등 부산의 대표 전통·향토음식을 시연·판매하고 부대행사로는 건강·음식관련 유명인사의 초청강의가 진행된다.
한편, 신종플루 예방을 위해 전시장 입구에 살균을 위한 플루건 게이트를 설치하고 열 감지 카메라와 빠른 대응을 위한 상황실도 운영한다. 또 신종플루 예방을 위한 포스터와 손 소독제를 곳곳에 배치하고 매일 선착순 500명에게 손 소독제를 지급할 예정이다.
출처 :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5397
[스크랩]
음식쓰레기 경제가치 한해 15兆
입력일 : 2002/01/19 대한매일
지난 99년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 483만t 중 쌀,밀가루 등
곡물의 손실량만 174만여t에 달했다.지난해 북한이 생산
한 총 곡물은 257만여t으로 일부를 수입으로 충당했음에도
불구,800여만명의 주민이 식량부족 상황을 겪어야 했던
것과 대비된다.
●실태 99년 우리 국민 한 사람에게 매일 공급된 음식물은
1509g으로 이중 실제 섭취된 양은 1143g에 불과했다.하루
평균 1만 3240t의 음식물이 낭비됐으니 1158만명분의 식
사가 쓰레기로 나온 것이다.국민 한 사람이 현재 버리는
음식물의 100분의1만 아껴도 10만명 이상이 밥을 굶지 않
아도 된다.남는 음식만으로도 북한 주민 절반 가까이가 끼
니를 해결할 수 있다.
음식물의 총 손실량이 625만 5000t으로 추정됐지만 이중
우유,유지 등 액체 형태의 음식물은 전량 섭취됐다는 것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쓰레기 발생량이 낮아진 것이다.경제
적 가치로 환산할 때도 t당 10만원이 넘는 음식물 쓰레기
의 수집 운반비,매립·소각비 등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종류별 음식물 쓰레기는 곡류가 가장 많았고 채소류 71만
t,당류 68만t,육류 56만t,어패류 50만t 순이었다.가정에서
는 곡류,채소류가 많이 낭비된 반면 음식점에서는 육류,해
산물의 비중이 높았다.갈비집,횟집에서 음식을 많이 남기
고 있는 셈이다.
●원인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1993∼2000년 사이 42%나
줄었는 데도 10년 만에 경제적 손실은 2배 가까이 뛰었다.
물가가 90% 올랐고 지난 80년 3.7%에 불과하던 외식비의
비중이 99년 35.6%로 급증했기 때문이다.가정에서 버려지
는 음식물은 원재료값만 계산되는 반면 음식점에서 배출되
는 쓰레기는 부가가치가 포함된 판매가격으로 더해졌다.푸
짐한 밥상과 국물요리가 많은 식생활 습관도 바뀌지 않고
있다.
●대책 정부는 올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20%까지 줄인
다는 계획이다.‘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생활실천수칙’을
제정하고 여성·종교·환경·음식점 단체 등과 함께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할 방침이다.생산·유통 단계에서 나오는
농수산물 쓰레기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쓰레기를 줄
이기 위해 농수산물의 규격 포장을 유도한다.‘환경사랑음
식점’을 올해 안에 600개로 늘리고 음식점의 자발적인 반
찬수 줄이기,주문식단제 도입을 권고할 계획이다.쓰레기
발생량이 크게 줄어든 음식점에는 세제혜택 등 지원도 강
화할 방침이다.
류길상기자 ukelvin@kdaily.com
●어떻게 계산했나 이번 연구는 가정,음식점 등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직접 조사한 것이 아니다.
국내에서 생산됐거나 수입된 농수산물(총 식품공급량) 중
사료 등을 제외한 순수 식용 공급량에서 ‘국민건강·영양
조사’에 나타난 식품 섭취량을 뺀 수치를 식품 손실량으
로 봤다.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때는 최종 소비 단계에서의 생산자
가격 기준이 적용됐다.
이번 행사는 ▲건강체험관 ▲건강산업관 ▲식품산업관 ▲친환경식품관 ▲음식전시관 ▲부대행사장 ▲야외음식관 등 총 120개 업체 330부스로 운영된다.
건강체험관에서는 건강상담과 건강기구체험, 무료건강검진 등을 제공하고 건강산업관은 건강기능식품 및 제품, 의료관련기기, 기능성 맞춤신발 등 다양한 건강관련 기기 및 용품이 전시된다.
식품산업관은 농·축산 및 유가공식품, 냉동식품, 음료 및 외식업, 지역특산물, 발효전통식품 등으로 구성되며 친환경식품관에서는 평소 접하기 힘든 친환경·유기농 식품을 전시·판매한다.
또 폐백·이바지·약선·사찰·전통주·떡·한과·복어요리 등 다양한 요리작품을 선보이는 음식전시관은 관람객들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할 것이다. 특히 올해는 부산지역 특급호텔의 전문요리사들의 작품이 전시돼 더욱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할 것이다.
야외에 마련된 전시장에서는 동래파전, 바다장어구이 등 부산의 대표 전통·향토음식을 시연·판매하고 부대행사로는 건강·음식관련 유명인사의 초청강의가 진행된다.
한편, 신종플루 예방을 위해 전시장 입구에 살균을 위한 플루건 게이트를 설치하고 열 감지 카메라와 빠른 대응을 위한 상황실도 운영한다. 또 신종플루 예방을 위한 포스터와 손 소독제를 곳곳에 배치하고 매일 선착순 500명에게 손 소독제를 지급할 예정이다.
출처 :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25397
[스크랩]
음식쓰레기 경제가치 한해 15兆
입력일 : 2002/01/19 대한매일
지난 99년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 483만t 중 쌀,밀가루 등
곡물의 손실량만 174만여t에 달했다.지난해 북한이 생산
한 총 곡물은 257만여t으로 일부를 수입으로 충당했음에도
불구,800여만명의 주민이 식량부족 상황을 겪어야 했던
것과 대비된다.
●실태 99년 우리 국민 한 사람에게 매일 공급된 음식물은
1509g으로 이중 실제 섭취된 양은 1143g에 불과했다.하루
평균 1만 3240t의 음식물이 낭비됐으니 1158만명분의 식
사가 쓰레기로 나온 것이다.국민 한 사람이 현재 버리는
음식물의 100분의1만 아껴도 10만명 이상이 밥을 굶지 않
아도 된다.남는 음식만으로도 북한 주민 절반 가까이가 끼
니를 해결할 수 있다.
음식물의 총 손실량이 625만 5000t으로 추정됐지만 이중
우유,유지 등 액체 형태의 음식물은 전량 섭취됐다는 것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쓰레기 발생량이 낮아진 것이다.경제
적 가치로 환산할 때도 t당 10만원이 넘는 음식물 쓰레기
의 수집 운반비,매립·소각비 등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종류별 음식물 쓰레기는 곡류가 가장 많았고 채소류 71만
t,당류 68만t,육류 56만t,어패류 50만t 순이었다.가정에서
는 곡류,채소류가 많이 낭비된 반면 음식점에서는 육류,해
산물의 비중이 높았다.갈비집,횟집에서 음식을 많이 남기
고 있는 셈이다.
●원인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이 1993∼2000년 사이 42%나
줄었는 데도 10년 만에 경제적 손실은 2배 가까이 뛰었다.
물가가 90% 올랐고 지난 80년 3.7%에 불과하던 외식비의
비중이 99년 35.6%로 급증했기 때문이다.가정에서 버려지
는 음식물은 원재료값만 계산되는 반면 음식점에서 배출되
는 쓰레기는 부가가치가 포함된 판매가격으로 더해졌다.푸
짐한 밥상과 국물요리가 많은 식생활 습관도 바뀌지 않고
있다.
●대책 정부는 올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20%까지 줄인
다는 계획이다.‘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생활실천수칙’을
제정하고 여성·종교·환경·음식점 단체 등과 함께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할 방침이다.생산·유통 단계에서 나오는
농수산물 쓰레기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쓰레기를 줄
이기 위해 농수산물의 규격 포장을 유도한다.‘환경사랑음
식점’을 올해 안에 600개로 늘리고 음식점의 자발적인 반
찬수 줄이기,주문식단제 도입을 권고할 계획이다.쓰레기
발생량이 크게 줄어든 음식점에는 세제혜택 등 지원도 강
화할 방침이다.
류길상기자 ukelvin@kdaily.com
●어떻게 계산했나 이번 연구는 가정,음식점 등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직접 조사한 것이 아니다.
국내에서 생산됐거나 수입된 농수산물(총 식품공급량) 중
사료 등을 제외한 순수 식용 공급량에서 ‘국민건강·영양
조사’에 나타난 식품 섭취량을 뺀 수치를 식품 손실량으
로 봤다.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때는 최종 소비 단계에서의 생산자
가격 기준이 적용됐다.
키워드
추천자료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발달과정,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특징, 프랑스축제음식, 이탈리아...
[음식][요리][강원도][경상도][경기도][전라도][황해도][함경도][충청도][평안도]각 지방 대...
[음식문화][식생활][멕시코][프랑스][터키][중국][일본][한국]멕시코와 프랑스의 음식문화(식...
한국음식(한국요리)의 특성, 한국의 상차림, 강원도와 경기도요리(경기도음식), 충청도와 전...
[요리][음식][요리문화][음식문화]서양요리(서양음식)의 역사, 향신료, 독일요리(독일음식), ...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청국장과 간장,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고추장과 된장, 한국전통식...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
[일본음식, 일식, 일본요리]일본음식(일식, 일본요리)의 특징, 일본음식(일식, 일본요리)의 ...
[일본음식문화][음식문화 특징][식사예절][라면][우동][초밥(스시)]일본음식문화의 특징, 일...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 의미,발생비율, 유기성 폐기물(음식물쓰레기) 국민의식,동향, ...
음식물쓰레기(유기성 폐기물) 사료화기술,퇴비화제도, 음식물쓰레기(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시...
[음식점 창업][식당 창업][음식점]음식점 창업(식당 창업)의 현황, 음식점 창업(식당 창업)의...
독일 음식 문화 [독일 음식 문화 소개, 독일 식사습관, 독일 과거 식사 습관, 독일 현재 식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