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하게 된다. R1과 R2는 U1의 최대 출력 전압을 안전 한계선인 2V에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 가능(Charge Enable)" 입력기능의 수행은 충전기의 150mA 입력 전류는 하나 이상의 단위 부하이므로 필요할 경우 시스템이 충전을 중단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하거나 에뉴머레이션 이전에 USB 부하 전류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6. 기타 USB 관련 사항
다른 표준들과 마찬가지로 명시된 규격이나 혹은 불분명한 규격들이 실제 적용사례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USB는 가장 심사 숙고하여 만든 신뢰성 있고 유용한 표준이라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실제 세계에 던져질 충격에 대한 면역은 아직은 갖고 있지 못하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전원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만한 USB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USB 포트는 전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비록 USB 규격에서는 USB 포트가 얼마만큼의 전류를 공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는 있지만 사실 전류공급량의 범위는 매우 넓다. 최대치로서 전류가 절대 5A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현명한 설계자라면 이것에 너무 의존해서는 안된다. 어떠한 경우든, USB 포트가 출력 전류를 500mA 또는 이에 가까운 전류량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믿어서는 안된다. 실제로, 멀티 포트 시스템(PC 등)은 시스템 내 모든 포트를 위해 단 하나만의 보호 소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별 포트에서 나오는 출력 전류는 종종 몇 암페어를 초과하기도 한다. 보호 소자는 모든 포트의 총 전원 정격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4포트를 가진 시스템은 다른 포트들이 부하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포트에서 2A 이상을 공급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부 PC는 10~20% 정밀도를 갖는 IC 기반의 보호 기능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PC들은 이보다 낮은 정밀도의 폴리 퓨즈(자동 재설정되는 퓨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하가 100%이거나 정격 이상이 될 때까지도 작동하지 않기도 한다.
USB 포트는 거의(결코) 전원을 끄지 않는다. USB 규격에서는 이것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없지만 USB 전원은 에뉴머레이션이 실패하거나 다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문제로 끊어질 수 있다. 실제 상황에서 전기적 오류(단락 등)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 USB 전원을 셧오프시키는 USB 호스트는 없다. 물론 예외가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까지는 없었다. 노트북과 마더보드 제조업체들은 스마트 전원 스위칭은 차치하더라도 오류 보호 기능을 위한 비용지불에 인색하다. 따라서 USB 주변기기와 호스트 간에 어떠한 내용의 정보가 교류된다고 하더라도(또는 이루어지지 않든), 5V(500mA 또는 100mA에서, 심지어 2A 혹은 그 이상에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USB 전원공급 방식의 독서등이나 커피 보온컵, 그리고 통신 능력이 없는 이와 유사한 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한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호환"되지는 않지만 기능은 제대로 발휘된다.
6. 기타 USB 관련 사항
다른 표준들과 마찬가지로 명시된 규격이나 혹은 불분명한 규격들이 실제 적용사례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USB는 가장 심사 숙고하여 만든 신뢰성 있고 유용한 표준이라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실제 세계에 던져질 충격에 대한 면역은 아직은 갖고 있지 못하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전원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몇 가지 주의해야 할 만한 USB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USB 포트는 전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비록 USB 규격에서는 USB 포트가 얼마만큼의 전류를 공급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는 있지만 사실 전류공급량의 범위는 매우 넓다. 최대치로서 전류가 절대 5A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현명한 설계자라면 이것에 너무 의존해서는 안된다. 어떠한 경우든, USB 포트가 출력 전류를 500mA 또는 이에 가까운 전류량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믿어서는 안된다. 실제로, 멀티 포트 시스템(PC 등)은 시스템 내 모든 포트를 위해 단 하나만의 보호 소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별 포트에서 나오는 출력 전류는 종종 몇 암페어를 초과하기도 한다. 보호 소자는 모든 포트의 총 전원 정격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4포트를 가진 시스템은 다른 포트들이 부하되지 않을 경우 하나의 포트에서 2A 이상을 공급할 수도 있다. 더욱이 일부 PC는 10~20% 정밀도를 갖는 IC 기반의 보호 기능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PC들은 이보다 낮은 정밀도의 폴리 퓨즈(자동 재설정되는 퓨즈)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하가 100%이거나 정격 이상이 될 때까지도 작동하지 않기도 한다.
USB 포트는 거의(결코) 전원을 끄지 않는다. USB 규격에서는 이것에 대한 특별한 언급은 없지만 USB 전원은 에뉴머레이션이 실패하거나 다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문제로 끊어질 수 있다. 실제 상황에서 전기적 오류(단락 등)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 USB 전원을 셧오프시키는 USB 호스트는 없다. 물론 예외가 발생할 수도 있겠지만 지금까지는 없었다. 노트북과 마더보드 제조업체들은 스마트 전원 스위칭은 차치하더라도 오류 보호 기능을 위한 비용지불에 인색하다. 따라서 USB 주변기기와 호스트 간에 어떠한 내용의 정보가 교류된다고 하더라도(또는 이루어지지 않든), 5V(500mA 또는 100mA에서, 심지어 2A 혹은 그 이상에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USB 전원공급 방식의 독서등이나 커피 보온컵, 그리고 통신 능력이 없는 이와 유사한 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한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호환"되지는 않지만 기능은 제대로 발휘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