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조사설계 학습요약
본문내용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전후를 비교함으로써 개입의 효과를 측정하는 조사로, 시간적인 우선성과 비교의 기준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개입에 의한 효과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을 갖추고 있음, 단일사례조사의 AB 조사와 유사하며, 무작위 배정이나 배합 및 통제집단이 없는 경우에 종종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활용한다.
(2) 단일집단후비교조사: 단일집단에 대해 개입을 실시한 후 관찰조사하는 형태로서 단 한번의 검사로 개입의 효과를 측정하기 때문에 사후검사의 결과를 비교해 볼 만한 다른 경험적 자료가 없음, 개입이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게 됨, 외생변수의 통제도 불가능하여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가 모두 결여된다.
(3) 비동일집단후비교조사: 정태적비교조사라고도 함, 단일집단전후비교조사나 단일집단후비교조사보다 발전된 형태임, 두 집단에 사후검사를 하여 집단을 비교하는 방법임, 통제집단에 해당하는 비교집단을 두고 있으나 무작위 배정이나 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내적 타당도가 약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본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두 집단의 차이가 실험집단의 개입으로 말미암은 효과라고 설명하기 어렵다.
(2) 단일집단후비교조사: 단일집단에 대해 개입을 실시한 후 관찰조사하는 형태로서 단 한번의 검사로 개입의 효과를 측정하기 때문에 사후검사의 결과를 비교해 볼 만한 다른 경험적 자료가 없음, 개입이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게 됨, 외생변수의 통제도 불가능하여 내적 타당도와 외적타당도가 모두 결여된다.
(3) 비동일집단후비교조사: 정태적비교조사라고도 함, 단일집단전후비교조사나 단일집단후비교조사보다 발전된 형태임, 두 집단에 사후검사를 하여 집단을 비교하는 방법임, 통제집단에 해당하는 비교집단을 두고 있으나 무작위 배정이나 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내적 타당도가 약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본래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두 집단의 차이가 실험집단의 개입으로 말미암은 효과라고 설명하기 어렵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