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일자
3. 실험목적
4. 실험재료 및 기기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2. 실험일자
3. 실험목적
4. 실험재료 및 기기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떨어진다. 보리밥을 먹으면 빨리 시장기가 오기 때문에 소화가 잘되는 것 같지만. 이는 섬유가 많아 통변이 잘 되기 때문이다.
보리는 단백질과 지방의 양이 밀과 비슷하나 전분은 적고 식이 섬유의 함량이 놓다. 그러나 리신 메치오닌, 트립토판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하여 단백질의 질이 좋지 않다. 쌀도 리신과 트립토판이 부족하기 때문에 쌀과 보리의 혼식은 단백질 보강이라는 측면에서 좋지 않다. 칼슘이나 철분 등의 무기질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비타민은 B군을 제회하고 거의 없다.
- 보리는 체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능을 가진 수용성 식이섬유인 β-글루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수수
- 원산지는 열대아프리카이고, 주산지는 인도, 중국, 미국 등지이다..
- 전분이 76.5%, 단백질이 8.5%, 아미노산은 트립토판과 함황아미노산이 부족하다. 단백질 소화율은 60.7%정도이며, 비타민 B1 은 겨층에 많으나 정맥하면 적어진다.
- 수수로 밥을 했을 때, 물기가 많고 흐르는 성질이 강했다.
수수는 점성이 강한 곡류와 함께 조리하거나 예비조리를 해야 하겠다.
***조
- 중국에서 재배가 시작된 5곡 중 하나이다.
- 그 종류는 모두 10여 종 정도 된다.
- 단백질은 약 11% 함유하고 있으나 프롤라민과 글루텔린이 전체 단백질의 각각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라이신이 부족하고 류신이 많이 들어있다. 섬유가 비교적 많아. 맛이 떨어지는 편이나 비타민 B1, B2 가 많이 들어있다.
****율무
- 꽃은 7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가 달린다. 꽃차례에는 끝에 수꽃이삭이, 밑에 잎집이 변한 딱딱한 포(苞)로 싸여 있는 암꽃이삭이 있다.
- 열매가 성숙하면 잎집이 딱딱해지고 암갈색이 된다. 씨는 식용 또는 약용하는데 한방에서 의이인(薏苡仁)이라 하여 건위·이뇨·진경·진통 등에 사용하며, 물사마귀 제거에 차로 끓여 복용하기도 한다.
★ 오차분석 및 느낀점
잡곡밥을 할 때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통보리와 납작보리의 차이점을 별로 느끼지 못했다.
8. 참고문헌
-실험조리 (전희정지음/ 교문사)
-알기 쉬운 식품학 (강신욱, 권상용 외 4명 공저/훈민사)
-조리과학 및 원리 (김완수, 신말식 외 2명 공저/라이프사이언스)
+조리원리시간에 받은 프린트
-최신 식품학 (심창환, 권경순 외 5명 공저/효일)
-다음백과사전
보리는 단백질과 지방의 양이 밀과 비슷하나 전분은 적고 식이 섬유의 함량이 놓다. 그러나 리신 메치오닌, 트립토판 등의 필수아미노산이 부족하여 단백질의 질이 좋지 않다. 쌀도 리신과 트립토판이 부족하기 때문에 쌀과 보리의 혼식은 단백질 보강이라는 측면에서 좋지 않다. 칼슘이나 철분 등의 무기질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비타민은 B군을 제회하고 거의 없다.
- 보리는 체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능을 가진 수용성 식이섬유인 β-글루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수수
- 원산지는 열대아프리카이고, 주산지는 인도, 중국, 미국 등지이다..
- 전분이 76.5%, 단백질이 8.5%, 아미노산은 트립토판과 함황아미노산이 부족하다. 단백질 소화율은 60.7%정도이며, 비타민 B1 은 겨층에 많으나 정맥하면 적어진다.
- 수수로 밥을 했을 때, 물기가 많고 흐르는 성질이 강했다.
수수는 점성이 강한 곡류와 함께 조리하거나 예비조리를 해야 하겠다.
***조
- 중국에서 재배가 시작된 5곡 중 하나이다.
- 그 종류는 모두 10여 종 정도 된다.
- 단백질은 약 11% 함유하고 있으나 프롤라민과 글루텔린이 전체 단백질의 각각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라이신이 부족하고 류신이 많이 들어있다. 섬유가 비교적 많아. 맛이 떨어지는 편이나 비타민 B1, B2 가 많이 들어있다.
****율무
- 꽃은 7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가 달린다. 꽃차례에는 끝에 수꽃이삭이, 밑에 잎집이 변한 딱딱한 포(苞)로 싸여 있는 암꽃이삭이 있다.
- 열매가 성숙하면 잎집이 딱딱해지고 암갈색이 된다. 씨는 식용 또는 약용하는데 한방에서 의이인(薏苡仁)이라 하여 건위·이뇨·진경·진통 등에 사용하며, 물사마귀 제거에 차로 끓여 복용하기도 한다.
★ 오차분석 및 느낀점
잡곡밥을 할 때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통보리와 납작보리의 차이점을 별로 느끼지 못했다.
8. 참고문헌
-실험조리 (전희정지음/ 교문사)
-알기 쉬운 식품학 (강신욱, 권상용 외 4명 공저/훈민사)
-조리과학 및 원리 (김완수, 신말식 외 2명 공저/라이프사이언스)
+조리원리시간에 받은 프린트
-최신 식품학 (심창환, 권경순 외 5명 공저/효일)
-다음백과사전
추천자료
식품 영양정보 모니터
영양표시와 영양표시보고 가공식품 평가하기
식품별 영양표
냉동식품의 영양
초등 실과 식품기능 교육 영양교육 식품교육
식품구성탑 영양교육 자료
식품구성탑 영양교육 수업지도안(편식은 NO!!! 골고루 먹어요.)
5대 영양소별 식품의 종류와 신체에 주는 영향 및 기능
영유아를 위한 영양소 식품
식품과 영양의 정의와 종류 및 유래, 특징, 분류, 효소, 제법, 갈변, 냄새, 색소, 맛, 활용도...
식품과 영양 무기질요약
식품과 영양
고등 1학년) <식품과 영양 학습지도안> Ⅱ.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4. 비타민 ⑴지용성 비타민
[보건영양 C형] 유전자 변형 식품의 잠재적인 건강 위험에 대해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