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판단된다.
1.6 내 구 성
(1) 동결융해작용에 대한 내구성
고강도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은 혼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그림 1.13에 나타난 것처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4%로 했을 때에는 물 - 시멘트비에 관계없이 우수한고, 공기량 2%이고 물 - 시멘트비가 35% 이하일 때에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다른 실험에서는 AE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물 - 시멘트비만의 동결융해 저항능력 차이는 물 - 시멘트비가 적을수록 저항성이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어 고강도 콘크리트 골재가 저품질이 아닌 경우에는 동결융해 저항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 화학작용에 대한 내구성
고강도 콘크리트는 조직이 밀실하기 때문에 화학적작용에 대한 내구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고서는 매우 적다.
그림 1.15는 염산 용액 속에서 콘크리트 중량 변화를 기초한 것으로, 고강도 콘크리트가 보통 강도에 비해서 내 화학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약품의 종류, 농도(PH) 등의 영향에 대한 보완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
1.7 열 특성
(1) 수 화 열
콘크리트가 수화반응을 일으킬 때의 발열량은 시멘트의 종류, 물·시멘트비에 따라 다르며, 단면의 크기, 외기온도 등에 따라서도 부재내부의 온도는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설계기준강도 300∼430 ㎏/㎠, 시멘트량 300∼430 ㎏/㎥, 단면폭 30∼130㎝ 벽의 콘크리트 온도상승을 조사한 결과 그림 1.16과 같이 나타났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겨울철 타설에 비해 여름에 타설한 경우가 높은 온도를 나타내 최고 70 에 이르렀다. 또한 고강도일수록 수화열이 높게 나타나 있다. 또한 실리카흄은 수화열 상승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면 110 110㎝ 기둥에 단위 시멘트량 622 ㎏/㎥, 실리카흄 122 ㎏/㎥, 압축강도 1,000 ㎏/㎠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여름철 타설시 수화에 의한 상승온도를 조사한 결과가 다음 그림 1.17에 나타났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중심부의 온도가 콘크리트 타설후 약 1∼2일에 피크를 이루며 80 를 넘는다.
2) 내화성능
그림 1.17은 고강도 콘크리트(증기 양생한 것과 Auto clave 양생한 것)를 JIS A 1304에 의해 내화성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는 내화시험 개시측의 값에서 저하율은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지만, 강도, 동탄성계수 모두 가열에 의해 현저히 저감했고, 특히 동탄성계수에 있어서 저감율이 아주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현 단계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내수성능에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성상은 골재의 종류나 기타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계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상당한 보강효과도 보고된바 있다. 또한, 온도가 그다지 높지 않을 경우, 예를들면 500 정도까지라면 탄성계수의 저하는 방지하기 힘들어도, 강도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연구성과도 있어, 앞으로 이 내구성에 관한 더 많은 보완 연구가 기대된다.
1.8 건조수축, 크리프
그림 1.19에 압축강도와 건조수축과의 관계를 나타냈다. 단위 시멘트량을 300, 500, 700 ㎏/㎥을 변수로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결정했으나 보통양생의 경우 건조수축은 단위시멘트량에 관계없이 고강도 콘크리트로 갈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량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적다. 또한 물·시멘트비(%)가 적을수록 적고, 같은 물 - 시멘트비일 때는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건조수축은 크게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 4 장 참 고 문 헌
1. 정헌수,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구조, 태림문화사, 1994
2. 건설교통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1996
3. 김생빈, 철근콘크리트공학, 기문당, 1996
4. 강성후, 김우, 박선준, "동적하중을 받는 콘크리트보의 파괴거동", 봄 학술
발표회 ,한국콘크리트학회, 제7권 1호, 1995, pp. 257-262.
5. 강성후, "동적하중하에서 배합비를 달리한 콘크리트의 균열성장예측",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6.박칠림,권영호,"고성능콘크리트 개발 및 실용화 연구",한국콘크리트학회지,
7권 5호,1995.10,pp42-49
7.P.J.M. Monteiro &S.P.Metha, CONCRETE, Prentice Hall, 1993.
8.ACI Committee 215, " Consideration for Design of Concrete Strutures Subjected to fatigue Loading." ACI Journal, March 1974, pp.97 - 121
9.AASHTO Specification, 1994
10.Hillerborg, A., "The theoretical basis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fracture energy Gf of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18, No.106, 1985, pp. 291-296.
11.RILEM 50-FMC Committee, "Determination of the fracture energy of mortar and concrete by means of three-point bend tests on notched beams Draft Recommendation", Materials and structures, Vol.18, No.106, 1985, pp. 285-290.
12. Kang, S.H., Monteiro,P.J.M., and Helene,P.R.L., "Designing concrete mixtures
for strength,elastic modulus and fracture energy", Materials and structures, Vol.26, No.162, pp.443-452, 1993.
1.6 내 구 성
(1) 동결융해작용에 대한 내구성
고강도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은 혼화제의 종류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그림 1.13에 나타난 것처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4%로 했을 때에는 물 - 시멘트비에 관계없이 우수한고, 공기량 2%이고 물 - 시멘트비가 35% 이하일 때에는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다른 실험에서는 AE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물 - 시멘트비만의 동결융해 저항능력 차이는 물 - 시멘트비가 적을수록 저항성이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어 고강도 콘크리트 골재가 저품질이 아닌 경우에는 동결융해 저항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 화학작용에 대한 내구성
고강도 콘크리트는 조직이 밀실하기 때문에 화학적작용에 대한 내구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사가 짧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고서는 매우 적다.
그림 1.15는 염산 용액 속에서 콘크리트 중량 변화를 기초한 것으로, 고강도 콘크리트가 보통 강도에 비해서 내 화학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약품의 종류, 농도(PH) 등의 영향에 대한 보완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
1.7 열 특성
(1) 수 화 열
콘크리트가 수화반응을 일으킬 때의 발열량은 시멘트의 종류, 물·시멘트비에 따라 다르며, 단면의 크기, 외기온도 등에 따라서도 부재내부의 온도는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설계기준강도 300∼430 ㎏/㎠, 시멘트량 300∼430 ㎏/㎥, 단면폭 30∼130㎝ 벽의 콘크리트 온도상승을 조사한 결과 그림 1.16과 같이 나타났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겨울철 타설에 비해 여름에 타설한 경우가 높은 온도를 나타내 최고 70 에 이르렀다. 또한 고강도일수록 수화열이 높게 나타나 있다. 또한 실리카흄은 수화열 상승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면 110 110㎝ 기둥에 단위 시멘트량 622 ㎏/㎥, 실리카흄 122 ㎏/㎥, 압축강도 1,000 ㎏/㎠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여름철 타설시 수화에 의한 상승온도를 조사한 결과가 다음 그림 1.17에 나타났다.
그림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중심부의 온도가 콘크리트 타설후 약 1∼2일에 피크를 이루며 80 를 넘는다.
2) 내화성능
그림 1.17은 고강도 콘크리트(증기 양생한 것과 Auto clave 양생한 것)를 JIS A 1304에 의해 내화성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는 내화시험 개시측의 값에서 저하율은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지만, 강도, 동탄성계수 모두 가열에 의해 현저히 저감했고, 특히 동탄성계수에 있어서 저감율이 아주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현 단계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내수성능에 문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성상은 골재의 종류나 기타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계속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상당한 보강효과도 보고된바 있다. 또한, 온도가 그다지 높지 않을 경우, 예를들면 500 정도까지라면 탄성계수의 저하는 방지하기 힘들어도, 강도적으로는 문제가 없다는 연구성과도 있어, 앞으로 이 내구성에 관한 더 많은 보완 연구가 기대된다.
1.8 건조수축, 크리프
그림 1.19에 압축강도와 건조수축과의 관계를 나타냈다. 단위 시멘트량을 300, 500, 700 ㎏/㎥을 변수로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결정했으나 보통양생의 경우 건조수축은 단위시멘트량에 관계없이 고강도 콘크리트로 갈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경량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적다. 또한 물·시멘트비(%)가 적을수록 적고, 같은 물 - 시멘트비일 때는 단위시멘트량이 많을수록 건조수축은 크게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 4 장 참 고 문 헌
1. 정헌수,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구조, 태림문화사, 1994
2. 건설교통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1996
3. 김생빈, 철근콘크리트공학, 기문당, 1996
4. 강성후, 김우, 박선준, "동적하중을 받는 콘크리트보의 파괴거동", 봄 학술
발표회 ,한국콘크리트학회, 제7권 1호, 1995, pp. 257-262.
5. 강성후, "동적하중하에서 배합비를 달리한 콘크리트의 균열성장예측",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6.박칠림,권영호,"고성능콘크리트 개발 및 실용화 연구",한국콘크리트학회지,
7권 5호,1995.10,pp42-49
7.P.J.M. Monteiro &S.P.Metha, CONCRETE, Prentice Hall, 1993.
8.ACI Committee 215, " Consideration for Design of Concrete Strutures Subjected to fatigue Loading." ACI Journal, March 1974, pp.97 - 121
9.AASHTO Specification, 1994
10.Hillerborg, A., "The theoretical basis of a method to determine the fracture energy Gf of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18, No.106, 1985, pp. 291-296.
11.RILEM 50-FMC Committee, "Determination of the fracture energy of mortar and concrete by means of three-point bend tests on notched beams Draft Recommendation", Materials and structures, Vol.18, No.106, 1985, pp. 285-290.
12. Kang, S.H., Monteiro,P.J.M., and Helene,P.R.L., "Designing concrete mixtures
for strength,elastic modulus and fracture energy", Materials and structures, Vol.26, No.162, pp.443-452,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