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 및 20세기 음악에 대해 [정확함]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낭만 및 20세기 음악에 대해 [정확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권유' 등
(참고) 베버의 음악사상의 가치
1. 낭만의 국민적 오페라를 완성.
2. 근대 지휘법의 기초를 만듬(본격적으로 지휘 봉을 채용함)
3. 표제음악의 싹을 트게 함(무도회의 권유)
-슈베르트(F. P. Schubert: 1797∼1828, 오스트 리아)
시, 가락, 반주가 일체된 예술성이 풍부한 가곡을 작곡하였다. 가장 어려운 환경 속에서 가난과 배고픔까지 참아가면서 작곡하였던 슈베르트는 가곡의 천재이다. 시를 대하면 즉석 에서 작곡 할 수 있었다. 가곡의 왕.
〔작품〕가곡집: '겨울 나그네', '아름다운 물방 앗간 아가씨', '백조의 노래' 등
-멘델스존(J. L. F. Mendelssohn: 1809∼1847, 독일)
무언가의 창시자이며, 밝고 아름다운 기풍이 넘친다. 매우 전통있고 재력있는 집에서 태어난 그는 음악가들 중에서 가장 행복하게 여생을 작곡에 전념할 수 있었다. 조부는 철학 자요, 부친은 은행가였다.
〔작품〕바이올린 협주곡 '마 단조', 극음악:' 한 여름밤의 꿈', 피아노곡: '무언가집' 등
-쇼팽(F. F. Chopin : 1810∼1849, 폴란드)
시적 감정이 넘치는 아름다운 음악으로 대부분이 피아노곡이다. 피아노의 온갖 가능성을 최대로 발굴한 피아노의 시인.
〔작품〕피아노곡 '즉흥 환상곡', '군대 폴로네 에즈', '야상곡', 피아노 협주곡1.2 번 등
-슈만(R. A. Schumann: 1810∼1856, 독일)
그의 음악은 문학적인 깊은 내용을 지니고 사랑의 전부를 노래했다. 부인 '클라라'와의 사랑 은 유명하다.
〔작품〕'어린이 정경', 가곡집: '여인의 사랑과 생애'. '시인의 사랑' 등
(2) 후기 낭만파 시기
-베를리오즈(L. H. Berlioz : 1803∼1869, 프랑 스)
'관현악의 왕'이라고도 하며, 표제 음악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프랑스 낭만음악가 중의 독보적인 존재.
〔작품〕'환상 교향곡', 서곡'로마의 사육제' 등
-리스트(F. Liszt : 1811∼1886, 헝가리)
'교향시'라는 자유로운 형식의 표제 음악의 창시자이다. 피아노의 왕.
〔작품〕피아노곡 '헝가리 광시곡', 교향곡' 파 우스트' 등
-바그너(W. R. Wagner : 1813∼1883, 독일)
'악극'이라는 오페라를 창시하였다. "바하 이후 에 태어난 사람으로 바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듯이 바그너 이후에 출생한 사람으로 바그너의 영향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작품〕오페라 '탄호이저', '로엔그린', 악극 ' 트리스탄과 이졸데' 등
-베르디(G. F. F. Verdi: 1813∼1901, 이탈리아)
이탈리아 오페라를 세계적인 경지로 이끌어 올렸다.
〔작품〕오페라 '일트로바토레',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타', '아이다' 등
-구노(C. Gounod : 1818∼1893, 프랑스)
화가인 아버지와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밑에서 자라남. 종교 음악을 많이 지음. 자칭 '신부 구노' 라 칭할 정도로 승직과 음악 사이에서 갈등함. 구노는 리스트와 함께 열렬한 가톨릭 신자인 동시에 감각주의자다.
[작품] 오페라 '파우스트', '로미오와 줄리엣. 아베 마리아(Ave Maria)
-브람스(J. Brahms : 1833∼1897, 독일)
신고 전악파로 불릴 만큼 절대 음악에 힘을 기울인 작곡가이다. 독일의 3B : Bach, Beethoven, Brahms.
〔작품〕'대학 축전 서곡', '헝가리 춤곡' ,바이 올린 협주곡 등
-차이코프스키(P. I. Tschaikowsky : 1840∼ 1893, 러시아)
러시아 음악과 유럽 음악을 절충한 러시아의 낭만파 음악가. 법률을 공부하고 법무성에서 근무하다가 사임했었으며 국민 음악적 요소도 갖추었다.
〔작품〕교향곡: '비창', 발레곡: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속의 미녀', 호두까기 인형' 등
-푸치니(G. Puccini : 1858∼1924, 이탈리아)
바그너의 영향을 받아 극적이고 박력있는 오페라를 작곡하여 근대 오페라의 금자탑을 쌓았다.
[작품] 오페라: '라보엠', '토스카', '나비부인', ' 투란도트'.
Ⅲ. 결 론
현대음악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성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특성으로 어떤 이는 현대의 사조를 '조화와 융합'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과거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기도 하고, 현대에 개발된 방법을 주로 사용하기도 한다. 혹은 이 둘을 적절히 섞기도 한다. 즉, 과거의 형식과 조성을 다시 쓰기도 하는, 그러한 종단적인 융합 뿐 아니라 동시대의 다른 장르의 음악과의 횡단적인 조화를 추구하며, 과거와 현대가 동등한 입장에서 만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새로운 모습의 발전일까, 아니면 더 이상 새로운 것이 나올 수 없는 한계에 부딪힌 것일까. 하지만 그 답을 말하기엔 아직 너무 이르다는 생각이 든다. 위의 본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대음악은 아직 완전히 가야할 길을 확정하지 못한 체, 끊임없는 실험정신으로 새로운 전개를 보여 주면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음악은 삶의 즐거움과 아름다움만이 아니라 삶의 고통과 어두움까지를 싸안는 치열함에 의해서 가치있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또한 나에게 있어서는 치열한 비판의식과 자기반성이 수반된 현대음악이 이러한 소외, 삶의 갈급함을 충족시켜줄 수 있다. 현대음악은 곧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음악이고 우리의 삶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것이 단지 수많은 양식의 현대음악 중 일부를 평가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법이 존재할 수 없듯이, 음악도 모든 인간의 예술적 취향을 만족시킬 수 없음이 그 이유이다. 또한 음악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예술적 가치와 더불어 음악의 기능과 목적 또한 필요로 하는 한 예(실용음악처럼)를 볼 때, 오히려 현대음악의 가장 커다란 특징인 다양성이야말로 그(다양한 예술적 취향의 만족과 시대적 요구로서의 음악의 또다른 목적)에 가장 가까운 결과의 소산이며, 음악과 인간과의 새로운 관계형성에 도움을 줌으로써 그 의의가 있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8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