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의 국제마케팅 성공 및 실패사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기업의 국제마케팅 성공 및 실패사례

본문내용

판로개척을 위해 전남부스를 설치하고 농수산물유통공사로 하여금 이를 대행 판매토록했으 며 58명의 현지 바이어들과 수출상담을 벌였다.
배용태 전남도 통상협력관은 『이번 박람회는 세계식품문화의 조류를 체험하고 유망바이어 발굴과 국제 마케팅능력을 함양하며 전남의 우수 농. 수산가공식품의 유럽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사례연구]
중소규모 업체들이 정부의 세일즈로 마케팅 활동을 실행한 성공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다. 앞의 사례와 같이 이러한 형태도 수평적 통합이라고 보아진다. 위의 경우 농수산물유통공사가 판매대행회사가 된다고 할 수 있겠는데, 경험이 없는 중소규모 업체들에게는 유용한 해외시장 개척전략이라고 할 수 있겠다.
실패사례. 한국의 섬유·신발산업
70~80년대 우리 나라는 가격경쟁력을 가지고 제 2차 경공업제품을 수출하였다. 그러나 계속된 임금상승 등으로 이러한 원가상의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말았다. 각 기업은 성장기에 R&D를 하지 않고 자사의 독자적 브렌드를 계발하지 않아 거의 대부분이 OEM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결국 중국에 그 경쟁우위를 내 준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상품의 자체상표를 계발하고 고품질, 고가화 시켜 수출상품의 탄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부즈앨런&해밀턴 한국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상황을 일본의 고품질 제품과 중국의 원가우위 사이에 낀 호두로 비유하여 한국경제의 기적은 끝났다고 말하였다. 모라토리엄은 면했지만 넛크래커 상황은 여전하다고 본다. 앞에서 예로 든 기업들처럼 적절한 전략을 구사하지 못한다면 한국기업들은 결코 다시 일어서지 못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9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