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윗의언약과신학에서의 중요성
본문내용
그의 마음 가짐에서 하나님 섬기는자의 본을 보였기 때문이다. 요나단의 최후를 슬퍼하는 사랑의 사람이었고, 모든 받은 재능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백성들을 든든히 세우는일을 위하여 전심을 받친 삶이었다. 죄를 회개하고 자복하는 정직한 사람이었으며, 죄가 자리에 머물지 못하게한 회개의 사람이었다. 다윗은 남북 통일을 달성하고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하였으며 그에게서 정치적 천재성이 드러났다. 이스라엘 최대의 번영을 가져왔고, 남북 질서를 조직화하여 강화 시켰다. 상비군 288,000명, 12반열이 나누어 달 마다 교차로 예루살렘 궁을 지키게하였으며 각지파 마다 관장을 두고 궁중에는 왕을 위한 고문단과 서기관을 두어 국사를 논의 하고 그것을 기록 보관케하였다. 그는 종교 제도를 확립하고 이스라엘의 종교적 기반을 구축하였고 많은 아름다운 시편을 남겨 신앙의 감화를 후세에 전하였다(73편). 그러나 다윗은 인구조사(삼하14;1-25)의 동기가 악하였는데 자기소유로 알았고 권력 무역으로 나라를 세우려하였다. 하나님께서 치시려고 감동시켜 인구조사하게하였다고 기록되어있다(삼하24;1). 그 결과로 온역으로 죽은백성이 7만이었다.
그리고 또 실수를하는데 간음과 살인(삼하11;1-12;25)이다. 자기를 향한 나단의 지적이었으나, 4 배나 갚아주어야한다고 맹세함으로 자신의 죄를 은폐하려하였고 그 결과로 4 아들을 잃게 된다(밧세바의 아이,암논, 압살롬, 아도니아). 아무리 성군이라도 인간이라는점은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코람데오의 신앙에서 벗어나면 마귀는 우리를 넘어뜨리는 것이다. 다윗을 통해 하나님을 더욱 알아가야한다.
그리고 또 실수를하는데 간음과 살인(삼하11;1-12;25)이다. 자기를 향한 나단의 지적이었으나, 4 배나 갚아주어야한다고 맹세함으로 자신의 죄를 은폐하려하였고 그 결과로 4 아들을 잃게 된다(밧세바의 아이,암논, 압살롬, 아도니아). 아무리 성군이라도 인간이라는점은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코람데오의 신앙에서 벗어나면 마귀는 우리를 넘어뜨리는 것이다. 다윗을 통해 하나님을 더욱 알아가야한다.
추천자료
[신학]구약성경과 신약성격의 관계 및 차이점
(신학)지혜전승연구 - 브루지만
[구약성경신학] 구약성경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예표와 현대적 적용 (출애굽기 12장 1-14절) -...
(신학교, 신대원) [요약, 감상문] 최근 구약성서의 신앙 _ 차준희 저
[바울신학] 바울의 윤리(倫理) [그리스도인과 십계명] {율법의 제3의 용도, 기독교적 직관론...
[구약신학] 창세기 21장 주해와 적용(이삭의 출생과 이스마엘의 축출)
[구약신학] 창세기 4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요셉의 두 아들을 축복하는 야곱
[구약신학] 창세기 4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 가족의 애굽 이주
[구약신학] 레위기 1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성 도덕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사형에 해당되는 여러 범죄들
[구약신학] 레위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안식년과 희년
[구약신학] 레위기 2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순종의 축복과 불순종의 저주
[구약신학] 레위기 1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 진단 규례
[구약신학] 레위기 1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문둥병자의 정결 예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