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비군사적 대북억제정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의 비군사적 대북억제정책

본문내용

통일정책의 내용에 있어서도 ‘통일’과 ‘통합’에 대한 혼용은 더욱더 통일정책의 실질적 추구를 가로막는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특히 한국의 통일정책을 북한이 수용할 수 없고 반대로 북한의 통일정책을 한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남북한 각각의 통일정책의 대립은 교류와 협력을 통한 긴장완화나 통일을 위한 접근조차도 가로막는 것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에 있어서 국제정치적 상황 변화는 남북한의 관계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한국은 북한에 대하여 체제우위적 자신감을 가지고 통일문제, 대북정책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하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북한은 체제유지를 위한 정책의 수단으로 공세적인 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비록 북한이 공세적인 외교정책에 의하여 국제적 고립상태에서 벗어나 미국과의 직접협상을 이끌어 내고 경제적 원조와 식량에 대한 원조를 획득했다고 하지만 이로써 북한이 개방정책을 추구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없을 것이며 결국 북한이 개방정책과 체제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국은 통일정책에 있어서의 탄력성과 유연성을 가져야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은 넓은 의미의 ‘통합’정책의 일환으로 대북정책을 수립하여야하며 비록 단계적인 통일정책을 추구하여야 하지만 전체적인 맥락에서 이들 단계별 세부정책을 종합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같이 추구해야만 하는 양면정책을 대북정책에 적용해야만 할 것이다. 이제 한반도의 통일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져야 하는 것이며, 준비없는 통일 보다는 철저한 준비를 거친 통일을 이루어야만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0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