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성부의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안)
본문내용
과정에서 시설 규모에 따라 실질적인 대표성을 가진 보호자 대표가 보다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자체 점검 이외의 지자체 단위의 다양한 평가 결과 또한 반영될 필요가 있다. 서대문구의 경우 구립 어린이집에 한해 부모 운영위원 4인에 의한 타 보육 시설 평가를 실시한 바 있는데,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렇듯 현장관찰자에 의한 일회적 평가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아동의 보호자에 의한 다양한 평가 과정이 평가인증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야 한다. 보호자 대표에 의한 평가결과가 보다 많은 공신력을 갖기 위해서는 평가 과정에 참여할 보호자 대표에 대해 지자체 단위의 기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보호자 대표에 의한 평가를 보완하기 위해 현장 관찰자에 의한 무작위 추출의 아동 보호자 면접이나 전화 인터뷰 등 다양한 평가 방법 등이 모색되어야 한다.
4. 마치며
보육시설에 대한 평가 후 인증 결과에 따라 정부는 해당 보육시설에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 또한 몇 년에 걸쳐 몇 %의 보육시설에 대해 평가인증을 실시할 것인지 여성부 평가 인증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성부의 평가인증제만으로 전국의 보육시설을 언제까지 어떻게 커버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평가 인증 신청을 회피하며 나름대로의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는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마지막으로 평가 인증 결과를 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만으로는 부모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어려우며, 보다 많은 아동 보호자가 그 결과를 알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4. 마치며
보육시설에 대한 평가 후 인증 결과에 따라 정부는 해당 보육시설에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 또한 몇 년에 걸쳐 몇 %의 보육시설에 대해 평가인증을 실시할 것인지 여성부 평가 인증에 대한 마스터플랜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성부의 평가인증제만으로 전국의 보육시설을 언제까지 어떻게 커버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평가 인증 신청을 회피하며 나름대로의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는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마지막으로 평가 인증 결과를 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만으로는 부모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어려우며, 보다 많은 아동 보호자가 그 결과를 알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