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본의 아동복지법에 나타난 보육시설 입소 기준
2. 일본의 보육시설 입소 기준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일본의 아동복지법에 나타난 보육시설 입소 기준
2. 일본의 보육시설 입소 기준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하고 그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2015년 9월 13일 보건복지부는 맞춤형 보육 개편안을 발표하였다. 개편안의 주요 골자는 전업주부만의 만0~2세 영아 보육서비스 이용시간을 6~8시간 사이로 조정하고 월 15시간의 긴급보육바우처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를 통해 절감되는 365억 원으로 보육교사 처우를 개선하고 종일반 보육 단가를 인상하는 등 보육의 질 개선에 투자한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제도의 개선은 보육정책의 취지를 생각할 때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도 이러한 정책으로 일과 직장의 양립이라는 문제를 잘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맞벌이 가구만을 위한 보육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다른 문제를 낳을 수 있다. 즉 저소득가구나 한부모가구, 조손가구 등 모든 가족들을 포괄하는 보육정책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새로운 정책이 또 다른 차별을 낳지 않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 유해미외, “어린이집 우선 입소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 강현옥, “우리나라 보육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 2010
- 김선애, “공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07
Ⅳ 참고문헌
- 유해미외, “어린이집 우선 입소 내실화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3
- 강현옥, “우리나라 보육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 2010
- 김선애, “공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2007
추천자료
일본의 포괄적 보육 서비스
아동복지법
[일본의 지역복지정책][우리나라 지역복지]일본의 지역복지정책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지...
시설아동을 위한 아동복지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의료사회사업 관련 사회복지시설] (장애인, 노인, 아동, 모자)복지, 정신보건, 영유아 보육기관
영유아 보육법으로 보는 영유아 보육 정책의 변화
외국의 노인학대 사례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의 노인학대 대책
외국 아동 복지의 발달사(미국, 스웨덴, 일본)
[노인복지시설] 노인복지지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노인복지시설의 개선방안 (포항 노인 요양...
사회복지법제_시행일을 기준으로 2015년부터 최근까지의 노인복지법 개정내용을 정리하고 개...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원봉사활동]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자원봉사자의 역할과 자세, 아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