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룡의 교의신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형룡의 교의신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박형룡의 교의신학

본문내용

터 많은 장애를 받는 다는 것을 느끼는데 이때 자연
질서를 관할하여 사람의 영적 목적에 유익케 하는 보다 고등한 통치자를 찾게 된다고 한
다.
그리하여 인간은 그 존재를 믿고 의지함으로 자기의 이상을 실현하려는데서 종교가 생겼
다고 한다.
3. 성경적 견해
하나님이 인간에게 계시를 주셨고 또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감수성을 주셨기 때문에 종
교는 생긴 것이다.
이성 지성 양심만을 가진 자연인들에게는 수많은 형태의 이방종교가 있는 것이며
특별계시와 중생하여 갖게된 영안을 가진 자들은 참 종교인이 되는 것이다.
제2장 신 학
1. 정의
1. 좁은 의미
하나님에 관한 교훈
2. 넓은 의미
하나님에 관한 그리고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에 관한 학문
기독교 교리전체 즉 하나님에 관한 특별한 교훈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에 맺
고 있는 관계들을 취급하는 모든 교훈들을 의미
2. 종교와 신학의 관계
1. 종교-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지.정.의를 포함한 인간생활 전체
2. 신학-종교의 지적인 면
3. 기독교 신학의 분야
1. 신학 연구를 위한 보조 학문
세계사 . 고고학 . 인종학 . 비교언어학 . 비교종교학 . 철학 . 심리학 . 심미학
2. 성경신학
1) 구약학-히브리어 . 모세오경 . 구약사 . 구약서론 . 시서총론 . 대선지서 . 구약신학 . 성경고
고학 . 소선지서
2) 신약학-성경해석학 . 신약해석 . 신약서론 . 신약신학 . 복음사 . 사도사
3. 교의신학
변증학 . 험증학 . 교의신학서론 . 신론 . 인간론 . 기독론 . 교회론 . 구원론 . 종말론 .
현대신학 . 기독교윤리
4. 역사신학
초대교회사 . 중세교회사 . 종교개혁사 . 근대교회사 . 현대교회사 . 교리사
5. 실천신학
목회학 . 설교학 . 기독교교육학 . 설교연습 . 목회정치 . 예배모범 . 전도학 . 선교학 . 주
교교육학 . 목회상담 . 종교심리학 . 교회성장학 . 청소년목회 . 가정교육 . 유아교육 . 상
담학 . 개인전도학
제3장 교의신학
1. 개념
성경에 있는 진리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학문이다.(찰스하지)
1. 성경의 진리를 체계화한 학문
1) 교리-성경 진리에 대한 어떤 한 개인의 계통적 진술이다. (아직 교회의 인정을 받지 못한 것)
2) 교의-권위에 기초를 둔 성경적 진리이다.(교회회의에서 공적으로인정을 받은 교리
3) 신조-교리 가운데 교회가 그 신앙조항을 공적으로 정한 것(신앙고백서 형식으로 존재)
2. 교의신학은 조직신학이라고도 불리워진다.
3. 교의신학이라고 불러야 하는 이유
조직신학은 성경의 진리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되 오랜 세월을 두고 교회가 수많은 교리
들을 음미,검토,비판하여 참으로 성경의 진리라고 인정되는 교리들만을 공적으로 채택한
교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전통적으로 취하여 온 바른 교리들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자기 개인의
사상을 따라 꾸며진 이단들의 교리나 현대의 신정통 또는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조직신학
은 여기서 말하는 조직신학이 아니다.
4. 교의의 형성과정
1) 성경은 어떤 책인가 ?
(1) 1500여년에 걸쳐 선지자와 사도들을 통하여 성령의 감동으로 쓰여진 책이다.
(2) 죄인 구원을 목적으로 그 길을 알려 주시려고 하나님께서 쓰신 책이다.
(3) 성경의 진리는 인간의 사상이나 지식이 아니다.
(4) 성경은 하나님의 지혜이며 신령한 지식이다.
2) 성경은 누가 깨달을수 있는가?
자연인은 알수 없는 책이다.
그들이 성경에 대하여 무슨 말을 하더라도 그것은 성경의 진리가 아니다.
성경의 진리는 오직 성령으로 거듭나서 그 성경 말씀안에서 경건하게 살고자 하는 사람
들만이 깨달을수 있으며 경건한 신앙인만이 성경의 진리를 알 수 있다.
신령한 진리는 신령한 것으로 깨달아야 한다.
고전2:13-우리가 이것을 말하거니와 사람의 지혜의 가르친 말로 아니하고 오직 성령의
가르치신 것으로 하니 신령한 일은 신령한 것으로 분별하느니라.
신령한 자가 누구인가?
1) 거듭난자 (요3:3-하나님 나라를 본다.)
2) 마음이 청결한 자 (마5:8-하나님을 본다.)
3) 하나님께 속한 자 (요8:47-하나님의 말씀을 듣는다.)
4) 진리의 성령을 모신자 (요16:13-진리 가운데로 인도를 받아 나간다.)
5) 말씀안에 거할 때 (요8:32-참 제자가 되어 하나님의 진리를 알 수 있다.)
3) 교리형성
(1) 부분적으로 깨달아 지는 성경
성경의 진리는 경건한 신앙인이 기도하는 마음으로 간절히 사모하며 탐구하는 중에 성령
의 조명을 받아 깨닫게 되는데 수없는 실수와 오해를 거치는 과정에서 성경 어느 한 구
절을 깨닫게 될때 거기서 영혼의 새힘을 얻고 그 말씀이 꿀보다 더 달게 느껴지는 것이
다.
시119:103-주의 말씀의 맛이 내게 어찌 그리 단지요 내입에 꿀보다 더하니이다.
인간들이 쓴 책은 몇번 읽으면 그 저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내용들의 밑바닥이 들어나지
만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은 무한한 것이다.
롬11:33-깊도다 하나님의 지혜와 지식의 부요함이여, 그의 판단은 측량치 못할 것이며 그
의 길은 찾지 못할 것이로다.
(2) 부분적 진리들의 체계화
부분적으로 깨달아진 내용들은 취사 선택과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서 성경 전체의 진
리와 모순없는 하나의 교리를 형성하게 된다.
부분적으로 깨달아진 그 내용이 참으로 성경이 계시하는 진리인가?
성경 다른 부분의 모든 말씀과 모순없는 조화와 통일을 이룰수 있는 내용인가?
(3) 교리의 논쟁
개인이 세운 교리는 같은 주제에 대한 다른 사람의 교리와 차이가 있을 때 논쟁의 과정
을 거친다.
(4) 교의의 형성
어떠한 주제에 대하여 상이한 교리들의 논쟁이 있게 될 때에 교회는 어떤 교리가 참으로
성경의 진리인가를 신중히 검토하여 바른 교리를 결정하는데 이것이 교의이다.
오늘의 교의는 교회 2000년 역사 속에서 수많은 경건한 신앙인들의 수고와 눈물과 땀으
로 한개씩 주어 모은 성경 진리들을 하나의 실에 꿰어 놓은 진주 목거리와 같은 것이

키워드

박형룡,   교의,   신학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1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