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여성 할당제 실시
2. 여성인적 자원개발의 목적
3. 여성인적 자원개발의 필요성
4.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사회적기업 모델 제안
참고문헌
2. 여성인적 자원개발의 목적
3. 여성인적 자원개발의 필요성
4.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사회적기업 모델 제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에서 사회적기업은 현행 사회서비스 확대전략의 차원에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4.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사회적기업 모델 제안
여성인력개발센터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하여 취업 및 창업을 위한 직업훈련을 제공하는 비영리민간단체로서 사회적기업의 주요한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현재 사회적기업에서 공백이 보이는 교육훈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는 전국적인 네트웍을 기반으로 활동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을 직접지원하거나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방향은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기업 모델을 만들어 사회적기업의 잠재력 가능성을 개발하는 방향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의 조직기반 및 활동의 내용에 비추어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사회적기업 모델은 노동통합형 사회적기업 가운데 생산활동을 통한 현장직업훈련서비스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유형이 적합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교육제공방식을 전환하여 이들을 교육생의 지위와 더불어 직접 고용함으로써 기업의 형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유럽의 경우 이미 이러한 모델이 존재하며 벨기에의 경우 이러한 기업을 직업훈련사회적기업(EFT)으로 분류한다. 이들은 대부분 직업경험이 없거나 기능이 없는 여성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들의 임파워먼트를 도모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인력개발센터 또한 이러한 모델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장기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현장직업훈련을 통하여 훈련과 시장간의 간극을 좁히며 시장적응력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단기일자리 제공으로 교육훈련경력 뿐 아니라 취업경력을 가져 일반시장에서의 취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 상업활동을 통한 소득으로 교육훈련을 위한 재정에 기여하여 운영의 안정성을 도도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인재김신양, 빈곤여성과자활정책(2004),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Jean-Claude Barbier(2001), Welfare to work policies in Europe, The current challenges of activation policies.
Gunter Schmid(1998), Transitional labour markets: A new European employment strategy.
4.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사회적기업 모델 제안
여성인력개발센터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하여 취업 및 창업을 위한 직업훈련을 제공하는 비영리민간단체로서 사회적기업의 주요한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현재 사회적기업에서 공백이 보이는 교육훈련 분야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는 전국적인 네트웍을 기반으로 활동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을 직접지원하거나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그 방향은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기업 모델을 만들어 사회적기업의 잠재력 가능성을 개발하는 방향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의 조직기반 및 활동의 내용에 비추어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사회적기업 모델은 노동통합형 사회적기업 가운데 생산활동을 통한 현장직업훈련서비스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유형이 적합할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교육제공방식을 전환하여 이들을 교육생의 지위와 더불어 직접 고용함으로써 기업의 형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유럽의 경우 이미 이러한 모델이 존재하며 벨기에의 경우 이러한 기업을 직업훈련사회적기업(EFT)으로 분류한다. 이들은 대부분 직업경험이 없거나 기능이 없는 여성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들의 임파워먼트를 도모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여성인력개발센터 또한 이러한 모델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장기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현장직업훈련을 통하여 훈련과 시장간의 간극을 좁히며 시장적응력을 강화할 수 있다.
셋째, 단기일자리 제공으로 교육훈련경력 뿐 아니라 취업경력을 가져 일반시장에서의 취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넷째, 상업활동을 통한 소득으로 교육훈련을 위한 재정에 기여하여 운영의 안정성을 도도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인재김신양, 빈곤여성과자활정책(2004),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Jean-Claude Barbier(2001), Welfare to work policies in Europe, The current challenges of activation policies.
Gunter Schmid(1998), Transitional labour markets: A new European employment strategy.
추천자료
[ 여성 정치의 활성화에 대한 연구 ]-선진국과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 여성 정
[여성복지] 정부의 여성복지 정책의 현황과 미래의 과제
한국역사속의 여성 - 문명을 떨친 여성에 관하여
한국 여성복지법제에 관한 연구- 여성 고용에 관한 법제를 중심으로
[여성학]현대사회와 여성적 리더십에 대한 고찰 (A+리포트)
프로포절-지역사회 중년여성과 함께하는 저소득 여성 한부모가족(모자가정)의 아동보호 및 지...
조선시대의 여성교육, 여성학 (교육의 역사와 철학)
[여성정책] 『해외와 한국의 여성정책 비교』에 대하여
[여성차별] 직장에서의 여성차별에 대한 대책방안
우리나라의 결혼이주여성(여성결혼이민자) 정책 보고서
[여성평생교육][퇴직예정자평생교육][청소년평생교육][노인평생교육][중고령자평생교육][농촌...
[여성간호] 여성간호 자궁근종 (myoma uteri) 케이스 스터디
우리사회의 여성복지에 관한 개선방안(여성복지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