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방법이다. 이는 응답자가 응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신 연구자는 상대적으로 분석을 하기에 용이하다.
② 측정
어떤 대상에 대하여 일정한 법칙에 근거하여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
㉠ 명목척도 - 측정대상의 속성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숫자를 부여하는 것.
㉡ 서열척도 - 측정대상의 속성의 순위를 밝혀주는 척도.
㉢ 등간척도 - 대상의 속성에 값을 부여하되 그 속성에 대한 값의 간격이 같은 것.
㉣ 비율척도 - 등간척도가 갖는 특성 외에 절대영점을 갖고 있어 한 측정치와 다른 측정치의 차이뿐 아니라 몇 배인가도 측정해 줌.
③ 변수의 조작적 정의
측정의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하여 그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개념에 대한 한계를 설정하여 주는 것을 조작적 정의라 한다.
3) 표본설계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가 많을 경우 비용과 시간의 문제로 인하여 우리는 표본조사법을 이용하게 된다. 연구하고자 하는 전체대상집단을 모집단이라고 하고, 그 중 연구를 위하여 추출되어진 소수의 대상을 표본이라고 한다. 이때 연구에 이용될 표본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기 위해서는 표본의 추출방법이 정교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표본추출과정은 모집단의 정의,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표본의 수 결정, 표본추출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4. 자료의 분석
자료의 분석은 주로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표본의 수가 많거나 복잡한 통계량을 요구할 경우 대부분 컴퓨터를 이용하게 된다. 컴퓨터의 이용에 있어서는 통계를 전문적으로 처리해 주는 통계전문 패키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원하고자 하는 통계량을 얻어낼 수 있다. 통계분석에 이용되는 패키지는 대체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등이 있다.
자료를 분석할 때에는 어떤 척도로 측정되었는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사용된 척도가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모수통계기법이 이용되며,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모수통계기법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행동을 분석할 때는 설문지의 문항이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극히 제한적인 분석방법을 적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보다 정밀한 분석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문항 자체가 등간척도나 비율척도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② 측정
어떤 대상에 대하여 일정한 법칙에 근거하여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
㉠ 명목척도 - 측정대상의 속성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숫자를 부여하는 것.
㉡ 서열척도 - 측정대상의 속성의 순위를 밝혀주는 척도.
㉢ 등간척도 - 대상의 속성에 값을 부여하되 그 속성에 대한 값의 간격이 같은 것.
㉣ 비율척도 - 등간척도가 갖는 특성 외에 절대영점을 갖고 있어 한 측정치와 다른 측정치의 차이뿐 아니라 몇 배인가도 측정해 줌.
③ 변수의 조작적 정의
측정의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에 대하여 그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런 개념에 대한 한계를 설정하여 주는 것을 조작적 정의라 한다.
3) 표본설계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의 수가 많을 경우 비용과 시간의 문제로 인하여 우리는 표본조사법을 이용하게 된다. 연구하고자 하는 전체대상집단을 모집단이라고 하고, 그 중 연구를 위하여 추출되어진 소수의 대상을 표본이라고 한다. 이때 연구에 이용될 표본이 전체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기 위해서는 표본의 추출방법이 정교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표본추출과정은 모집단의 정의, 표본추출방법의 결정, 표본의 수 결정, 표본추출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4. 자료의 분석
자료의 분석은 주로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표본의 수가 많거나 복잡한 통계량을 요구할 경우 대부분 컴퓨터를 이용하게 된다. 컴퓨터의 이용에 있어서는 통계를 전문적으로 처리해 주는 통계전문 패키지를 이용하여 간단히 원하고자 하는 통계량을 얻어낼 수 있다. 통계분석에 이용되는 패키지는 대체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등이 있다.
자료를 분석할 때에는 어떤 척도로 측정되었는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사용된 척도가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모수통계기법이 이용되며,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모수통계기법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행동을 분석할 때는 설문지의 문항이 명목척도나 서열척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극히 제한적인 분석방법을 적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보다 정밀한 분석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문항 자체가 등간척도나 비율척도가 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녹차 성분이 첨가된 웰빙 식품에 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
마케팅조사의 목적과 일반적 절차 (마케팅 조사의 목적과 일반적 절차 및 마케팅 조사의 설계...
[국제마케팅조사] 국제마케팅조사의 필요성과 특성, 문제점, 영역, 대상, 조사과정
사회복지조사과정과 사회복지실천과정을 비교 설명 - 개입 내지 현지작업 단계, 종결 내지 결...
사회복지조사과정과 사회복지 실천과정을 비교 설명
논문 분석 - 제7차 교육과정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현직 교원들의 인식 조사
① 표본추출(표집)방법의 종류와 ②사회복지조사절차(과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표본 추출 개...
상권분석과 상권조사 절차 (점포입지 결정의 중요성, 상권의 정의, 입지선정과정과 광역시장 ...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조사과정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주제를 가지고 과학적 조사과정에 따라 어떻게 조사를 진행해...
[소비자행동론] 선택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의 개념, 과정, 특징 및 선택적 지각 원리...
조사연구의 전 과정을 설명 : 조사연구
사회조사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기에 늘 윤리적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조사과정에서 발생할...
[사회복지조사연구] 사회복지조사연구의 전 과정을 기술하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특징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