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적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에서 심리적 문제(증상)의 형성과 치료과정의 사례를 제시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석적 상담과 인간중심 상담에서 심리적 문제(증상)의 형성과 치료과정의 사례를 제시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상담사례 개요
1. 가족상담의 목적
2. 가족상담의 필요성
3. 가족상담의 과정
4. 가족상담의 배우자 선택
5. 가족상담 부부의 실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한다. 부와 모는 상대방이 무엇을 기대하고 희망하고, 두려워하는지 물을 수 없다. 왜냐하면 부도 모도 상대방의 마음속에서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부와 모는 상대방을 기쁘게 하여야 한다는 가정에서 행동하기 때문에, 상대방이 기분 나쁘면 상대방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없고, 이의(異意)나 비판(批判)을 직접 제기할 수 없다. 부와 모는 서로 같아야 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부와 모는 같은 핏줄에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산다. 부와 모는 같은 생명수도관에 매달려 있는 것처럼 산다. 이런 부부의 예를 들면, 치료 첫 시간과 두 번째 시간에 부부는 서로 팔을 끼고, 자녀는 이 비극(悲劇)을 삼키며, 부부 건너편에 앉아 환상(幻想) 속에 있었다.
(6) 부와 모는 무엇인가 ‘얻기’위해 결혼하였다.
- 부와 모는 상대방이 존경하여 주기를 바라고 결혼하였다.
- 부와 모는 자신에게 없는 것이 상대가 갖고 있는 특성이기를 바랐다.
- 부와 모는 상대방이 자기의 연장이기를 바랐다.
- 부와 모는 상대방이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모든 것을 아는 이기적이지 않은‘선량한’ 부모이기를 바랐다.
5. 가족상담 부부의 실망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부부가 서로에게 실망할 때, 그 좌절을 자녀에게서 보상(補償) 받고자 하거나, 또는 좌절(挫折)에 따른 분노(忿怒)를 자녀에게 전이(轉移)시켜 자녀를 병들게 한다.
(1) 부와 모의 부부관계는 역기능적(逆機能的)이다. 그들은 둘 다 자존심이 낮다. 부는 모가 자신의 자존심을 높여줄 것이라고 보았고, 모는 부가 자신의 자존심을 높여줄 것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두 사람은 상대방을 자기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에, 서로가 상대에게서 받지 못하였다고 실망한다. 그래서 부와 모의 관계는 자존심을 낮추기만 하고, 그 결과 서로에게 환멸(幻滅)을 느끼고 실망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 부와 모가 부모로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 가라는 의문이 일어난다. 이 의문을 풀기위해, 부와 모가 자녀를 어떻게 보는 가를 물어야 한다. 그들은 자녀를 사회에서 자신들의 가치를 나타내고, 자신과 가족에 대한 존중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볼 것이다. 그들은 자녀를 그들 자신이 계속해서 부모로 존중받기 위한 수단으로 볼 것이다. 부와 모는 자녀가 부모를 좋아한다고 느끼어야 한다. 부와 모는 자녀를 자기의 연장으로 볼 것이다.
(2) 부와 모가 자녀를 보는 것은 일반적으로 부와 모가 자녀에게 바라는 것들이다. 문제는 모가 바라는 것을 부가 반대할 때, 부가 바라는 것을 모가 반대할 때에 발생한다. 자녀는 부와 모의 갈등 많은 욕구들 사이에 사로잡힌 자신을 발견한다. 모든 부는 자녀를 모에 대항하는 동맹자로 본다. 모든 모(母)는 자녀를 부에 대항하는 동맹자로 본다. 모든 부는 자녀를 모에 의사 전달할 수 있는 사자(使者)로 본다. 모든 모는 자녀를 부에게 의사전달(意思傳達) 할 수 있는 사자(使者)로 본다. 모든 모는 자녀를 부에게 화해를 제기하는 자로 본다. 모든 부는 자녀를 모에게 화해(和解)를 제기하는 자로 본다. 모든 모는 자녀를 부에게 화해를 제기하는 자로 본다.
(3) 다른 말로 하면, 부가 모를 자기의 연장으로 보려는 것과 모가 부를 자기의 연장으로 보려는 것은 부와 모가 서로 자기의 연장으로 보려고 하기 때문에 저지(沮止)되거나, 도전(挑戰) 받는다.
참고문헌
김영모. 홍금자. 김진이(2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고헌출판사
김충기 외역(1993), 상담과 심리치료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성원사
조현춘 공역(1995),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한국대학상담학회(1993), 상담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3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