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투과성을 증가 시키므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항체 단백질과 다른 화학물질들이 모세혈관을 빠져 나와 조직으로 들어가게 한다. 혈액으로부터 조직으로 물질의 흐름이 증가하여 국소적으로 조직이 붓거나 부종을 일으킨다. 한편 상해세포로부터 방출된 하학물질등은 동종을 유발한다.
(3)호중구 및 다른 백혈구들은 삼출현상에 의해 모세혈관을 빠져나가 주위 조직으로 들어간다. 호중구와 조직의 대식세포들은 상해세포, 활성화된 보체 단백질, 림프구로부터 분비된 림포가인과 다른 세포로부터 분비된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주성에 의해 상해조직이 있는 영역으로 유인된다.
즉, 염증반응이란 위와 같은 기전을 통하여 병원체로부터 생체를 방어하고, 병원체가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거나 더 이상 해를 입히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수단이다.
(3)호중구 및 다른 백혈구들은 삼출현상에 의해 모세혈관을 빠져나가 주위 조직으로 들어간다. 호중구와 조직의 대식세포들은 상해세포, 활성화된 보체 단백질, 림프구로부터 분비된 림포가인과 다른 세포로부터 분비된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주성에 의해 상해조직이 있는 영역으로 유인된다.
즉, 염증반응이란 위와 같은 기전을 통하여 병원체로부터 생체를 방어하고, 병원체가 다른 조직으로 퍼져 나가거나 더 이상 해를 입히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수단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