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주로 일상생활에 대한 케어를 받으면서 재택생활을 하는 것이 가능한 곳이다. 형태는 집합주택, 취미실, 진찰실 등을 갖춘 주간보호소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하우스가 일반적으로 보급된 것은 1972년 보건사회청으로부터 나온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하우스계획 지침의 발표 이후이다. 전에는 이 시설이 여러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서비스하우스라는 명칭으로 통일된 것은 1982년 사회서비스법의 규정이후이다. 서비스하우스는 일반 노인대상의 주택과 개호상태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개호동형태 그리고 1980년대 전반까지 세워진 Day Center이다. 노인케어시설정책의 제도적 장치는 스웨덴의 노인케어정책의 중심은 원칙적으로 재택케어이다. 즉 그 중심이 시설케어로부터 재택케어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더욱 현저하게 되었다. 그리고 노인서비스 공급의 기본적인 방침은 자립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비스의 공급은 본인의 생활원조를 위하여 라고 하는 것이어서 생활하는데 무엇이 필요한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주요 시설로는 ① 재택 ② Service House ③노인홈 ④ 집단주택 ⑤ 너싱홈 등이며 중요한 것은 재택으로부터 너싱홈에 이르기까지 각각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신체상황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서 각 장소를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노인케어시설의 재정운영 노인케어를 위한 재원의 대부분은 각종 조세수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세금으로 충원된 재원은 정부, 지방, 지역 차원으로 각각의 책임과 역할분담이라는 이중적인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1992년 노인케어에 소요되는 정부차원의 수입을 보면 조세수입이 약 60%이며 조세수입은 주로 소비과세와 부가가치세로 되어 있다. 지출 중 대부분은 사회성 관련 비용이며 이 비용은 1992년도 총예산에서 17.7%를 차지하고 있다. 그중 반 이상이 기초연금으로 지출되고 있다. 수입에 있어서는 보조금수입 등과 이용자부담금이 있으며, 지출에 있어서는 직원인건비와 사무비등이다. 수입에 있어서는 93%가 보조수입이며 이용자부담에 의한 수입은 7%정도이다. 현재 수입의 75%가 인건비로 지출되며 지출비용 중 직원급여의 부담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 Owe Ahlund, 1993) 비용의 확보를 위해서는 시민의 지방세부담률에 관한 조정이 필요하지만 현재 지방세의 인상 동결을 법률로 규정하고 있어서 모든 자치단체는 현재의 세율을 유지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5노노케어
‘노노케어’란 케어가 필요한 노인을 자녀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가 돌보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건강한 노인이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을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케어도우미의 대인적 서비스에는 대표적으로 가사 서비스, 개인 활동 서비스, 신체서비스, 우애서비스, 후원금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가사서비스는 케어대상자에게 방문하여 집안청소나, 빨래, 음식 준비 등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며, 개인 활동 서비스는 케어도우미가 대상자와 함께 병원을 동행해주거나 심부름을 하고 또한, 케어 대상자가 처리해야 할 은행 및 관공서 업무를 대신해 주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신체서비스에서는 안마해주기, 함께 산책하기, 함께 운동하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며, 우애서비스는 말벗되어주기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필품 등을 지원해 주는 후원금 지원이 있다.
[동영상자료]
http://vaa.anthropology.or.kr/FILES/DONG/복지국가_스웨덴.wmv
‘복지국가 스웨덴’의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일면을 보여주는 영상자료를 소개한다. 이 영상클립은 1996년에 방영된 MBC-TV의 특별기획(3부작) [21세기 복지사회를 가다]에서 제3부의 [복지 100년 유럽의 선택] 중 스웨덴의 사례를 다룬 부분(12분 32초)이다. 이 클립은 스웨덴의 노인복지 프로그램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어서, 이제 빠른 속도로 노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고 있는 영상자료인 것 같다.
http://channel.pandora.tv/channel/video.ptv?ch_userid=silverkim&prgid=5674068&categid=all&page=1
노인복지, 치매 증상과 그 치료?예방도 가능한가?
[참고문헌] 최순남(2000), 현대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출판부 김수영(2001), 노인과 지역사회보호, 양서원 한국노인문제연구소(1996), 외국의 노인복지정책, 동인
‘노노케어’란 케어가 필요한 노인을 자녀로 대표되는 젊은 세대가 돌보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건강한 노인이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을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케어도우미의 대인적 서비스에는 대표적으로 가사 서비스, 개인 활동 서비스, 신체서비스, 우애서비스, 후원금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가사서비스는 케어대상자에게 방문하여 집안청소나, 빨래, 음식 준비 등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며, 개인 활동 서비스는 케어도우미가 대상자와 함께 병원을 동행해주거나 심부름을 하고 또한, 케어 대상자가 처리해야 할 은행 및 관공서 업무를 대신해 주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신체서비스에서는 안마해주기, 함께 산책하기, 함께 운동하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며, 우애서비스는 말벗되어주기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필품 등을 지원해 주는 후원금 지원이 있다.
[동영상자료]
http://vaa.anthropology.or.kr/FILES/DONG/복지국가_스웨덴.wmv
‘복지국가 스웨덴’의 노인복지 프로그램의 일면을 보여주는 영상자료를 소개한다. 이 영상클립은 1996년에 방영된 MBC-TV의 특별기획(3부작) [21세기 복지사회를 가다]에서 제3부의 [복지 100년 유럽의 선택] 중 스웨덴의 사례를 다룬 부분(12분 32초)이다. 이 클립은 스웨덴의 노인복지 프로그램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어서, 이제 빠른 속도로 노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고 있는 영상자료인 것 같다.
http://channel.pandora.tv/channel/video.ptv?ch_userid=silverkim&prgid=5674068&categid=all&page=1
노인복지, 치매 증상과 그 치료?예방도 가능한가?
[참고문헌] 최순남(2000), 현대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출판부 김수영(2001), 노인과 지역사회보호, 양서원 한국노인문제연구소(1996), 외국의 노인복지정책, 동인
추천자료
현대의 노인인구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재가노인복지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과 운영개선방안 - ...
[사회복지][농촌복지][여성복지][노인복지][농촌복지의 과제]사회복지의 정의, 사회복지의 발...
[노인교육][노인복지][사회교육][계속교육][평생교육]노인교육의 의미, 노인교육의 변천사, ...
[가상복지관][사회복지관][노인복지관][아카데미복지관][불교사회복지관][단지내사회복지관]...
[광역시, 사무배분, 가구통행실태, 노인복지실태, 지방의회]광역시의 사무배분, 광역시의 가...
[보건복지정책, 아동복지정책, 노인보건복지정책]보건복지정책과 아동복지정책, 보건복지정책...
보건복지부의 참여복지, 보건복지부의 복지현안, 보건복지부의 공적 노인요양보장제도, 보건...
[노인복지론] (노인 건강 복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노인장기요양보...
의료사회사업론2A)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 현황, 노인복지시설 및 인력, 제도의 개선방안 등에...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노인보건복지 현황, 노인복지시설 및 인력, 제도의 개선방...
우리나라 주거보장정책(노인건강과주거보장, 노인주거복지시설, 노인가족부양, 노인복지정책,...
[노인복지론] 베이비 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대해 인터뷰하고, 한국 노인복지 정책의 방향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