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과 청소년이 문학을 즐길 수 있는 방안아동과 청소년이 문학을 즐길 수 있는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과 청소년이 문학을 즐길 수 있는 방안아동과 청소년이 문학을 즐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0,314
1
168(191)
2021(80)
야후(http://kr.yahoo.com) 검색 엔진으로 찾은 해당 정보의 사이트 수와 웹페이지 수를 보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야후 검색의 특징이 인접 검색에 있으며21), 일반적인 용어일수록 그 대상의 넓어 청소년 문학으로 국한시키기 어렵다는 점, 기사 제목의 경우 해당 사이트의 실질적 활동과 관계없이 목록에 오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해당 사이트의 공적 부문은 사이트의 제목을 통해 표시되는 반면 사적 부문은 페이지의 제목을 통해 표시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22), ‘팬픽’은 인터넷에서 매우 폭넓은 향유층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항목을 주제로 삼고 있는 사이트들이 주로 계층화된 하이퍼텍스트의 형태도 존재하는 것에 비해, ‘팬픽’ 등은 웹링(web-ring)으로 하이퍼텍스트를 구성한다는 특징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같은 관심사를 바탕으로 횡적으로 ‘느슨하지만 연계성이 강한’ 공동체(community)를 구성하려는 경향이 강한 청소년의 문화 향유 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활화의 가장 전형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인터넷이라는 매체는 청소년 문학 생활화에 어떤 질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만약 도구적 수월성이나 효과성의 측면에서 인터넷을 살핀다면, 그 영향은 클 수도 있고 또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한국문학교육학회가 주최한 인터넷 문예 경연대회의 경험은 오프라인의 문학 활동을 단순히 온라인으로 이식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는 몇 가지 교훈이 있다. 우선 인터넷 문학 활동은 온라인상의 청소년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참여자의 수를 결정하는 조건이 아니라 쓰고 발표하는 행위와 읽고 감상하는 행위가 인터넷이 허용하는 만큼의 상호작용에 도달할 수 있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이다.
다음으로 인터넷 문학 활동은 문학의 경계지를 넓히는 창조적 행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가진 문학이라는 지도 밖에 문학이 아닌 것이 있다고 단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인터넷은 이미 문학이라는 지도 밖으로 탐사하기 위해 마련해 놓은 범선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팬픽이나 랩, 게시판 문학 등의 어느 부분이 ‘문학’의 본령에 들어올 수 있는지를 사정(査定)하기보다는 그것들에 의해 문학의 전체상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23) 여기에는 ‘문학’이 잠재적인 문학의 전체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이 ‘교육적인’ 청소년 문학의 몫이 될 수도 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필자는 인터넷이 청소년 문학 ‘생활화’가 아니라 ‘청소년 문학’ 생활화에 더 크게 간여하며 기여하는 바도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것은 인터넷이 수단이 아닌 통로로, 그리고 생활 양식으로 청소년의 언어 문화에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
강상현(2001), 대안매체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방송학보 통권 14-1.
권이종(1989), 청소년 문화와 정책, 배영사.
김신일(1993), 청소년 문화의 의의와 성격,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청소년문화론,
서봉연(1986),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 86 추계 학술 심포지엄, 한국아동학회.
윤가현(1992), 청소년기의 이해 : 전성(sexuality)의 발달, 현대사회과학연구,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윤선희(2001), 인터넷 담론과 청소년 문화, 한국방송학보 통권 14-2.
이석재(1997), 청소년 문제와 교육의 과제, 한국교육사회학회. 청소년문제와 교육의 과제, 세미나 자료집.
이옥(1986),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확립 - 대학생의 정체감, 86 추계 학술 심포지엄, 한국아동학회
이항재(1997), 청소년 문화와 인성 교육 - 교육철학적 탐색,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4집,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정범모(1977), 국가 발전과 청소년, 행동과학연구소.
최병우이채연최지현(2000), 매체언어 교육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최충옥(1993), 청소년학 정립을 위한 시론, 청소년학연구 제1권 제1호.
한기상(2001), 독일 청소년 문학 - <막스와 모리츠>의 “악동들”을 중심으로, 독어교육,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한완상(1973), 현대사회와 청년문화, 법문사.
Kandel, B &S. Lesser, 권이종 역(1991), 청소년 세계의 이해 - 미국과 텐마크 청소년의 비교, 교보문고.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