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권리 분석 판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동산 권리 분석 판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권리자
일 자
권리 내용
1
가처분

97. 4. 10.
처분금지가처분
2
근저당권

97. 5. 18.
채권액 5,000만원
3
가압류

97. 9. 24.
채권액 1억
4
가등기

97. 11. 28.

5
근저당권

98. 1. 15.
채권액 3,000만원
6
임의경매

99. 6. 1.
乙의 저당권에 터잡아
2번순위 (乙)의 근저당권과 그 이후의 권리들은 모두 소멸된다. 그러나 乙의 근저당권보다
선순위인 甲의 가처분은 소멸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에 가처분권자 甲이 승소하면 매수인은 甲에게
대항하지 못하고 소유권을 넘겨줄 수밖에 없다.
결론 : 甲의 가처분 때문에 입찰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 사례연습 (8)
▶ 서울 강남구 대치동 ○○APT 3동 511호/50평형 순위
순위
권리
권리자
일 자
권리 내용
1
가등기

97. 4. 10.
처분금지가처분
2
근저당권

97. 5. 18.
채권액 5,000만원
3
가압류

97. 9. 24.
채권액 1억 3,000만원
4
임차권

97. 11. 28.
보증금 9,000만원
5
임의경매

98. 1. 15.
乙의 저당권에 터잡아


2번순위 (乙)의 근저당권과 그 이후의 권리들은 모두 소멸한다. 그러나 최선순위 (甲)의 가등기가 문제
이다. 위 가등기가 순위 보전을 위한 가등기인지, 담보를 위한 가등기인지 확인 하여야 한다.
만약 순위보전을 위한 가등기라면 말소되지 않으나 담보를 위한 가등기라면 최선순위라도 말소가 된다.
결론 : 1번 가등기가 문제인데 순위보전을 위한 가등기라면 입찰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4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