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정에서의 장애인통합을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겠는지에 대해 의견을 정리하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장애통합교육의 개념
Ⅱ. 가정에서의 통합교육이 어떻게 이루질 수 있겠는지에 대해 설명
1. 장애 아동 스스로 먼저 준비해야 한다.
2. 통합교육을 위해 가정에서의 부모가 해야할 일
1) 부모들의 태도
2) 교육 자원의 최대 활용
3) 장애아의 발달적 요구
4) 사회적 상호작용의 원리
5) 놀이 활동의 원리
6) 모방 학습의 원리

본문내용

1999)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사의 11.9%, 초등학교 특수학급교사의 2.5%, 특수학교 특수교사의 2.9%만이 통합교육을 반대하는 의견을 나타내었다고 한다. 이 연구에서 유아교사의 반응이 포함되어있지는 않았지만, 1989년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보다는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추정케 한다.
정규 학급 부모들이 통합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통합의 교육적 효과보다도 장애아로 인하여 정상의 자기 자녀들이 교육적으로 또는 발달상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Cole & Chan, 1990). 이점에 대해 우리 나라에서 직접 확인된 연구는 없지만, 미국에서 수행된 장애 유아의 통합 교육에 관한 다섯 편의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연구(김광웅, 1990b)에 의하면 적어도 유아에 있어서 통합은 정상의 유아에게 발달상 전혀 불이익이 없으며 오히려 아동들로 하여금 인간 이해의 폭을 넓게 갖도록 해주고 발달이 늦거나 미숙한 아동에 대한 친 사회적 태도와 행동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통합의 긍정적 효과는 초등 학교나 중학교에서도 능히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통합이 정상아들에게 불이익을 가져다 줄는지도 모른다는 것은 단순한 우려에 불과하며 오히려 우리 자녀들을 인간적으로 보다 훌륭하게 키우기 위해서는 통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적극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부모 교육을 통해 장애자 관도 긍정적이고 발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또 통합에 대한 긍정적 이해와 적극적 태도도 기를 수 있다는 것은 통합 교육 전문가들의 변하지 않는 신념이기 때문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5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