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명
2. 프로그램의 개요
3.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4. 프로그램의 기반
5. 프로그램의 실시
6. 예산
7. 평가
2. 프로그램의 개요
3. 프로그램의 실시 배경
4. 프로그램의 기반
5. 프로그램의 실시
6. 예산
7. 평가
본문내용
시간의 중요성, 효율적 사용)⑪
시간관리의 실제( check, feed-back, 토론)⑫
금전관리 이론(중요성, 방법)⑬
금전관리의 실제(check, feed-beck, 토론)⑭
등반활동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4차)
얼굴표정, 시선 맞추기, 목소리 크기①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38
39
40
41
42
43
8/ 8(화)
12(토)
19(토)
22(화)
26(토)
29(화)
ㆍ사회기술훈련
-대화기술 훈련
ㆍ집단상담(5차)
-대화기술 훈련
자세, 걸음걸이, 상대방과의 거리②
질문하는 기술, 화제를 바뀌는 기술③
경청기술④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
부탁 및 거절하는 기술⑤
술마시자는 제의에 대한 효과적인 거절 기술⑥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44
45
46
47
48
49
50
51
9/ 2(토)
5(화)
9(토)
16(토)
19(화)
23(토)
26(화)
30(토)
-대화기술 훈련
-대인관계 훈련
ㆍ집단상담(6차)
-대인관계 훈련
상대방의 좋은점과 나쁜점을 지적하는 기술⑦
호감표현기술, 자신의 권리 주장⑧
자신의 잘못 표현 기술, 상대방에 감사표현⑨
통신시설을 이용한 관계 형성⑩
권리행사를 위한 주장행동⑪
권리행사를 위한 주장행동⑫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
자신의 의사표현과 설득하기⑬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52
53
54
55
56
57
58
59
10/7(토)
10(화)
14(토)
17(화)
21(토)
24(화)
28(토)
31(화)
ㆍ특별행사
ㆍ집단상담(7차)
데이트를 신청하는 기술⑭
물건을 사거나 바꾸는 기술⑮
도움 요청하기
거절에 대한 대처
어려움에 처한 동료 위로하기
각자의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
체육대회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7차)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60
61
62
63
64
65
66
67
11/4(토)
7(화)
11(토)
14(화)
18(토)
21(화)
25(토)
28(화)
ㆍ사회적응 훈련
물품구입①
우체국, 은행이용②
여가활동③
교육수단 이용④
목욕탕 이용⑤
이발소, 미용실 이용⑥
이웃에 관한 예절(역할 시연)⑦
공중생활의 예절⑧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68
69
70
12/2(토)
5(화)
9(토)
ㆍ집단상담(8차)
ㆍ특별행사
이성교제시 예절(역할시연)⑨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8차)
송년행사
사전 사후 평가
2001년 사업 방향계획 수립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5) 일일 일정표
시 간
내 용
담 당 자
비 고
10:00 - 10;10
출석확인
윤 해 복
담당자를 제외한 프로그램 수행인력은 보조 진행자
10:10 - 10:30
간단한 몸풀기 운동, 인사, 레크레이션
윤 해 복, 자원봉사자
10:30 - 11:30
당일 프로그램 진행
김 태 연
11:30 - 12:00
마무리 및 차후 일정 소개, 귀가 지도
윤 해 복
6. 예산
지 원 금
자 부 담
지 출 내 역
산 출 근 거
지 출 내 역
산 출 근 거
ㆍ운영비
ㆍ사전 준비비
ㆍ전문 도서 구입
ㆍ유급 자원봉사자
ㆍ인건비
ㆍ발대식 준비비
ㆍOT 준비비
ㆍ약물 및 증상교육
ㆍ일상생활훈련
ㆍ사회기술훈련
ㆍ사회적응훈련
ㆍ집단상담비
ㆍ특별행사
ㆍ평가회비
ㆍ자원봉사자 관리비
ㆍ기타 예비비
50,000원/월*11월=550,000원
100,000원
30,000원/월*11월=330,000원
330,000원/월*11월=3,300,000원
100,000원
100,000원
20,000원/회*10회=200,000원
30,000원/회*15회=450,000원
30,000원/회*18회=540,000원
50,000원/회*9회=450,000원
80,000원/회*8회=640,000원
150,000원/회*4회=600,000원
100,000원/회*2회=200,000원
500,000원
340,000원
ㆍ후원금 지급
ㆍ후원물품 지급
ㆍ김장김치 제공
ㆍ밑반찬 지원
ㆍ행사지원비
ㆍ인쇄비
20,000원/회*6회*3명=360,000원
20,000원/회*1회*10명=200,000원
20,000원/회*1회*10명=200,000원
8,000원/회*11회*5명=440,000원
600,000원
300,000원
계
8,400,000원
계
2,100,000원
총
10,500,000원
7. 평가
구 분
목표 1
목표 2
목표 3
목표 4
평가
지표
교육과 상담을 통해 약물과 증상에 대한 대상자와 가족의 이해도와 관리 능력을 높인다.
교육과 각종 훈련을 실시하여 사회적인 기능을 향상시킨다.
생계지원 서비스를 통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완화 시킨다.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삶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시킨다.
성공의
기준
∇기준1 : 10명의 대상자중 8명 이상이 자신의 복용 약물과 증상에 대한 관리능력의 향상을 보인다.
∇기준2 : 10세대의 가족 10명중, 8세대 이상의 가족 8명 이상이 환자 및 병에 대한 이해도 증진을 보인다.
∇기준3 : 15명의 대상자중에서 재입원율 20% 이하로 떨어뜨린다.
∇기준 1 : 10명의 대상자중에서 7명 이상에게 자신의 생각과 의사 표현의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기준 2 : 10명의 대상자중 7명 이상에게서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의 증진을 경험하게 한다.
∇기준 1 : 15명의 대상자중에서 3명에게 6회의 후원금을 지급하고, 10명에게 2회의 후원물품을 지원하여 응답자의 80%이상이 가정 경제의 어려움이 완화 되었다.
∇기준 2 : 15명의 대상자중에서 5명 이상에게 밑반찬지원 서비스를 실시하여 취사활동의 어려움이 응답자중에서 80%이상 경감 되도록 한다.
∇기준 : 15명의 대상자중 12명이 삶에 대한 만족감 향상을 체험한다.
평가
도구
ㆍ약물증상관리 평가지
ㆍ관련 설문지
ㆍ재입원율
ㆍ대인관계 변화척도 (RCS)
ㆍ자기주장척도(RAS)
ㆍ독립생활기술 평가지 (ILSS)
ㆍ일상생활 기술 점검 표
ㆍ후원금 및 후원금품 지급 현황 대장
ㆍ밑반찬 지원 서비스 대장
ㆍ설문지
ㆍ프로그램 만족도 설문 조사
평가 시기/
방법
ㆍ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평가도구를 활용한 비교 평가
ㆍ프로그램 종료후 설문조사
ㆍ연말 재입원 대상자 조사
ㆍ연말 후원금지급 관련 공문
ㆍ프로그램 종료 후 밑반 찬서비스 실시 현황 조사
ㆍ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 조사
ㆍ프로그램 종료 후 전 반에 걸친 설문조사
시간관리의 실제( check, feed-back, 토론)⑫
금전관리 이론(중요성, 방법)⑬
금전관리의 실제(check, feed-beck, 토론)⑭
등반활동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4차)
얼굴표정, 시선 맞추기, 목소리 크기①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38
39
40
41
42
43
8/ 8(화)
12(토)
19(토)
22(화)
26(토)
29(화)
ㆍ사회기술훈련
-대화기술 훈련
ㆍ집단상담(5차)
-대화기술 훈련
자세, 걸음걸이, 상대방과의 거리②
질문하는 기술, 화제를 바뀌는 기술③
경청기술④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
부탁 및 거절하는 기술⑤
술마시자는 제의에 대한 효과적인 거절 기술⑥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44
45
46
47
48
49
50
51
9/ 2(토)
5(화)
9(토)
16(토)
19(화)
23(토)
26(화)
30(토)
-대화기술 훈련
-대인관계 훈련
ㆍ집단상담(6차)
-대인관계 훈련
상대방의 좋은점과 나쁜점을 지적하는 기술⑦
호감표현기술, 자신의 권리 주장⑧
자신의 잘못 표현 기술, 상대방에 감사표현⑨
통신시설을 이용한 관계 형성⑩
권리행사를 위한 주장행동⑪
권리행사를 위한 주장행동⑫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
자신의 의사표현과 설득하기⑬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52
53
54
55
56
57
58
59
10/7(토)
10(화)
14(토)
17(화)
21(토)
24(화)
28(토)
31(화)
ㆍ특별행사
ㆍ집단상담(7차)
데이트를 신청하는 기술⑭
물건을 사거나 바꾸는 기술⑮
도움 요청하기
거절에 대한 대처
어려움에 처한 동료 위로하기
각자의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
체육대회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7차)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60
61
62
63
64
65
66
67
11/4(토)
7(화)
11(토)
14(화)
18(토)
21(화)
25(토)
28(화)
ㆍ사회적응 훈련
물품구입①
우체국, 은행이용②
여가활동③
교육수단 이용④
목욕탕 이용⑤
이발소, 미용실 이용⑥
이웃에 관한 예절(역할 시연)⑦
공중생활의 예절⑧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68
69
70
12/2(토)
5(화)
9(토)
ㆍ집단상담(8차)
ㆍ특별행사
이성교제시 예절(역할시연)⑨
정신과 진단 및 집단상담(8차)
송년행사
사전 사후 평가
2001년 사업 방향계획 수립
강동호
윤해복
김태연
자봉2명
5) 일일 일정표
시 간
내 용
담 당 자
비 고
10:00 - 10;10
출석확인
윤 해 복
담당자를 제외한 프로그램 수행인력은 보조 진행자
10:10 - 10:30
간단한 몸풀기 운동, 인사, 레크레이션
윤 해 복, 자원봉사자
10:30 - 11:30
당일 프로그램 진행
김 태 연
11:30 - 12:00
마무리 및 차후 일정 소개, 귀가 지도
윤 해 복
6. 예산
지 원 금
자 부 담
지 출 내 역
산 출 근 거
지 출 내 역
산 출 근 거
ㆍ운영비
ㆍ사전 준비비
ㆍ전문 도서 구입
ㆍ유급 자원봉사자
ㆍ인건비
ㆍ발대식 준비비
ㆍOT 준비비
ㆍ약물 및 증상교육
ㆍ일상생활훈련
ㆍ사회기술훈련
ㆍ사회적응훈련
ㆍ집단상담비
ㆍ특별행사
ㆍ평가회비
ㆍ자원봉사자 관리비
ㆍ기타 예비비
50,000원/월*11월=550,000원
100,000원
30,000원/월*11월=330,000원
330,000원/월*11월=3,300,000원
100,000원
100,000원
20,000원/회*10회=200,000원
30,000원/회*15회=450,000원
30,000원/회*18회=540,000원
50,000원/회*9회=450,000원
80,000원/회*8회=640,000원
150,000원/회*4회=600,000원
100,000원/회*2회=200,000원
500,000원
340,000원
ㆍ후원금 지급
ㆍ후원물품 지급
ㆍ김장김치 제공
ㆍ밑반찬 지원
ㆍ행사지원비
ㆍ인쇄비
20,000원/회*6회*3명=360,000원
20,000원/회*1회*10명=200,000원
20,000원/회*1회*10명=200,000원
8,000원/회*11회*5명=440,000원
600,000원
300,000원
계
8,400,000원
계
2,100,000원
총
10,500,000원
7. 평가
구 분
목표 1
목표 2
목표 3
목표 4
평가
지표
교육과 상담을 통해 약물과 증상에 대한 대상자와 가족의 이해도와 관리 능력을 높인다.
교육과 각종 훈련을 실시하여 사회적인 기능을 향상시킨다.
생계지원 서비스를 통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완화 시킨다.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삶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시킨다.
성공의
기준
∇기준1 : 10명의 대상자중 8명 이상이 자신의 복용 약물과 증상에 대한 관리능력의 향상을 보인다.
∇기준2 : 10세대의 가족 10명중, 8세대 이상의 가족 8명 이상이 환자 및 병에 대한 이해도 증진을 보인다.
∇기준3 : 15명의 대상자중에서 재입원율 20% 이하로 떨어뜨린다.
∇기준 1 : 10명의 대상자중에서 7명 이상에게 자신의 생각과 의사 표현의 증진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기준 2 : 10명의 대상자중 7명 이상에게서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의 증진을 경험하게 한다.
∇기준 1 : 15명의 대상자중에서 3명에게 6회의 후원금을 지급하고, 10명에게 2회의 후원물품을 지원하여 응답자의 80%이상이 가정 경제의 어려움이 완화 되었다.
∇기준 2 : 15명의 대상자중에서 5명 이상에게 밑반찬지원 서비스를 실시하여 취사활동의 어려움이 응답자중에서 80%이상 경감 되도록 한다.
∇기준 : 15명의 대상자중 12명이 삶에 대한 만족감 향상을 체험한다.
평가
도구
ㆍ약물증상관리 평가지
ㆍ관련 설문지
ㆍ재입원율
ㆍ대인관계 변화척도 (RCS)
ㆍ자기주장척도(RAS)
ㆍ독립생활기술 평가지 (ILSS)
ㆍ일상생활 기술 점검 표
ㆍ후원금 및 후원금품 지급 현황 대장
ㆍ밑반찬 지원 서비스 대장
ㆍ설문지
ㆍ프로그램 만족도 설문 조사
평가 시기/
방법
ㆍ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평가도구를 활용한 비교 평가
ㆍ프로그램 종료후 설문조사
ㆍ연말 재입원 대상자 조사
ㆍ연말 후원금지급 관련 공문
ㆍ프로그램 종료 후 밑반 찬서비스 실시 현황 조사
ㆍ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 조사
ㆍ프로그램 종료 후 전 반에 걸친 설문조사
추천자료
(프로포절)저소득 청소년의 자아성취감 향상을 위한 원예교실 프로그램
(프로포절) 전입생의 학교생활 적응력 증진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프로그램
(프로포절) 가출 청소년을 위한 가정, 사회복귀 집단프로그램
(프로포절) 음주량을 줄여나가며 건전한 대학문화를 이루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포절)아동의 바람직한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제안
(프로포절) 부모의 성교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프로포절) 장년층 지체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재활을 위한 여가활동증진 프로그램
(프로포절)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통합 치료 프로그램
(프로포절) 통합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정신장애인 재활과 편견완화 프로그램
(프로포절) 자원봉사 체험을 통한 자긍심 강화 훈련 프로그램- 대안교실 운영 사업계획서
(프로그램) 성교육을 통한 정신지체 청소년의 올바른 성인식 확립 프로포절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깨끗해서 방긋웃는 정류장 사업계획서 프로포절 - 깨.방.정(깨끗해서...
저소득층 아동 방과후 컴퓨터교육 프로그램-사회복지공동모금회 프로포절 사업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