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과 예식의 영향입니다. 예컨대, 우리 한국교회 예배에는 샤머니즘적인 요소들과 불교나 유교적인 요소들이 침투하고 있거나 침투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스라엘의 예배에는 바알 종교가 언제나 큰 위협이었고, 신약시대 이후에는 영지주의 사상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둘째는, 신앙과 생활이 유리된 예배입니다. 그리스도인들의 신앙과 생활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입니다. 믿는 사람과 안 믿는 사람을 구별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입니다. 셋째는, 알지 못하고 드리는 습관적인 예배입니다. 예배는 드리지만 왜 예배를 드리는지, 어떻게 예배를 드려야 하는지, 모르고 드리기 때문에, 그에 따르는 예배자의 신앙성장과 생활의 변화가 없거나, 너무 느리게 진행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대체로 예수 믿는 다는 것, 예배드리는 것 자체가 점점 부담스럽게 느껴지게 되는 것입니다. 넷째는, 세속주의의 영향입니다. 기독교 신앙과 예배도 오늘 21세기 세속문화의 한 유형으로 보는 것입니다. 예배도 오늘 현대인의 취향과 입맛에 맞도록 적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현대인이 성경이 가르치고 있는 예배의 요구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고, 예배가 현대인의 종교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참 된 예배는 언제나 살아계신 하나님 앞에 서는 우리 그리스도인의 위기의 상황입니다.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예배를 드리든지, 하나님이 싫어하고 미워하시는 예배를 드리게 되든지, 두 가지 중에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배를 드릴 때 마다 다소 긴장감을 느끼고, 어느 정도 위기의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수께서는 우리 하나님이 찾으시고 기뻐하시는 예배는 “영 안에서 그리고 진리 안에서”드리는 예배라고 가르쳐주셨습니다. 장소가 문제가 아니고, 겉으로 드러나는 예배순서나 형식이 큰 문제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예배자의 정신과 마음과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배드리고 그것으로 끝나는 예배가 아니라, 예배자의 인격과 일상의 삶을 통하여 죄에 매여 종노릇 하던 과거에서 돌아서는 새로운 변화가 있고, 이 어두운 세상에서 예배자의 삶이 빛으로 드러나는 그러한 예배를 드리라고 성경은 우리에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제 히브리서 13장 15절 이하의 말씀을 읽고 마치겠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송의 제사(예배)를 하나님께 드리자(시69:30-31 참조). 이는 그 이름을 증언하는 입술의 열매니라(호14:2 비교). 오직 선을 행함(여기서는 특히 친절한 언행)과 서로 나누어 주기를 잊지 말라. 하나님은 이 같은 제사(예배)를 기뻐하느니라.” 여기서 찬송은 예배순서에만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 시간 이러한 일상의 찬양과 평소에 친절한 언행과 서로 나누어 주는 것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참 된 예배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기를 바랍니다. 예배가 바르게 되면 , 우리 가정도 바르게 되고, 우리 교회, 우리 학교, 우리 사회, 우리나라도 바르게 될 줄로 믿습니다. 아멘.
추천자료
십일조:어떻게 해야 되나..서평
[독서 감상문] 예배인가, 쇼인가!
통일교의 역사적 흐름과 예배관 교리
[교회][오순절 운동][한국교회][한국교회 개혁]교회 오순절 운동과 한국교회의 이중성 및 한...
순복음 영성과 예배
생명복제왜반대해야하는가
[영어예배] 04.A Good Samaritan Story (착한 사마리아인 이야기)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베드로전서 3장 1-7절] 말씀의 기초위에 세워져나가기를 노력하는 ...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시편 103편] 내 영혼아 여호와를 송축하여라 (새벽예배)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베드로전서 2장 13-17절]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자유 (새벽예배)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베드로전서 2장 18-25절] 그리스도를 본받으라 (새벽예배)
[성경말씀][설교말씀본문-전도서 7장 1-4절] 보다 나은 지혜로운 삶 _새벽예배
자원봉사론)각자 자신이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자원봉사의 주체를 선정하여 그들에게 왜 자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