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리베이트의 본질
2. 리베이트와 뇌물
3. 사회는 왜 의사들의 리베이트를 부도덕하게 보는가?
4. 의사는 왜 리베이트의 윤리적 문제점에 대해 관대한가?
5. 리베이트 쌍벌제가 통과된 후 의사들은 왜 분노하고 있는가?
6.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2. 리베이트와 뇌물
3. 사회는 왜 의사들의 리베이트를 부도덕하게 보는가?
4. 의사는 왜 리베이트의 윤리적 문제점에 대해 관대한가?
5. 리베이트 쌍벌제가 통과된 후 의사들은 왜 분노하고 있는가?
6.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본문내용
의지를 내보인 것입니다.
낮은 진료수가로 인해 대다수 개원의사들은 주6일 근무에 평균 주60시간의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좌절 속에서도 생존의 방법을 찾아가던 의사들이 이번 리베이트 쌍벌제로 인하여 예비 범죄자로 내몰림으로써 입은 자존심의 상처는 억눌러왔던 의사들의 분노를 일거에 분출토록 하는 단초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의사들에게 “빼앗기는” 리베이트가 없어지면 기초연구개발(R&D)에 더욱 힘쓸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약협회의 말과는 달리, 리베이트가 없어지면 국내 제약사들이 마땅한 영업정책을 세울 수 없고 제품경쟁력에서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밀림으로써 국내 제약사들은 존립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더욱이 정부는 리베이트 쌍벌제를 통해 리베이트 근절을 선언하고 국내 제약회사들에게 복제약값의 인하에 대해 더욱 압박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안팍으로 진행되는 압박에 국내 제약회사들은 큰 위기에 처하게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부는 의사들의 오리지널 위주의 처방에 맞서기 위해 성분명처방의 카드를 고려하겠지만, 이제 벼랑의 끝에 서 있는 의사들은 정부에서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끌고 갈 더 큰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해결방안 역시 용이하지 않을 것입니다.
의료전달체계를 허묾으로써 1차 의료기관의 존립 자체를 흔들 수 있는 원격진료 허용과 더불어 앞으로 의료계는 매우 큰 혼란을 앞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배고픈 건 참아도 억울한 건 못 참는다”는 의사들의 주장을 위정자들이 간과하여 초래된 혼란을 통해, 오히려 올바른 의료제도가 정착될 수 있는 기회가 올 수도 있겠다는 희망을 가져봅니다.
낮은 진료수가로 인해 대다수 개원의사들은 주6일 근무에 평균 주60시간의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좌절 속에서도 생존의 방법을 찾아가던 의사들이 이번 리베이트 쌍벌제로 인하여 예비 범죄자로 내몰림으로써 입은 자존심의 상처는 억눌러왔던 의사들의 분노를 일거에 분출토록 하는 단초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의사들에게 “빼앗기는” 리베이트가 없어지면 기초연구개발(R&D)에 더욱 힘쓸 수 있을 것이라는 제약협회의 말과는 달리, 리베이트가 없어지면 국내 제약사들이 마땅한 영업정책을 세울 수 없고 제품경쟁력에서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밀림으로써 국내 제약사들은 존립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더욱이 정부는 리베이트 쌍벌제를 통해 리베이트 근절을 선언하고 국내 제약회사들에게 복제약값의 인하에 대해 더욱 압박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안팍으로 진행되는 압박에 국내 제약회사들은 큰 위기에 처하게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부는 의사들의 오리지널 위주의 처방에 맞서기 위해 성분명처방의 카드를 고려하겠지만, 이제 벼랑의 끝에 서 있는 의사들은 정부에서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이끌고 갈 더 큰 카드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해결방안 역시 용이하지 않을 것입니다.
의료전달체계를 허묾으로써 1차 의료기관의 존립 자체를 흔들 수 있는 원격진료 허용과 더불어 앞으로 의료계는 매우 큰 혼란을 앞두고 있는 상황입니다.
“배고픈 건 참아도 억울한 건 못 참는다”는 의사들의 주장을 위정자들이 간과하여 초래된 혼란을 통해, 오히려 올바른 의료제도가 정착될 수 있는 기회가 올 수도 있겠다는 희망을 가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