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혼이주여성의 호소 사례
2. 결혼이주여성가족의 문제점
3. 문제해결 및 결론
2. 결혼이주여성가족의 문제점
3. 문제해결 및 결론
본문내용
을 다루되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여성들로 한정하였다. 이주여성노동자들이 같은 국적이나 다른 국적의 이주노동자들과 사실혼의 관계에 있거나 실제 결혼을 하기도 하지만 그들에 대한 탐색이나 연구는 다음과제로 넘긴다. 한국인과 결혼하여 한국시민이 된 여성들이지만 체류자격이 남편과의 결혼관계가 유지된다는 전제이므로 가정폭력이나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없는 문제발생시 조차 이주 여성들은 아무런 보호막이 없다.
또한 자녀를 낳아 기르고 있으나 아이들에 대한 양육에 있어 한국문화와 사회흐름과 정보에 익숙하지 않고, 언어가 준비되지 않은 가운데 전적으로 여성이 아이의 교육과 보육을 책임지고 있는 것 또한 아동과 가족을 위하여 바람직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가정폭력이나 기타 여성폭력 발생시 경찰이나 상담소의 개입도 신고가 있을 때 가능하지만 여성들이 정보를 입수하는데도 쉽지 않아 공권력과 여성단체의 보호를 받는 것도 일부여성들에게나 해당된다.
한해에 만 명 이상의 여성들이 한국인의 배우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법률적, 제도적인 보호와 아울러 지역사회 공동체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관심의 표출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은 과제로 남겨두며 글을 마친다.
또한 자녀를 낳아 기르고 있으나 아이들에 대한 양육에 있어 한국문화와 사회흐름과 정보에 익숙하지 않고, 언어가 준비되지 않은 가운데 전적으로 여성이 아이의 교육과 보육을 책임지고 있는 것 또한 아동과 가족을 위하여 바람직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가정폭력이나 기타 여성폭력 발생시 경찰이나 상담소의 개입도 신고가 있을 때 가능하지만 여성들이 정보를 입수하는데도 쉽지 않아 공권력과 여성단체의 보호를 받는 것도 일부여성들에게나 해당된다.
한해에 만 명 이상의 여성들이 한국인의 배우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에 대한 법률적, 제도적인 보호와 아울러 지역사회 공동체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관심의 표출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은 과제로 남겨두며 글을 마친다.
추천자료
국제결혼과 이주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사회복지적 대안
이주여성 문제.ppt
결혼이주민의 실태와 사회복지 대책
결혼이주민의 실태와 사회복지대책
이주여성과 한국 신문들의 그에 대한 보도 형태
(정신건강론) 이주여성정신건강 보고서
여성복지 각 분야중 개인별 관심 분야를 정하여 -이주여성- 1. 해당 분야의 욕구와 복지적 문...
자신의 거주지 (시, 군, 구)를 중심으로 다문화 이주 여성의 현황을 파악하여 조사하고, ...
이주여성 프로그램 참여도와 한국사회적응과의 관계
다문화이주여성의 한국문화생활적응 프로그램(이주여성프로그램, 다문화이주여성프로그램, 이...
이주여성과 사회복지실천 레포트
2017 성사랑사회D형 이주여성]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들이 겪는 어려움, 이들의 경험을 통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