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시음악시대(기원전~6세기 이전)- 상고시대
2. 대륙음악수용시대(6세기~9세기)- 아스까, 나라, 헤이안 초기 시대
3. 전기 민족음악시대(10세기~16세기 전반)- 헤이안 후기, 가마꾸라, 무로마치 시대
4. 후기 민족음악시대(16세기 후반~19세기 전반)- 모모야마, 에도시대
5. 서양음악수용시대(19세기 후반~현재)- 메이지 시대 이후
2. 대륙음악수용시대(6세기~9세기)- 아스까, 나라, 헤이안 초기 시대
3. 전기 민족음악시대(10세기~16세기 전반)- 헤이안 후기, 가마꾸라, 무로마치 시대
4. 후기 민족음악시대(16세기 후반~19세기 전반)- 모모야마, 에도시대
5. 서양음악수용시대(19세기 후반~현재)- 메이지 시대 이후
본문내용
하였다.
5. 서양음악수용시대(19세기 후반~현재)- 메이지 시대 이후
1868년 일본이 서구 열강과 통상조약을 맺고 문호를 개방하자 민족음악시대는 종말을 고하게 되었고, 일본 근대사에 따른 근대음악사가 시작되었다. 서구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정치나 사회제도가 소개됨으로써, 서양음악의 수용시대가 일본음악사에서 막을 오리게 되었다.
일본근대사의 시작이었던 메이지시대부터 일본의 전통음악은 차츰 쇠토의 길을 걸었고, 그와 정비례로 서양음악은 일본 사회의 구석구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메이지시대 이후에도 이러한 일본의 음악적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오늘까지 계속되는 실정이다. 서양음악의 대칭어로 현재 일본의 전통음악은 ‘호가쿠(邦樂:방악-나라의 음악이란 뜻)’로 불리우고 있다.
5. 서양음악수용시대(19세기 후반~현재)- 메이지 시대 이후
1868년 일본이 서구 열강과 통상조약을 맺고 문호를 개방하자 민족음악시대는 종말을 고하게 되었고, 일본 근대사에 따른 근대음악사가 시작되었다. 서구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새로운 정치나 사회제도가 소개됨으로써, 서양음악의 수용시대가 일본음악사에서 막을 오리게 되었다.
일본근대사의 시작이었던 메이지시대부터 일본의 전통음악은 차츰 쇠토의 길을 걸었고, 그와 정비례로 서양음악은 일본 사회의 구석구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메이지시대 이후에도 이러한 일본의 음악적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 않고, 오늘까지 계속되는 실정이다. 서양음악의 대칭어로 현재 일본의 전통음악은 ‘호가쿠(邦樂:방악-나라의 음악이란 뜻)’로 불리우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문화 전면 개방과 우리음악이 나가야 할 방향
대중음악을 통해 본 일본
일본의(대중)음악
일본 문화와 사회(대중음악)
[음반산업][음악산업][음반유통][저작권][음악]음반산업(음악산업)의 개념, 음반산업(음악산...
[재즈][Jazz][클래식]재즈(Jazz, 재즈음악)의 특성, 재즈(Jazz, 재즈음악)의 역사, 재즈(Jazz...
[지역화][국어][과학][사회][역사][음악]국어교육(국어과교육)의 지역화, 과학교육(과학과교...
음반산업(음악산업)의 특징,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역사, 음반산업(음악산업)의 현황, 음반산...
음악산업(음반산업)의 역사, 음악산업(음반산업)의 동향, 음악산업(음반산업)의 시장구조, 음...
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우리나라와의 비교 분석
일본의 방송, [역사, 일본인의 티비시청, 현황, 프로그램 편성, 스타 시스템]
[세계역사와문화] 일본의 문화와 일본인만의 특징적인 점 (2016년 10월 작성)
(일본 경찰제도의 역사적 배경 및 조직적 특징, 경찰활동의 이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