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일본의 대중음악의 역사
3. 일본 대중 음악의 특징
4. 대중음악을 통해 본 일본
5. 내가 생각하는 일본, 그리고 우리의 길
2. 일본의 대중음악의 역사
3. 일본 대중 음악의 특징
4. 대중음악을 통해 본 일본
5. 내가 생각하는 일본, 그리고 우리의 길
본문내용
상에 기여하는 오타쿠 문화가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앞에서 언급했던 일본의 화(和)를 떠올려 보자. 일본인들의 말은 부드럽다고 하는데 그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 험난한 수업 과정을 통해 다듬어진 결정이다. 말이 부드럽기 때문에 그들은 좀처럼 충돌하지 않는다. 약 20년 간 일본을 연구해온 유태계 미국인 마빈 토케이어(Marvin Tokayer, 1936~) (마빈 토케이어 : 미국 뉴욕 출생. 철학과 교육학 학위를 받은 후 1962년에는 립비 자격을 취득. 1968년부터 1976년까지 일본에 거주, 유대 교단 립비로 활동하면서 많은 저서를 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원없는 이 작은 나라의 긴 역사를 통해 사람들을 풍요롭게 그리고 윤택하게 만들어 온 두 개의 커다른 은총을 발견했다" 면서 그것을 제시하길 하나는 근면이며 다른 하나는 사람들의 화(和)라고 지적했다. 일본인은 서로 공통되는 집단적 규범을 철저히 지키면서 개인를 죽이는 집단적 근면인데 비해 한국인은 사회적 규약이나 규범보다는 개인 스스로만이 지키는 원칙과 신념 아래서 근면하다. 서로의 장단점이 있겠지만 이 차이는 평소 일본에 대해 대부분 악감정만으로 대해왔던 해방전의 세대뿐만이 아니라 분별없이 그것들을 받아들였던 우리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본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80대 말에 터진 버블충격의 영향이 아직도 남아있지만 장인정신과 오타쿠문화, 그리고 화(和)를 내세운 일본의 특성은 일본의 성장 가능성을 유리한 쪽으로 점쳐주고 있다. 그리고 여러 곳의 문화를 받아들여 그것들이 혼종을 이루고 있어도 자기만의 주체성을 통해 그것을 선택하고 판단해 나가며 그것을 지키려 하는 태도는 현재 일본의 대중음악과 문화를 세계만방에 떨칠 수 있는 이유다. 깊이 있는 노력이 베어있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따르기 마련이다. 일본의 대중 음악은 장인정신을 비롯한 노력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을 듣는 우리들은 일본을 생각하기 보다는 음악에 스며있는 정성을 느끼는 것이다. 현재 일본문화는 일본 전통문화가 아닌 세계문화를 일본식으로 변형해 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가 일본을 앞서려면 무작정 비판하고 나서기 보다는 각 문화의 본질부터 들여다 볼 줄 아는 혜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서 우리의 것과 접목을 시킬 줄 아는 능동적인 대처가 요구된다.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고집보다는 문화적 상층으로 올라서는 지혜를 발견하는 자세가 중요할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일본의 화(和)를 떠올려 보자. 일본인들의 말은 부드럽다고 하는데 그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 험난한 수업 과정을 통해 다듬어진 결정이다. 말이 부드럽기 때문에 그들은 좀처럼 충돌하지 않는다. 약 20년 간 일본을 연구해온 유태계 미국인 마빈 토케이어(Marvin Tokayer, 1936~) (마빈 토케이어 : 미국 뉴욕 출생. 철학과 교육학 학위를 받은 후 1962년에는 립비 자격을 취득. 1968년부터 1976년까지 일본에 거주, 유대 교단 립비로 활동하면서 많은 저서를 냄)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자원없는 이 작은 나라의 긴 역사를 통해 사람들을 풍요롭게 그리고 윤택하게 만들어 온 두 개의 커다른 은총을 발견했다" 면서 그것을 제시하길 하나는 근면이며 다른 하나는 사람들의 화(和)라고 지적했다. 일본인은 서로 공통되는 집단적 규범을 철저히 지키면서 개인를 죽이는 집단적 근면인데 비해 한국인은 사회적 규약이나 규범보다는 개인 스스로만이 지키는 원칙과 신념 아래서 근면하다. 서로의 장단점이 있겠지만 이 차이는 평소 일본에 대해 대부분 악감정만으로 대해왔던 해방전의 세대뿐만이 아니라 분별없이 그것들을 받아들였던 우리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본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80대 말에 터진 버블충격의 영향이 아직도 남아있지만 장인정신과 오타쿠문화, 그리고 화(和)를 내세운 일본의 특성은 일본의 성장 가능성을 유리한 쪽으로 점쳐주고 있다. 그리고 여러 곳의 문화를 받아들여 그것들이 혼종을 이루고 있어도 자기만의 주체성을 통해 그것을 선택하고 판단해 나가며 그것을 지키려 하는 태도는 현재 일본의 대중음악과 문화를 세계만방에 떨칠 수 있는 이유다. 깊이 있는 노력이 베어있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따르기 마련이다. 일본의 대중 음악은 장인정신을 비롯한 노력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을 듣는 우리들은 일본을 생각하기 보다는 음악에 스며있는 정성을 느끼는 것이다. 현재 일본문화는 일본 전통문화가 아닌 세계문화를 일본식으로 변형해 나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가 일본을 앞서려면 무작정 비판하고 나서기 보다는 각 문화의 본질부터 들여다 볼 줄 아는 혜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서 우리의 것과 접목을 시킬 줄 아는 능동적인 대처가 요구된다.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고집보다는 문화적 상층으로 올라서는 지혜를 발견하는 자세가 중요할 것이다.
추천자료
일본의대중문화(철도원과설국을 읽고)
일본대중문화와 청소년
[청소년문화] 청소년 문화와 대중음악
[중국의이해] 홍콩과 대만의 대중음악사
김원준의 치마패션 (주제 : 대중음악과 패션)
[일본대중문화] 일본고교야구 - 고시엔(こうしえん)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일본대중문화-국화와칼, 일본은없다1 서평
크로스오버 수용의 필요성 (클래식과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2013년 2학기 일본대중문화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일본 대중문화에 관해 분석한 전공서적)
일본대중식품문화 (일본 길거리 음식문화, 외식문화, 유명메이커)
일본대중문화기행,일본의 시대별 화장,에도 시대, 일본 얼굴미의 성립,근대의 화장, 제2차 세...
2017년 2학기 일본학과 일본대중문화론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