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레이트 시약의 구조와 특징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킬레이트 시약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EDTA)를 사용하는 EDTA적정이다. EDTA는 염기산이므로 H4Y로 표시되며 4-6자리 배위자이다.
킬레이트 적정의 반응식은 금속이온을 Mn+, EDTA이온을 Y4-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n+ + Y4- → MY(4-n)- M2+ + Y4- → MY2-

이를 테면 Y4-(EDTA) 1mol은 금속이온의 이온가에 관계없이 항상 1mol과 반응한다. 따라서 킬레이트 적정에서는 규정농도를 사용하지 않고, 몰 농도[M], [mol/ℓ]를 사용한다. EDTA는 물에 녹기 어려우므로, 킬레이트 적정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시약은 이나트륨염(EDTA·2Na)이다. 킬레이트 적정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킬레이트 시약인 에칠렌디아민 4아세트산 ethylenediamine-tetraacetic (EDTA)를 사용하는  EDTA적정이다.

본문내용

N / CH2COONa
\ / \ N - CH2COONa
CH2 CH2COOH \ CH2COONa
CyDTA는 유리산 및 알칼리 염의 성질은 EDTA와 비슷하며 물에 대한 용해도는 EDTA보다 조금 크다. CyDTA는 chelate시약 중에서 chelate생성상수가 제일 크므로 EDTA로 적정할 수 없을 때 CyDTA로 성공하는 예가 있다. 이것은EDTA보다 분자량이 크므로 금속과 chelate 생성 반응 속도가 늦은 것이 결점이다. 금속과 1:1 mole비로 결합하며 4-6자리 배위자이다.
NTA는 H3X로 표시되며 세자리 배위자로 적용하며 EDTA에 비해 안정도 정수가 낮아 NTA용액으로 적정되는 금속이온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으나 특히 알칼리 적정에 있어서는 EDTA보다 유리하게 쓰인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6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