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난피해 지진과 공학
2.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지진해일의 참상
3. 지진, 지구의 스트레스 해소법
4. 판 충돌이 직접적 원인
5. 우리나라도 방심은 금물
6. 지진을 이기는 공학적 방법
2.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지진해일의 참상
3. 지진, 지구의 스트레스 해소법
4. 판 충돌이 직접적 원인
5. 우리나라도 방심은 금물
6. 지진을 이기는 공학적 방법
본문내용
강기법과 기술이 개발돼 실용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보고서가 발간돼 있다. 보강의 경우 잔여수명을 고려해 보강기준 지진의 세기를 조정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내진설계 개념과 방법은 고정돼 있지 않고 기술과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같이 발전하고 있다. 최근까지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크고 튼튼한 설계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지진 격리 시스템(Base Isolation System), 동조 질량 감쇠기(Tuned Mass Damper), 동조 액체 감쇠기(Tuned Liquid Damper), 그리고 점탄성 감쇠기(Visco-Elastic Damper) 등을 사용하고 있다. 모두가 지진 응답을 제어해 유연성 있게 지진에 대응하는 방법들이다. 이 방법들을 이용해 지진 충격을 줄여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이탈리아, 미국, 뉴질랜드 등의 나라들이 이를 내진설계에 적극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인가?”라는 질문은 이제 더 이상 의미 있는 질문일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지진 위험수준에 맞는 어떤 자연재해 경감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가’일 것이다. 현재 건물이나 교량, 댐, 항만, 도로, 공항 등 사회기반시설의 지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내진설계와 내진보강이다.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상세한 내진설계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진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건물의 유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체계적인 지진 후 대응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안전에 대한 국민 의식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인가?”라는 질문은 이제 더 이상 의미 있는 질문일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지진 위험수준에 맞는 어떤 자연재해 경감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가’일 것이다. 현재 건물이나 교량, 댐, 항만, 도로, 공항 등 사회기반시설의 지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내진설계와 내진보강이다.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상세한 내진설계가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 진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건물의 유연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체계적인 지진 후 대응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안전에 대한 국민 의식일 것이다.
소개글